수업에 쓴 쪽글입니다… 🙂
===
2013.11.05.화. 15:00- 크리스테바.
긴 시간에 걸쳐 박제(에 실패)한 여성의 시간
-루인
여성에게 혹은 사회적 타자에게 시간은 있는가? 이 질문은 ‘있다’ 혹은 ‘없다’란 답을 염두에 둔 물음이 아니다. 여성 혹은 사회적 타자의 시간은 어떻게 구성되고, 시간(성) 개념을 어떻게 사유할 것인가를 탐문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이 질문을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 식으로 변형한다면, 타자는 어떻게 초역사적 존재로 역사화되고(“Stabat Mater”), 페미니즘의 각 물결은 여성의 시간을 어떻게 달리 사유하고 또 구조화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가(“Women’s Time”)로 재구성할 수 있다.
흔히 여성적 글쓰기라고 불리는 형식을 취한 크리스테바의 글 “눈물 흘리는 성모Stabat Mater”를 독해하는 방법은 다양할 테다. 그 중 하나로, 나는 이 글을 모성 혹은 여성성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무역사적/초역사적 성질로 구성되(었)는가를 탐문하는 작업으로 이해(오독)했다. 즉 “눈물 흘리는 성모”는 어떤 의미에서 마리아/여성에게 부여된 사회문화적 의미를 추적하는 계보학이기도 하다. 크리스테바는 마리아의 위상이 역사적으로 변해가는 과정을 기술한다. 만약 예수가 원죄 없는 신성한 ‘무엇’이라면 예수의 어머니인 마리아 역시 원죄 없는 존재여야 한다. 이것은 마리아의 위상 변화와 예수의 신성화 작업이 밀접한 관계란 점을 암시한다(어떤 점에서 마리아와 예수는 쌍생아다). 이 일련의 과정은 마리아/여성을 박제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성모인 마리아는 인간에게 오염되지 않은 상태, 원죄를 품지 않은 상태, 즉 무염 시태여야 한다. 이것은 마리아가 자신의 어머니를 부정하도록 한다. 혹은 마리아는 어머니 없는 존재여야 한다. 이처럼 역사적, 시대적 정황에서 마리아는 동정녀로, 성모로, 승천한 존재로, 예수의 어머니이자 아내이자 딸로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았다. 그리고 끊임없이 신성화되었다.
마리아의 의미 변화는 당대 사회가 여성에게 기대한/요구한 여성성의 의미를 투사/재현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매 시대마다 지배적 여성 젠더 규범과 여성을 통치하는 기술이 마리아에게 투사되었다. 2,000년이라는 긴 시간에 걸친 이 작업은 여성성을 초역사적 성격으로 만드는 작업이다. 기원전에 태어난 존재(적어도 예수보다는 빨리 태어난 존재)인 마리아를 향한 ‘팬질’ 혹은 ‘집착’, 그리고 이를 통해 형성한 여성적 속성은 그 속성이 마치 기원전부터 존재한 여성 고유의 속성이라는 착각을 일으킨다. 지금 시간에 마리아에게 부여된 속성은 마리아에게서 파생한, 마리아에게 내재한 속성이( 된)다. 이렇게 마리아를 무염 시태로 머물게 하는 역사적 작업, 즉 여성성을 구성하는 시간적 작업은 여성에게 존재하는 시간성을 박제하고, 여성을 언제나 고정되고 변하지 않는 존재로 만드는 작업이다. 그리고 정확하게 이 찰나에 시간은 엇갈린다. 지금이라는 시간이 기원전 존재에게 투사되고, 지금 시간은 기원전 시간이 된다. 그리하여 지금 시간은 현재의 시간인 동시에 기원전의 시간이다. 즉 여성, 여성성, 그리고 모성을 규정하고 또 고착시키려는 일련의 작업은 그 의도가 무엇이건 단선적 시간을 비틀어버린다. 물론 이런 시간 개념은 시간을 흐르지 않는 것, 영원히 정박된 것으로 이해하는 관념의 반영일 수도 있다. 구원 혹은 승천 이전의 시간은, 세속적 시간 개념으로 얘기해서 2,000년 전이건 2,000년 후건 ‘그냥 시간’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시간은 흐른다는 인식으로 접근한다면, 마리아와 여성성을 고착하려는 작업은 시간을 직선이 아니라 ‘이상하게 꼬이고’, ‘기묘하게 접붙는다.’
여성을 고착하려는 기획으로 인해 시간과 시간성이 엉키는 상황에서 페미니즘은 여성과 시간을 어떻게 사유할 수 있을까? 크리스테바의 또 다른 글 “여성의 시간Women’s Time”이 갖는 상당한 매력 중 하나는 제1 단계와 제2 단계, 혹은 제1 물결과 제2 물결로 구분할 수 있는 페미니즘의 역사를 설명하고 구별하는 방식이다. 흔히 이 역사는 정치 이데올로기, 정치적 지향성, 운동의 방식 등으로 특징 짓고 구분한다. 크리스테바는 이것에 더해 시간과 시간성을 다르게 사유하는 방식으로 두 시기를 구분한다. 제1 물결/단계가 남성과의 동등, 동질을 주장하며 선형적 시간 관념에서 여성의 자리를 찾는다면, 제2 물결/단계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 및 여성의 특수성을 강조하며 순환적 시간과 관계 맺는다. 크리스테바에 따르면 이 두 운동은 각각의 문제가 있다. 제1 물결/단계는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권력’을 획득할 때, 흔히 말하는 남성적 폭력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제2 물결은 성차를 강조하면서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강하게 부각하면서 다른 다양한 차이를 은폐한다. 여성의 다양성, 복잡성을 강조하는 크리스테바는 제3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또 그것이 진행 중이라고 얘기한다. 크리스테바에게 새로운 가능성은 이항대립을 중재하고, 선형적 시간과 순환적 시간을 대립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동시적 작동으로 해석한다.
크리스테바가 제안하는 제3의 단계/물결은 시간 개념을 나선형 시간(성)으로 바꾸는 작업인지도 모른다. 순환적 시간과 단선적 시간이 반드시 대립이어야 할 이유는 없으며, 단선적 시간이 반드시 직선의 시간일 이유도 없다. 당시 맥락에서 시간/시대/세대를 달리 사유하려는 크리스테바의 작업은 “눈물 흘리는 성모”와 공명한다. 비록 “눈물 흘리는 성모”에서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고 해도, 크리스테바는 성모의 몸에 복잡한 시간 혹은 나선형 시간이 작동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그리고 이 시간성, 혹은 여성의 사회적/상징적 삶은 기존 질서가 사유하고 규정한 틀 내에서 혹은 그 ‘바깥outside’에서 사유될 수 없다. ‘여성’의 삶이 권력의 외부에 존재할 수 없고 배제의 원리에서조차 버려진 것은 아니라면 여성 혹은 타자의 시간을 다른 식으로 사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다른 사유 체계를 상상하면서, 배제의 원리에서도 인식되지 않은 삶과 그 시간성을 사유할 가능성(상상력, 방법, 인식론)을 모색해야 한다.
Kristeva, Julia. “Stabat Mater.” The Kristeva Reader. Ed. Toril Moi.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6. 160-186. Print.
Kristeva, Julia. “Women’s Time.” The Kristeva Reader. Ed. Toril Moi.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6. 187-213.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