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젝을 읽고 쓴 쪽글입니다.
===
2014.09.25. 목. 폭력문화비판과 감정의 정치학.
사랑과 폭력이 격렬하고 사랑스럽게 만날 때
-루인
폭력을 신화적 폭력과 신적 폭력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발터 벤야민의 논의를 따라가면, 폭력을 단일하고 명징한 것으로 이해하기보다는 복잡하고 미묘한 것으로 상상하고 사유할 수 있다. 폭력은 ‘우리’ 공동체의 외부에 존재하며 가끔 무질서하게 등장하는 특별한 사건이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법치국가, 그리고 전지구적 어떤 규율에 폭력이 내재하며 폭력은 질서 그 자체기도 하다. 동시에 폭력은 기존 질서를 내리치며 다른 가능성의 틈새를 여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폭력을 신비화하지 않고(26) 폭력의 다층적 측면(24)을 살피고자 하는 슬라보예 지젝의 논의는 큰 틀에서 동의할 수 있는 내용이다.
폭력의 복잡한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지젝은 폭력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첫째는 언어제 내재하는 상징적 폭력이다. 이것은 2장의 핵심 논의기도 한데, 이웃을 내 공포의 원인 혹은 공포 자체로 삼는 태도와 연결된다. 둘째는 “어떤 경우 우리의 경제 체계와 정치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나타나는 파국적인 결과”(24)인 구조적 폭력이다. 구조적 폭력에서 주의할 점은 기존 체계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구조와 질서 자체가 폭력이기도 하단 점을 지적한다. 지젝은 상징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을 묶어서 객관적 폭력이라고 부른다. 셋째는 “‘정상적’이고 평온한 상태를 혼란시키는 것”(24)으로 여기는 주관적 폭력이다. 흔히 폭력이라고 상상하는 것에 가장 근접한 형태로 기존의 질서와 상태를 위협한다고 인식하는 것을 지칭한다(24). 그리고 객관적 폭력은 우리에게 분명하게 인식되지 않는데 주관적 폭력을 폭력으로 지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24).
지젝이 폭력을 이렇게 세분하는 이유는 폭력의 구조적 측면을 분명하게 인식하기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폭력의 복잡한 층위를 인지하기 위해서다. 지젝이 1장에서 ‘자유주의적 공산주의자’라고 부르는(비꼬는?) 이들은 주관적 폭력에 대항하고 그것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점에서 자주 칭송을 받는다. 하지만 그들은 주관적 폭력의 근간을 이루는 객관적 폭력을 생산하고 유지하는 데 일조한다. 그들은 (객관적)폭력의 생산 구조에서 이득을 보면서, 그리고 그 구조를 유지하면서 주관적 폭력만을 해소하려 한다. 혹은 스페인은 아프리카에선 인종/민족 배제적 정책을 위해 거대한 장벽을 설치하지만 유럽에선 반인종주의적이고 관용적이란 평가를 받기도 한다(151). 언제 어디서나 일관성 있게 폭력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은 없다. 스탈린과 그의 정권에서 고위직을 지내며 수많은 폭력을 행사한 이들도 가족에겐 따뜻하고 훌륭한 아버지로 기억된다(82). 이것은 모순 같지만 모순이 아니다. 이것을 모순으로 느낀다면 이는 폭력을 “노골적으로 비난하고 ‘나쁜 것’으로 매도하는 … 탁월한 이데올로기적 조작”(284)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것을 모순으로 이해한다면 폭력을 구조적이고 다층적으로 사유하기 힘들다. 모순 같지만 ‘자연스럽게’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 폭력이 실행되는 방법이다.
