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인용, 관성적 반성

어떤 연유로 오랜 만에 정희진 선생님 글을 찾아 읽었다. 좋다.
첫 번째 인용은 지식을 권력화하고 사유화하는 태도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좋다. 사실 내가 반성할 지점이다. 나는 혹시나 이렇게 하고 있지는 않은지. 나는 이렇게 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 없다. 그래서 이 글이 좋다.
두 번째 인용은 연습이 부족한 내가 부끄러워서 골랐다.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한데 지금 나는 그렇게 살지 않는다.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하지만 이렇게 반성만 반복하다보면 반성만 남고 연습은 하지 않는다. 내가 이렇게 반성한다는 과시만 있을 뿐이다. 반성을 과시하지 않아야 할 텐데…(라고 다시 한 번 반성을 과시한다.)
===
반면, 정치적으로 문제적인 비판에는 ‘뒤끝’이 있다. 혼자 오래 골몰한다는 의미다. 얼마 전 이 지면에 미국의 지원병제 문제를 지적한 스콧 펙의 징병제론를 소개했다. 어떤 ‘진보적 지식인’이 페이스북에 내 글을 두 가지로 비난했다. 하나는 내가 징병제를 주장했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모르는데 아는 척하지 않았으면”… 즉, 비전공자가 글을 썼다는 것이다(이후 다른 네티즌들의 문제제기로 삭제한 듯하다). 전자는 당연히 오독이다. 문제는 후자다. 이런 식의 비난, 질문, 해명 요구는 내가 20여년 동안 겪어온 일이다. ‘여성’은 나의 일부분임에도 세상은 나의 존재를 ‘여성’으로 도배한다. 이 글을 쓰기로 결심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이 ‘분’이 처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남의 공부 분야를 정한 다음, 영역 바깥의 글을 쓴다고 비난하는 이 ‘하느님’들은 누구인가?
(… 중략 …)
나 자신을 “~학자”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타인 특히 사회적 약자 집단에게 왜 이런 연구를 하느냐/안 하느냐는 지적은 인권 침해다. 남의 글을 내용이 아니라(이 경우는 그의 비판 내용도 틀렸다) ‘비전공’ 논리로 비판하는 것은 자기 허락을 받으라는 얘기?
이른바 통섭의 시대에 공부의 ‘유목민’에게 비전공자 운운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리는 사람이 지식인인가? 그런 판관 노릇을 하고 싶으면, 이 정권에서 장관을 하시는 게 맞다. 공부의 의미를 독점하고 지식인은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문지기들(gate keepers). 여기 들어오지 마. 그렇게 지킬 것이 없어서 겨우 지식의 문지기 노릇을 하는가?
경기든 연주든 모든 몸의 플레이어들은 심리적인 요인으로 인한 부상과 실수가 있기 마련이다. 연습은 정신력으로 몸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연습된 몸으로 정신(적 실수)을 ‘없애는’ 방식이다. 연습, 연습, 연습. 그런 경지의 노력은 명예와 금전적 보장만으로 불가능하다. 삶을 사랑하지 않으면 해낼 수 없다.
작가는 엄청난 양의 독서, 습작, 조사에다 삶의 매순간이 연습이다. 좋은 글을 빨리 쓰는 사람이 있다. 비결은 연습(치열한 삶)이다. 글 쓰는 시간은 연습을 타자로 옮기는 시간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중략…)
하지만 연습을 많이 한 이들이 독자로 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들은 오만할 자격이 있다. 연습은 끝이 없는 개념이다. 외롭고 지루한 연습이 아무런 보상이 없을 수도 있는 삶을 기꺼이 선택한 이들이다. 이들은 이미 모든 것을 가졌다. 진실을 아는 자의 만족스런 불평이다. “천 번만 먹을 갈아보고 싶다. 그러면 내 가슴에도 진실만이 결정(結晶)되어 남을까?”(404~405쪽)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