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4.07.18:00 아트레온 1관, [내 남자의 유통기한], 1층G-8
2006.04.07.21:00 아트레온 1관, [비행기 납치범, 레일라 카흐레드]/[밀리언 달러 블랙 다이크], 1층I-8
#[내 남자의 유통기한The Fisherman and His Wife]
작년 제 7회 서울여성영화제때, 선택한 영화의 특징은 상당수가 다큐멘터리라는 점이었다. 딱히 다큐멘터리 장르를 좋아하는 건 아니고, 다만 드라마라면 언젠가 극장에서 상영할 가능성이라도 있지만 다큐라면 그럴 가능성이 별로 없기에 이 기회에 다큐나 실컷 즐기자, 였다. 하지만 이런 결정은 곧 아쉬움으로 남았는데, 선택한 다큐들이 좋았지만, 드라마를 통한 쾌락을 즐길 순 없었기 때문이었다. (덕분에 작년 상영작 중 가장 매력적인 작품이라 꼽히는 상당수를 놓쳤다.) 그래서 이번엔 드라마를 일정 이상 선택하겠다고 다짐했고 그러다보니 대부분을 드라마로 채웠다.
[내 남자의 유통기한]은 바로 이런 이유로 선택한 작품이기도 하다. 드라마를 선택해야겠다는 강박이 덜했다면 지나쳤을 가능성도 컸다. 지나쳤다면 아쉬웠을까? 글쎄, 아마도 반반이지 싶다. 우선, 이 영화, 재밌다. 일테면, 잉어들이 얘기를 나누는데, 남편 역의 잉어가, 어떻게 첫 눈에 반할 수가 있느냐고, 당신은 왜 첫 눈에 반했냐고 묻자, 아내 역의 잉어가, 그땐 당신에 대해 잘 몰랐으니까, 라고 대답한다. 이런 식으로 영화는 속 시원하게 해주는 장면들과 ‘이성애’ 관계의 두 사람이 부부가 되고 어떻게 소통하는 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이성애’ 부부는 기존의 젠더 역할을 뒤바꾼 듯 아닌 듯 행동하고 있는데 이 과정, 현대사회에서 기존의 ‘남성’ 중심으로 이루어진 사회와 가족제도에서 ‘여성’이 직장에 나가고 ‘남성’이 가사노동을 하는 관계들이 어떤 식으로 소통을 할 것인가를 질문하고 있다.
감독의 대답은? 열려있다. 어떻게? 밝히면 스포일러가 되니 비밀.
하지만 이 영화에서 아주 불편한 지점들이 나온다. 감독은 아니라고 했지만, 루인에겐 일본(동양)인에 대한 감독의 타자화하는 시선이 선명했다.
#[비행기 납치범, 레일라 카흐레드Leila Khaled Hijacker]
이 영화, 최고다. 애초 이 영화는 선택하지 않았는데 루인의 흥미는 [밀리언 달러 블랙 다이크]였고 두 편을 묶어서 상영하기에 봤을 뿐이다. 하지만 이 영화, 최고다. [시리아나]와 비슷한 질문구조에서 시작하는 이 영화는 [시리아나]와는 비교도 안 되게 잘 만들었다. 아, 물론 드라마는 아니고 다큐멘터리.
감독이 직접 말하지 않지만 루인이 던진 질문은, 기존의 언어는 누구의 입장을 반영하는가, 이다. 얼마 전 한겨레에서 했던 정희진 선생님의 특강과 닿아있다.
우선, 레일라는 테러리스트라도 젠더가 얼마나 중요하게 작동하는지를 말한다. “테러리스트”로 영국에 잡혔을 때, 기자들이 한 질문은 “키스는 해 본적이 있냐?”, “섹스는 해봤냐?”와 같은 것이었다고 한다. 비록 나이 든 레일라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우상과도 같은 존재지만 젊었을 때의 레일라에 대한 기억은 얼마나 매력적으로 생겼는가, 이다. 실력이 아니라 섹슈얼리티로 환원해서 판단하는 장면.
이 다큐의 문제의식은 감독과 레일라의 충돌에서 드러난다. 감독은 레일라를 그래도 문제가 있는 “테러리스트”가 아니냐고 묻고 레일라는 자신을 “자유의 투사”로 명명하며 되묻는다. 도대체 “테러”의 정의(定義, definition)를 누가 하느냐고. 미국이나 서유럽 사람들, 이스라엘 사람들에겐 레일라가 테러리스트겠지만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겐 자유의 투사이다. 이 말을 접하며 한국의 일제식민지 시대가 떠올랐다. 한국의 한국사 교과서엔 윤봉길이나 유관순들을 독립투사로 기록하고 있고 당시에도 그런 의미였지만 일본의 입장에선 반란이었고 폭동이었다. 누구의 입장에서 정의하느냐가 언어의 의미를 바꾼다. 다큐를 진행하는 내내 감독이 가지는 혼란 역시 이 지점이다. 팔레스타인 출신이지만 스웨덴에서 전쟁의 고통 “없이” 살았던 감독은 테러는 곧 사악한 폭력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레일라와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만나면서 이런 믿음이 흔들리는 걸 경험한다.
