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는 남녀공학에 사복이었지만 두발은 자율이 아니었다. 너무 짧지 않게, 하지만 1cm였나 3cm였나, 머리카락을 짧게 잘라야 했다. 중학교 입학을 앞둔 나는 늘 가던 이발소에 갔고 머리카락을 잘랐다. 바리깡 기기가 진동하며 머리의 피부 위에서 진동했다. 칼 혹은 기기가 머리 피부에 직접 닿는 순간이었다. 머리카락은 순식간에 잘렸다. 머리카락이란 이렇게 가냘픈 것이구나. 쉽게 잘리는구나. 거울 너머에서 머리카락이 잘려나가는 낯선 사람을 마주하면서 많이 어색했다. 그리고 정말 내가 다른 세상으로 들어간다는 사실을 실감했다. 머리카락 길이로 사람을 규율하는 한국 사회, 여전히 중고등학생의 두발 자유화는 문제라고 여기는 사람이 많은 한국 사회에서 머리카락을 자르는 일은 일종의 의례이자 상징이다. 머리카락을 다 자르고 물에 풀어서 사용하는 면도크림을 머리와 목 둘레에 발랐다. 면도칼이 머리와 목을 지나갔다. 서늘함. 물론 입학할 때까지도 입학하고 시간이 좀 지나서도 중학생이란 실감을 제대로 못 했지만 머리카락을 자르는 그 순간만은 구체적이고 생생한 순간이었다.
어제 저녁 뇌수술을 앞둔 어머니가 머리카락을 모두 잘라야 했다. 뇌수술을 하는 모든 사람이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은 아니지만 어머니는 머리카락을 잘라야 했다. 이발소에 가지 않은지 오래고 이발소가 없어지고 있다는 얘기만 많이 들었다. 그런데 이발사의 전형 같은 사람이 왔다. 그리고 복도 한쪽 끝에서 자리를 잡았다. 머리를 이런 곳에서 잘라야 하는지 따지고 싶었지만 그 당시엔 그럴 정신이 없었다. 이발사는 바리깡으로 어머니의 머리카락을 자르기 시작했다. 머리카락은 약했다. 순식간에 잘려나갔다. 바리깡이 머리카락에 걸려 잠시라도 멈추는 일은 없었다. 가볍게 가볍게. 바리깡으로 머리카락을 다 자른 뒤 이발사는 면도크림을 물에 풀었다. 그리고 머리 전체에 면도크림을 발랐다. 이 순간 내가 중학교에 입학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자르던 순간이 떠올랐다. 그랬지. 뭔가 낯설고도 익숙한 느낌. 머리카락이 잘려나가는 내내 어머니는 간신히 참던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다. 큰 소리로 울진 않으셨다. 눈물이 또르륵 흘렀다. 면도칼이 짧은 머리카락을 자르기 시작하면서 참고 참았던 눈물이 흘렀다. 뇌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비로소 그리고 매우 구체적으로 실감하신 듯했다. 병원에 입원할 때도 기운이 없고 눈물을 흘렸지만 머리카락을 자를 때완 다른 느낌인 듯했다. 머리카락이 잘린다는 것은 내일 아침 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뜻이다. 그러니 입원보다 머리카락을 자르는 순간이 더 구체적 사건이었다. 수술이 몸에 새겨지는 순간이었다.
그리고 병실의 밤은 어두워가고 있다.
아무쪼록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랄게요…
고마워요.. 조금씩 회복되고 계셔서 저도 조금씩 안심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