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페미니즘, 트랜스젠더페미니즘 글쓰기

트랜스페미니즘 관련 글을 쓰기로 했다. 트랜스젠더 페미니즘을 이슈로 글을 쓰는 것 자체는 특별할 것 없는 일이다. 하지만 글을 구성하기가 어렵다. 이제까지와는 다른 어떤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내가 과문한 탓이며, 내가 알고 있는 한계 내에서 말할 수밖에 없지만, 여전히 한국에서 한국어로 트랜스페미니즘을 이야기하는 학술적 글, 이론적 글은 (나와 지혜 선생님의 글, 시우가 쓴 글 정도를 제외하면) 없는 듯하다. 블로그라면 완전변태 블로그에 안팎 님이 트랜스페미니즘으로 사유하는 글을 가끔 남기고 있다. 그러고 나면, 나는 아직 못 찾았고 그래서 내가 놓치고 있는 걸 누군가가 알려줬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도 있다. 페미니즘에서 트랜스젠더를 언급하거나, 트랜스젠더가 페미니즘을 언급하는 수준 말고, 트랜스페미니즘으로 다시 사유하고자 하는 글 말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론적 성취를 어느 정도 갖춘 글을 말하는 것이긴 하다.

젠더퀴어 담론을 구성하는 일군의 인물들이 트랜스페미니즘, 혹은 젠더퀴어페미니즘을 모색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론적 급진성으로 사유의 전회를 성취했는지엔 아직 판단 유보 상태다. 당연히 이것은 보잘것 없는 나의 판단일 뿐이니 얼마든지 틀렸을 것이다. 역시나 나의 게으름으로 못 찾은 좋은 글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좋겠다.

어찌보면 이런저런 상황을 아쉬워하기엔 전혀 다른 문제가 있다. (비트랜스)페미니즘에서 트랜스젠더와 관련하여 논쟁적 논의를 별로 하지 않는다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많은 논문은 법학 논문이거나, 트랜스젠더를 대상으로 삼는 논문이다. 트랜스젠더리즘으로 사회적 구조를 재구성하려는 글은 별로 없다. 동시에 한국의 이 망할 ‘보편적 인권 개념’, 권력이라곤 완전히 무시하는 ‘인권’ 개념, ‘당사자주의’ 등은 논쟁과 복잡한 논의를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나는 정말이지 때때로 ‘천부인권’이란 개념, 운동이나 학제에서 이른바 ‘소수자’ 이슈를 인권으로만 풀어가는 방식이 매우 문제가 많다고 고민한다. 인권 자체를 의심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PC(정치적 올바름)의 새로운 판본인 인권 감수성 있는 사람이란 강박이 어떤 말도 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중요한 많은 논쟁거리가 공적 논의 자리가 아닌 뒷풀이자리나 사석에서, SNS에서 이뤄지고 있다. 어쩌자는 것인지…

언젠가 내가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단독 저서를 낸다면 그것은 트랜스페미니즘을 논하는 글이길 바라고 있다. 하지만 별다른 논쟁도, 논의도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이야기를 하려고 애쓴다는 것이 무슨 소용인가 싶을 때가 있다. 소용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논의가 가능한가란 질문이다. 침묵하거나 대체로 사석에서 짧게 논평하는 수준을 제외하면 논의의 장 자체가 없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를 생산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그러니까 내가 작업하고 있는 것은 그저 혼자만의 부질없는 외침에 불과한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니 쓰지 않겠다고? 아니, 그러거나 말거나 나는 내가 쓰고 싶은 글을 쓸 것이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계속 할 것이고 그냥 혼자 떠들거다. 피드백은 내가 염두에 둔 조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냥 글을 쓰고 싶으면 쓸 뿐이다. 피드백 없다고 외롭다면 트랜스젠더 이론이나 퀴어 이론 자체를 그냥 접어야 한다. 그럼에도 고민은 된다. 사실상 논의의 장 자체가 부재하는 상황에서 논의를 전개한다는 것이, 어떤 이론적 지형, 구체적 토양, 그리고 접점을 만들 수 있을지 고민이기 때문이다. 분명 구체적 삶에서 고민하고 구체적 현장에서 나온 논의인데, 이론 놀이하는 느낌이다.

6 thoughts on “트랜스페미니즘, 트랜스젠더페미니즘 글쓰기

  1. 루인님 여기에 글 남기면 보시나요? 예전에 퀴어락에서 뵈었던 심찬희입니다.

    메일 드리려 생각하고 있는데, 우선 여기 짧게나마 글을 남깁니다.