감독은 어린 아이들에게 전쟁 훈련을 시키는 건 문제가 아니냐고 묻는다. 한국 언론에서도 자주 등장하는데, “테러범”들의 “비인간”적인 모습을 부각하기 위해 어린 아이들도 총을 들고 다니며 군사훈련을 받고 있는 사진들. 하지만 이건 세상의 모든 아이들은 동일한 환경에 있다는 착각에서나 가능한 환상이며 이런 환경에 처하게 된 상황의 원인과 맥락을 묻지 않는 방식이다. 자신이 살던 땅이 침략당하고 자신의 가족들이 “적”들에 의해 학살당하고 있고 자신도 언제 그런 상황에 놓일지 모르는 상황인데, 왜 어린 아이들도 군사훈련을 하느냐는 질문을 던지는 건, 무지를 넘어 폭력이다. 서유럽 혹은 미국 같은 나라에서 주장하는 아동에게 최고라고 주장하는 환경 자체를 박탈하고선 왜 이런 환경을 갖추지 않느냐고 되묻는 건, 횡포일 뿐이다. 가진 자의 권력 과시 말고 다른 어떤 말을 붙일 수 있을까?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주로 한다고 간주하는 “테러”의 방법 또한 마찬가지다. 그전까지 이스라엘과 서유럽, 미국 등이 행한 폭력에 아무리 항의해도 그 어느 언론도 보도하지 않았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겪는 일은 세상에 “없는” 일인 셈이다. 결국 선택한 방식은 테러였고, 자신들의 목소리를 듣게 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이 비행기 납치였다. (레일라의 말처럼 사람들 누구도 다치지 않았다.) 이때,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저항이 무조건 폭력적이라고 나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왜 “평화”적인 방법이나 “대화”를 하지 않고 “극단”적인 방법을 쓰느냐고 말할 수 있을까.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은 기득권을 가졌거나 자신의 위치를 읽고 싶지 않는 사람이거나 저항해서 목소리를 내는 행위를 시기하며 상대도 자신처럼 침묵하길 요구하는 사람이거나. 루인은 비행기에 타고 있던 사람들은 과연 “무고하”고 “아무 잘못 없는” 사람들인가에 회의한다. 모를 수 있음, 고민하지 않음 역시 권력이고 폭력이기 때문이다. 발포 명령자만 처벌하면 그 명령을 시행한 사람은 아무 잘못이 없다고 말 할 수 있을까? 그런 만행을 방관한 사람들에게 아무 잘못이 없었다고 말 할 수 있을까? 회의한다. (이와 관련해서 제주4.3이나 광주5.18을 떠올리고 있다. 전두환과 몇몇 지휘관만 처벌하면 그만일까? 총을 쏜 군인들은 그냥 시키는 대로 했을 뿐이니 아무 잘못 없다고 할 수 있을까? 광주나 제주도에서 “빨갱이”들이 난동을 일으켰다며 욕한 다른 지역 사람들의 행동은 묻지 않아도 되는 것일까? 전두환이 비자금 문제로 재판장에 섰을 때, 루인이 접한 부산 사람들의 반응은, “그래도 전두환이 인물이지”라는 식이었고, “우리는 진짜 빨갱이가 폭동을 일으키는 줄 알았다니까”라는 식으로 회피하려고만 했다. 이런 반응을 접한 루인에겐, 회의적이다. 또한 지율 스님의 단식 방법, 언설들이 이런 맥락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모든 언어는 특정 누군가의 경험을 반영한다. 그 경험에 토대를 두고 있는 언어로 질문하고 판단하는 건,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와 같다.
아직 두 번 더 상영할 예정인 이 영화, 강력 추천작이다.
#[밀리언달러 블랙 다이크A Knock Out]
이런 이유로 정말 즐기려고 했던 [밀리언 달러 블랙 다이크]는 그냥 무난하게 지나갔다. 인터뷰 장면에서 ‘게이'(미국에서의 의미로 ‘동성애’자)라고 밝혔지만 이 지점은 그렇게 부각하지 않고 있다. 스포츠마케팅에서 ‘여성’이 어떻게 상품화되는지, 이런 상품화에 저항하면 어떻게 퇴출되는지를 주로 드러내고 있다. 요즘의 루인이 기득권자와 저항자의 ‘폭력’이 가지는 의미의 간극/간격을 몸앓고 있고 그래서 [레일라]에 빠졌지만, 이 다큐도 충분히 재밌다.
*[내 남자의 유통기한]처럼 이 다큐 역시 한국어 제목이 영어와 많이 다르다. 다큐를 시작하고 제목이 나오면서 알았는데, 결국 [밀리언 달러 베이비]를 따라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