퀴어문화축제 퍼레이드에 참가하면 퀴어된다?

“퀴어퍼레이드 참가하면 게이된다”, “퀴어퍼레이드를 보고 정체성 혼란이 생기면 어떡하냐”란 말을 이른바 혐오 세력이 하곤 한다. 한편으로 나는 이런 말에 진지하게 대응할 필요가 없다고 고민한다. 그냥 대차게 비웃어주면 그만다. 저 언설의 프레임, 즉 퀴어를 부정적 존재로 이해하는 인식에 말려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인터넷에 떠도는 표현 중에, “빙어 축제에 참가하면 빙어되나요?”와 같은 것이 있는데 그냥 이 정도의 비웃음이면 충분하다고 고민한다. 중요한 것은 저 프레임에 말려들지 않는 것이다.
그럼에도 나는 혐오 세력의 언설이 매우 정확한 진단이라고 판단한다.
인간은 언제나 오염된 존재다. 혐오 세력의 ‘우려’가 내포하는 가장 큰 문제는 인간을 이성애-이원젠더 규범으로만 오염시켜야 하고 다른 규범과 실천에선 격리시켜야 한다는 불안한 강박, 퀴어를 멸균해야 한다는 공포다. 다른 말로 저 ‘우려’는 인간이 주변의 영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런 노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있다. 실제 인간은 관계와 사건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고 그런 영향을 통해 지속적으로 흔들리고 혼란을 겪고 또 변한다. 정확하게 이런 지점, 저 ‘우려’가 염두에 두고 있는 그 지점에서 다시 사유할 때, 퀴어퍼레이드에 참가하고 퀴어가 되면 어떡하느냐고? 퀴어가 안 되면 그것이 더 문제다. 어떤 사건을 겪음은 그 사건을 겪기 전과 겪은 이후 전혀 다른 존재가 된다는 뜻이다. 즉 이성애자-비트랜스젠더가 퀴어퍼레이드에 참가한 이후 퀴어퍼레이드가 주창하는 어떤 정치학, 퀴어퍼레이드 참가자 각자가 주장하는 정치학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인상을 받고 그와 관련한 고민을 한다면 그 참가자는 이미 이전과는 다른 존재로 변한 것이며, 정확하게 이런 점에서 퀴어의 포괄적 범주에 속하게 된다.
그리하여 “퀴어퍼레이드에 참가하고 퀴어가 되면 어떡하냐”는 ‘우려’에 대응하며 “빙어축제에 참가하면 빙어가 되냐”는 반응은 더 위험하고 문제가 많은 대응일 수 있다. 전자가 인간의 오염됨을 염두에 두는 인간관이라면 후자는 이를 차단하는 인간관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가 인간의 유동성을 끊임없이 염두에 두고 동시에 이를 경계하고 싶어하는 태도라면, 후자는 인간의 유동성 자체를 전제하지 않는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대차게 비웃는 방식으로 저 ‘우려’에 대응할 지점은 저런 ‘우려’를 통해 유포하는 혐오와 적대지 저런 언설에 내재하고 있는 인간관은 아니다.
퀴어퍼레이드에 참가해서 퀴어가 되면 어떡하냐고? 그런데 그게 왜 문제지? 어떤 사건을 겪은 사람은 변할 수밖에 없다. 퍼레이드는 참가자의 인식 뿐만 아니라 ‘구경꾼’의 인식도 변하도록 요구하는 측면이 있다. 그런 점에서 ‘퀴어’가 된다면 이것은 퍼레이드의 좋은 효과 중 하나다. 퀴어퍼레이드는 퀴어를 이해함에 있어 이성애제도를 전혀 고민하지 않으면서 손쉬운 수용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퀴어 이슈를 끊임없이 논쟁하고 떠들면서 이성애-비트랜스젠더건 LGBT/퀴어 혹은 트랜스젠더퀴어건 이들 모두가 퀴어 이슈에 연류된 존재란 점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와 ‘그들’이 있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연류되어 있다. 그리하여 저 ‘우려’는 퀴어퍼레이드의 효과와 영향을 매우 잘 평가한 언설이다. 인간의 변화와 오염 가능성을 끊임없이 염두에 두면서도 퀴어 이슈에 오염되게 해서는 안 된다고 강변하는 태도가 문제다.
“퀴어퍼레이드에 참가해서 퀴어되면 어떡하냐!!!”
“아이구, 그렇게 되면 정말 좋지요. 퀴어퍼레이드가 지향하는 바가 그것이니까요.”
*물론 현재 퀴어문화축제 퍼레이드팀의 정치적 목적이 이것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축제 퍼레이드팀이 고민하는 정치적 목적은 훨씬 복잡하고 더 많은 것을 고려해야 하니까요. 이 글에서 ‘지향하는 바’는 제가 해석하는 측면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