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연합뉴스TV에 강명진 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장과 기독교의 누군가가 나왔다. 어김없이 노출 이슈가 등장했다. 기독교의 누군가는 “우리 청소년과 우리 아이들”에게 유해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출을 하는 퀴어문화축제가 개최되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진행자가 질문했다. 노출 문제를 잘 처리하면 퍼레이드 개최에 찬성하느냐고. 누군가가 말하기를 그렇지는 않다고 했다. 반대를 위해 반대하며, 노출은 그저 핑계일 뿐이라는 자기고백이었다.
작년 퀴어문화축제 퍼레이드가 끝나고 (어김없이) “빤스”차림이 논란이었다. 퍼레이드는 좋지만 굳이 팬티 차림이어야 하느냐라는 질문은 이성애-비트랜스젠더 뿐만 아니라 비이성애-비/트랜스젠더에게서도 나온 반응이었다. 주변에 보기 안 좋고 반대도 심하니 팬티 차림은 하지 말자는 주장이 꽤 많았다.
선암여고 탐정단의 여고생 키스 장면을 두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 경고 조치를 했다. 최종 결정을 하던 날, 박효종 위원장은 “동성애는 동성애자들 간의 키스가 아닌 방식으로 얼마든지 우아한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 키스를 하는 장면을 보여준 것은 동성애의 본질 문제와는 거리가 먼 선정적인 표현방식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라고 주장하며 경고 조치를 하는데 강하게 동의했다. 그러니까 이른바 성적으로 보이는, 그리하여 ‘선정적인 표현방식’은 방송이나 공공에 등장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이다. 매우 규범적이고 단정하여 얼핏 봐선 비이성애자-트랜스젠더인지 확인할 수 없도록 행동하라는 뜻이다.
빤스 논란 역시 마찬가지다. 기독교의 누군가가 밝혔듯, 반대나 비난의 핵심은 팬티 차림이나 노출이 아니다. 그것은 그저 반대할 거리, 비난할 거리에 불과하다. 누구도 팬티 차림을 하지 않는다면 부적절한 애정행각을 문제 삼을 것이다. 혹은 다른 무언가를 문제 삼을 것이다. 그러니까 무조건 문제 삼을 것이다. 기독교의 누군가가 말한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나는 너희를 무조건 반대할 것이다. 너희가 아무리 점잖게 행동하더라도 공공에 등장하려고 하는 이상, 무조건 반대할 것이다.’
‘우아한’ 혹은 ‘점잖은’ 재현은 존재의 자기 표출이라기보다는 결국 규범이 선호하는 방식에 포섭되면서 이성애가 아닌 것을 결코 공공에 드러내지 말아야 한다는 요청과 강하게 공명한다. 그 결과는?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이성애규범적 형상만 미디어와 공공에 존재하겠지. 그리하여 그러한 규범에 부합하며 살 수 있는 계급의 비이성애자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살아가겠지만 그렇지 않는 이들의 삶은 지금보다 더 힘들고 때때로 불가능한 삶을 살 것이라고 고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