    하지만 역시 이렇게 간단한 글로 말씀드리기는 한계가 크네요;;

    저는 주디스 버틀러의 몸 개념을 가지고 철학과 석사학위논문을 이번에 썼습니다.

    말그대로 ‘습작’인데요, 이 논문의 초고가 되었던 학회 발표문을 쓸 때도 그렇고 이번 논문쓰면서도 루인님 예전에 쓰셨던 기사 참고하였습니다. 부족한 글에 인용하였는데, 저에게는 굉장히 필요한 글이었습니다.

    사실 요 며칠 루인님이 ‘트랜스페미니즘’에 대해 여이연 등에 쓴 글 읽고 있는데

    석사논문 쓰는 과정에서 꼭 읽었어야 했던 글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논문을 꾸역꾸역 겨우 쓰느라 리서치를 제대로 하지 못해 이제야 읽고 있네요ㅠㅜ

    잘 읽고 있습니다. 더 읽고 싶고요. 여이연에 실린 글 중 두 편 정도 밖에 손에 못넣었어요. riss에 다 등록되어있지는 않은가보네요. 아쉽습니다~

    제가 더 찾아봐야죠 ^^ 특히 수잔 스트라이커에 대해 쓰신 글 잘 봤습니다.

    좀 더 자세한 이야기와 따로 더 드릴 말씀(제가 가진 책 몇 권이 혹시 퀴어락이나 루인님께 필요하실지에 대해)은

    시간이 나는대로 메일로 드리겠습니다.

    1. 비공개 님께
      성함보고 ‘혹시?’했는데 맞았네요! 정말 오랜만이에요! 그때 일 하느라고 정말 고생 많으셨잖아요.
      그러고 보면 입학하신다는 얘기를 들은 게 얼마 전인 것만 같은데 벌써 많은 시간이 흘렀네요. 석사 논문을 다 쓰셨다니 정말 고생 많으셨어요. 학위 논문은 늘… ㅠㅠㅠ 그저 나의 부족함을 확인하며… 즐거운 자학의 시간을 갖도록 하는 거 같아요… ㅠㅠㅠ 몸도 많이 힘들지만, 심리적으로도 엄청 많이 힘드실 텐데 잘 추스르시길 바라고요.

      부족한 제 글을 좋게 봐주시니 정말 고마워요! ㅠㅠㅠ
      제가 쓴 글은 (최근 것은 업데이트가 좀 안 되었지만) 지금 이 블로그의 상단 “writing”에 모두 정리해뒀어요… ^^; 혹시나 참고하시라고요..
      아무려나 어떻게 도움을 드렸을지 궁금하고, 부족한 저의 글이 비공개님께 도움이 되었다니 무척 기뻐요! 저야 말로 글을 발표하고 나면, 나무에게 못할 짓을 했다며 반성하고 부끄러워하거든요. ㅠㅠㅠ

      메일 기다릴게요! 퀴어락은 그 어떤 책도 환영하고요. 흐흐흐.

  2. 스마트폰으로 쓰기가 힘드네요;;

    건강하시고 따라서 건필하시기를!

    좋은 기회 있으면 뵙고 싶습니다^^

    발표하시는 글 꾸준히 찾아읽도록 하겠습니다. 진작 읽었어야 하는데 말이지만요…

    1. 나중에 기회가 되면 뵈어요! 늘 건강하시고요. 좋은 글, 아니 그냥 쓰고 싶은 글을 쓰기 위해선 건강이 정말 중요하더라고요. 🙂

  3. 와 말씀해주신대로 블로그 메뉴 통해서 트랜스페미니즘과 관련해서 쓰신 글 지금 읽고 있습니다.

    06년 글부터 읽고 있는데.. 정말 이번에 처음 읽는 글인데! 누가 제 논문을 보거든 제가 루인님 글을 매우 많이 참고해서 고쳐썼다고 생각하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제가 고민하고 써보려 애썼던 것들/현재에도 애쓰고 있는 것을 예전에 글로 쓰셨군요!

    글에 담긴 고민뿐 아니라, 살면서 마주치게 되는 상황들까지도 어쩌면 이렇게 비슷한 것인지 ^^
    06년이면 전 대학교 1학년 때네요 ^^

    좋은 글 감사해요~ ^^

    1. 많이 부족하고 부끄러운 글인데 좋게 말씀해주셔서 정말 고마워요. ㅠㅠㅠ
      비공개 님 논문을 아직 못 읽었지만 저보다 훨씬 잘 쓰셨을 거라고 믿고요!
      나중에 시간되실 때 꼭 뵈어요. 늘 건강 잘 챙기면서 지내시고요.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