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병리화 관련 자료를 보다보면 참 복잡한 고민이 계속 떠오른다. 이런 고민은 나는 건강 관리를 해야할까라는 매우 애매한 고민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한 사례. ㄱ은 혈관 관련 병으로 총 7번을 입원하고 수술을 했다. 혈관 관련 병은 무척 다종다양한데 모두 동일한 진단명이었다. 의사도 답답한지 이 무슨 돈 낭비에 시간 낭비냐고 했다. ㄱ은 7번을 수술하고서야 금연을 시작했다. 금연이 유일한 예방책은 아니지만 반드시 해야만 하는 예방행위였다. 7번의 동일한 수술 끝에 예방행위를 시작했다.
ㄱ의 삶을 내가 함부로 재단할 수 없기에 지금 이 글을 쓰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 아마도 공개하고 나면 곧장 후회하겠지…
ㄱ의 사례를 보며 나는 복잡한 기분에 빠졌는데 ㄱ은 7번 병원에 입원할 수 있는 몸이구나란 깨달음 때문이었다. 일인실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이원젠더 구조에 따른 병실을 이용하기 마련이다. ㄱ은 그 구조가 별로 불편하지 않았기에 첫 수술 이후로도 예방책, 즉 이원젠더 공간에 다시 입원하지 않기 위한 예방책을 마련하지 않았구나 싶었다.
또한 ㄱ은 7번의 입원비와 수술비를 마련할 경제적 여건이 되는 상황이구나… 한두 번은 입원할 수 있지만 금연으로 그 횟수를 줄일 수 있다면 혹은 더 이상 입원하지 않을 수 있다면 그렇게 선택하지 않을까? 적어도 나라면 그랬을 텐데 나에겐 입원비도 수술비도 없기 때문이다. 보험이나 다른 무엇이 지원된다고 해도 어쨌거나 지출해야 하는 입원비부터 감당할 자신이 없다. 그런 나의 상황에선 재발하지 않는 상황을 선택할 텐데 ㄱ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물론 욕망은 경제적 상황보다 강하다. 욕망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초월한다. 그래서 다양한 사건이 발생하거나 새로운 가능성이 등장할 수 있다. 소심한 나는 그러지 못 하기에 예방책을 마련하겠지…(마지막 문장은 거짓말인데 내가 정말 소심했다면 책을 사지도 않았으리라… 지금까지 지불한 책값을 다 모으면 빚을 다 갚았겠지…)
아무려나 ㄱ의 상황을 보며 깨닫기를 결국은 입원하기에 적당한 젠더, 적당한 경제적 상황이 아니라면 입원하지 않기 위해 어떻게든 건강을 관리해야 하는 것일까라는 고민을 한다. 나 자신 트랜스젠더퀴어고, 젠더 이분법으로 분명하게 나뉜 공간 이용을 매우 꺼리는데 입원을 하게 된다면 어떤 감정일까? 예를 들어 젠더 이분법으로 나뉜 공간 이용을 철저하게 거부한 비십대 젠더퀴어가 건강 관리를 제대로 못 해서 자신도 모르게 병원에 입원했고 병실은 자신이 거부하는 젠더의 공간이라면 이 상황을 마냥 수긍해야 할까? 병실을 본인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한 동시에 현재 상황에서 입원하지 않도록 몸을 관리하는 작업도 필요하겠지.
무엇보다 나의 경우 입원비도 수술비도 없기에 입원하지 않을 수 있는 몸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 즉 내 수입의 한계 내에서 어떻게든 몸을 관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건강관리를 어떻게 퀴어하게 바꿀 수 있을까? 트랜스젠더퀴어의 맥락에서 어떻게 건강 관리를 다시 설명할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이 들었다. 동시에 끊임없이 비만을 병리화하며 모든 질병의 원인으로 지목하는 방식의 태도를 비판하는 작업과 건강관리의 트랜스젠더퀴어화는 어떻게 결합할 수 있을까도 고민거리다. 물론 안다. 이미 누군가가 이런 논의를 했으리란 걸. 찾으면 나오겠지.
ㄱ의 삶을 극도로 단순하게 만드는 만행을 저지르면서 이런 고민을 하고 있다. 타자화, 저소득, 이원젠더 구조, 비만, 건강관리, 트랜스젠더퀴어… 중요한 고민거리다.
한국에서는 병실들이 젠더 기준으로 나뉘어있어요? 나누지 않으면 병원이 이득일텐데ㅎㅎ
일인실이 아니면 다 나눠요.. -_- 나눠야 한다고 믿으니까 관련 고민이 없는 듯도 하고요… 크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