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있을 수 있다’와 ‘있다’ 사이의 간극

오랜 만에 특강을 하고 왔다. 2007년 처음으로 특강을 했으니 이제 햇수로 9년째지만 일년에 기껏해야 3~4번 강의를 하는 나로선 여전히 강의 자체가 부담스럽다. 글을 쓸 기회가 생기면 기뻐서 좋아하지만 강의를 할 일이 생기면 어지간하면 다 받지만 그럼에도 무척 부담스럽다. 오늘도 그랬고 가고 싶지 않아서, 가는 버스에서 깜빡 잠들어 아주 먼 곳으로 가고 싶었다. 그럼에도 강의 자체는 무난하게 끝났다.
강의를 할 때면 이 자리에, 이 강의실에 동성애자, 양성애자, 이성애자, 무성애자, 트랜스젠더, 젠더퀴어 등이 그냥 있다고 미리 말하고 시작할 때가 있다. 이때 핵심은 ‘있을 수 있다’가 아니라 ‘있다’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다른 인식론이다. ‘있을 수 있다’는 없음을 전제하지만 그럼에도 염두는 두겠다는 오만함이다. 비교를 하자면 외국으로 여행을 가는 일을 외국여행으로 말하느냐 해외여행으로 말하느냐와 같은 차이기도 하다. 뉴스를 들어도 해외여행이라는 말을 매우 빈번하게 사용하는데 이 말은 제주도를 한국의 영토가 아니라고 가정한다. 제주도 뿐만 아니라 많은 섬을 한국의 영토가 아닌 것으로 사유한다. ‘있을 수 있다’는 이런 것이다. ‘있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가 아니라 ‘있을 수 있으니 없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존재를 적극 사유하는 언설이 아니다. 기존의 지배 규범과는 다른 식의 입장으로 말하는 태도도 아니다. 그냥 기존의 지배 규범에 부합하는 언설이다. 그래서 나는 강의를 할 때면 ‘이 자리에 양성애자, 동성애자, 이성애자, 무성애자, 트랜스젠더, 젠더퀴어 등이 있으며, 정확하게 이 측면에서 말을 하겠다’고 말하곤 한다.
오랜 만의 강의 치고는 나름 재밌었고 질문도 좋았다. 수강생 중에선 한 명만이 질문을 했는데 섹스-생물학적으로 타고나는 성이 없다면 이성애, 동성애 등도 흔들리고 불가능한 것 아니냐고 물었다. 정말 멋진 질문이었다. 정말 좋은 질문이라고 칭찬을 해주며, 성적지향을 섹스(란 것이 있다고 가정할 때)로 설명할 때, 이원젠더로 설명할 때, 젠더로 설명할 때를 나눠 다시 이야기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