폭력의 복잡한 양상을 고민하는 지젝이 발터 벤야민의 신적 폭력을 논하는 것은, 앞서 언급했듯, 필연인지도 모른다. 지젝의 벤야민 논의 혹은 신적 폭력 논의에서 흥미로운 점은 사랑과 폭력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는 점이다. 우선 지젝은 신적 폭력을 “구조화된 사회적 공간 바깥에 있는 자들이 ‘맹목적으로’ 폭력을 휘두르면서 즉각적인 정의/복수를 요구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277)으로 설명한다. 사랑을 설명하며 “순수한 폭력의 영역, 그러니까 법(합법적 힘) 바깥의 영역, 법제정적이지도 법보존적이지도 않은 이 폭력의 영역은 사랑의 영역”(281, 원문 강조)이라고 했다. 자신의 폭력 논의의 의의를 설명하면서는 “진정으로 폭력적이 되는 것, 사회적 삶의 기본 변수를 폭력적으로 뒤흔드는 행위를 감행하는 것은 어렵다”(284)고 말했다. 신적 폭력은 구조화된 사회적 질서의 외부에 있는 존재들의 어떤 실천이며, 그 존재가 머무는 곳은 사랑의 영역이기도 하다. 다른 말로 신적 폭력은 사랑의 영역이자 사랑의 폭력이며, 사랑의 영역에서 신적 폭력이 발생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비록 이 사랑/폭력을 실행하기가 참으로 어렵다고 해도 말이다.
사랑과 폭력의 관계를 다루는 지젝의 설명은 사랑을 급진적이고 폭력적인 실천이자 어떤 혁명적 가능성으로 해석할 여지를 만든다. 또한 사랑은 매우 폭력적인 개입 행위로 사유할 가능성도 생긴다. 지젝은 언어와 이웃의 관계를 이야기하며 사랑을 잠시 언급하는데 “누군가의 사랑을 받는 입장에 선다는 것은 매우 폭력적인 것이며, 심지어 상처를 받는 것이기도 하다”(93)고 했다. 사랑을 하는 행위가 사랑을 받는 사람에겐 폭력적일 수 있다는 지적은, 지젝의 의도가 무엇이건 간에, 전유해서(혹은 오독해서) 사유할 때 충분히 수긍할 수 있다. 무엇보다 지젝이 사랑의 폭력적 가능성을 처음 지적한 것도 아니다. 마리아 루고네스를 비롯한 많은 페미니스트가 지적했고, 근래엔 벨 훅스가 상세하게 설명했다. 그들은 사랑을 애정어린 그리고 깊숙한 개입으로 설명했다. 사랑은 단순히 연애 행위/감정이 아니다. 사랑은 타인의 삶에 깊이 개입하며 삶의 복잡한 측면을 알아가고자 하는 노력이며, 상대와 나의 변화를 야기하는 실천이다. 내가 있고 네가 있으며 둘이 그냥 만나는 행위가 아니라 내 삶의 근간과 네 삶의 근간이 모두 흔들리는 경험을 통해 서로의 삶을 완전히 재구성하는 실천이다. 그리하여 나와 타인의 경계, 나의 세계와 너의 세계, 우리와 그들, 이것은 내 문제고 저것은 네 문제라는 식의 구분을 허무는 실천이 사랑이다. 사랑의 정치에서 이웃은 더 이상 공포의 대상이자 출처가 아니다.
신적 폭력이 사랑의 영역에서 발생하고 사랑이 일종의 신적 폭력일 수 있다면, 사랑과 폭력의 개념 자체를 다시 사유해야 한다. “진정으로 폭력적이 되는 것, 사회적 삶의 기본 변수를 폭력적으로 뒤흔드는 행위를 감행하는 것은 어렵다”(284)는 말처럼 폭력적 사랑, 사랑스런 폭력, 그리하여 사랑폭력을 실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랑폭력은 비규범적 존재, 이른바 사회적 주변부에 존재한다고 여기는 존재가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삶의 다른 가능성/해석을 급진적으로 만들 수 있는 힘이라고 믿기에, 개념을 다시 사유하는 작업은 꼭 필요하다.
지젝, 슬라보예. 『폭력이란 무엇인가: 폭력에 대한 6가지 삐딱한 성찰』 이현우, 김희진, 정일권 옮김. 서울: 난장이, 2011. 인쇄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