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총선에서 녹색당에 비례투표를 할 예정이었다. 내가 사는 지역엔 지역의원 후보는 제한적이라 비례 투표는 그럴 예정이었다.별다른 일이 없다면 그럴 계획이었다. 그런데 녹색당에서 동성결혼 법제화를 공약으로 내걸었다는 기사를 읽었다. 마, 치아뿌라. 그리고 다른 몇 개의 당을 고민했다. 노동당일 수도 있고 정의당일 수도 있다. 뭐든 좀 더 살펴보리라 했다. 노동당에서도 동성결혼을 전재하는 공약을 내걸었다. 됐다. 치아뿌라. 뭐 이런 식이란 말이냐. 정말 마음에 안 든다. 아니 화가 나는데 다른 많은 퀴어 이슈가 아니라 동성결혼이 이렇게 정당정치에서 홍보용 주요 정책으로 채택될 수 있는지가 궁금하다. 이 권력 역동, 특권적 이해가 LGBT/퀴어 정치의 대표 정치로 치환되는 지점을 납득할 수 없다.
정의당을 잠시 고민했지만 선거송을 부른 밴드 이력을 알고서… 마, 치아뿌라.
비례투표에서 뽑을 당이 없어 고민이다. 결국은 어딘가에 투표는 하겠지만 할만한 곳이 없다. 다시 나는 중얼거린다. 투표용지에 “이 중에서 지지하는/괜찮은 후보/정당 없음”이란 항목이 있어야 한다고. 이 항목이 필요하다고.
동성 결혼 이슈를 왜 특권적 이해로 생각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동성결혼 이슈를 최우선 과제로 주장하는 입장에 있는 이들은 그것만 해결되면 다른 것은 문제될 것이 없다는 위치기도 합니다. 물론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요. 그 말은 다른 경제적 이슈, 노동 환경, 교육, 장애 여부, 이주/인종 이슈 등 다른 차별은 그 사람에게 중요하지 않은 정치란 뜻이기도 하고요. 특히 미국 등에서 동성결혼 이슈는 정말 결혼 문제만 해결되면 문화적 시민으로 사는데 아무 문제 없는 이들이 주로 제기하고 있어서 중산층의 특권적 의제란 비판을 많이 받고 있어요. 한국도 이런 상황과 얼마나 다를까 싶고요. 아래 댓글을 달아주신 분의 글에도 잘 나와 있다 싶어요.
공약으로 내건 것은 그렇다치더라도 현실적인 실현 방안이 있긴 한걸까 의문이네요. 법제화되는 과정만 생각해도 벌써 보수단체나 기독교 단체가 무슨 난리굿을 칠 지 뻔한데… 그걸 다 무슨 수로 극복하고 법을 만들겠다는건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결혼도 돈이 있고 사회적인 인식이 어느정도 뒷받침되어야 하지 당장 커밍아웃하면 직장 짤리게 생길 판인데 덜컥 결혼 제도가 생긴다고 결혼할 수 있을 사람이 몇이나 될지도 의문이고 제도가 생겼다고 사람들이 바로 생각이 바뀌어서 동성애를 긍정할리도 없구요. 최근 들어 매스미디어에서도 많이 언급이 되고 젊은이들 사이에서 퀴어 문화가 유행하기도 하니까 나름 힙해 보이려고 덜컥 공약으로 내건 모양인데 정 성소수자 관련해서 제도를 정비하고 싶다면 안정적인 노동권 확보라든가 학교에서 교육 내용을 재고한다든가 이런 것부터 차근차근 해나가는 게 순서 아닐런지요. 매번 구경만 하다가 답답한 심정에 댓글 남겨봅니다…
정말 답답한 일이에요. 동성결혼이 합법화된다고 해서 사회적 차별이나 편견이 없어지는 것도 아니고 계급과 나이 이슈가 더욱 복잡하게 작동할 텐데, 왜 동성결혼을 마치 모든 퀴어의 최우선 과제처럼 이야기하는지 이해할 수 없고, 종종 화가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