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지역, 혹은 유학(메모)

수업을 하다보면 여러 국가에서 온 유학생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기회를 가질 때가 있다. 그리고 한참 전에 이야기를 나눴던 유학생 중 한 명이 했던 질문은 꽤나 오래 내게 중요한 질문이 되었다.

굳이 한국으로 유학을 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예를 들어, 이탈리아에서 공부하다 대학원을 한국으로 왔다면 다른 여러 국가 중 굳이 한국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일까? 한국이라는 지역의 어떤 문화나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서일 수도 있고 한국 역사나 한국과 관련한 무언가에 관심이 있어 유학을 왔을 수도 있다. 그리하여 논문을 위해 연구를 한다면 한편으로는 한국의 어떤 문화를 분석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문화가 한국에 거주하는 이탈리아 사람들에게 수용되거나 체험되는 방식을 연구할 수도 있다. 이것은 익숙한 패턴이다. 그런데 내게 질문을 던진 유학생은, 왜 유학생이라고 해서 출신 국가의 사람들과 관련한 연구를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것이었다. 인도에서 한국으로 유학을 왔다고 해서, 인도의 어떤 문화를 연구하거나 한국에 거주하는 인도 사람들의 경험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왜 많은 교수들은 이것을 요구하는가? (각 국가는 그냥 떠오르는대로 적은 것이다.)

이 질문은 중요했는데, 역으로 왜 미국으로 유학을 간 한국인 공부노동자들은 계속해서 한국을 필드로 삼고 있을까? 한국을 연구 필드로 삼고 있다면 왜 유학을 가는가? 미국에 가면 한국의 특정 관심 분야를 더 잘 이해하거나 배울 수 있어서 일까? 그것이 아니라면 왜 미국으로, 혹은 영국이나 다른 서구 사회로 가서 유학을 하는 것일까? 특정 국가로 유학을 간다면 그것은 그곳에 가야 내가 연구하는 분야를 더 잘 배울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미국에서 생산한 퀴어이론은 미국에서 더 잘 배울 수 있겠지만 한국이라는 국가에서 논의되는 퀴어연구와 지형도 그러한가? 퀴어 연구의 반규범성에 대한 고민과 이런 공부노동과 지역의 문제는 또 어떻게, 어떤 규범성을 재생산할까?

이 질문은 연구와 공부의 지역적 감각을 배타적으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어떤 연구와 공부의 정치적 감각, 몸의 감각과 관련한 이야기를 하고 싶을 뿐이다. 예를 들어 몇 해 전, 업무차 광주에 며칠 가 있었는데 쉬는 시간에 할일이 없었다. 그래서 광주가 고향인 친구에게 광주에서 유명하거나 들를만한 관광지를 물었는데, 그 친구의 대답은 내게 어떤 깨달음과 같았다. 자신은 고향에서 떠나 서울해서 생활한지 20년이 지났기에 모른다였다. 이것은 매우 정확한 말인데 나 역시 내 고향을 이제는 모른다. 고향에서 살 때도 잘 몰랐지만 일년에 서너 번 겨우 가는 지금은 더더욱 모른다. 남들이 물어봐도 그저 유명한 관광지 몇 곳을 말할 수 있을 뿐이다. 마찬가지로 나는 이태원를 내 연구의 주요 관심 지역으로 삼고 있지만 주기적으로 방문하지 않으면 그냥 모르는 동네에 더 가깝다. 마지막으로 방문했을 때의 기억이 내가 아는 그 지역의 모습이다. 심지어 이태원은 시간대에 따라 완전히 다른 모습이기 때문에 그저 방문하는 것으로는 알 수 없다. 마찬가지로 나는 지금 사는 동네에 이사온지 10년이 넘었는데 이 동네를 알게된 지는 7년 정도 밖에 안 되었다. 그 전에는 출퇴근만 했기에 출퇴근 경로만 알았고 H와 이 동네를 산책하고, 주변 가게와 지형을 꼼꼼히 구경하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나는 이 동네를 알아가게 되었다.

이 세 가지 에피소드는 몇 가지 중요한 점을 내포한다. 첫째. 특정 지역에 오래 살았다고 해도 그 지역을 떠난지 오래되었다면 더이상 알 수 있는 지역이 아닐 수 있다. 둘째. 단순히 주기적으로 방문한다고 해서 해당 지역을 안다고 말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셋째. 해당 지역에 현재 거주하고 있다고 해도 그 지역을 알기 위해 의도적으로 탐방하지 않으면 역시나 알 수 없다. 8년 정도 전, 나는 서울 몇몇 지역을 효도 관광을 했는데 그제서야 비로소 나는 서울도 관광을 하고 배움이 필요한 지역임을 깨달았다. 내가 산 지역, 살았던 지역은 당연히 내가 연구할 수 있는 지역, 내가 아는 지역이라는 믿음이 식민주의-제국주의가 일상에서 작동하는 핵심 장치다.

이제 다시 앞의 질문으로 돌아가자. 한국으로 유학온 학생들에게 출신 국가의 문화를 연구하기를 요구하는 것은 일종의 편견이자 식민주의적 상상력이다. 왜 그래야 하는가. 한국으로 유학을 왔다면 한국의 무언가를 연구하기 위해 온 것 아닌가? 본인의 관심이 한국과 자국의 문화비교이거나 한국에 와야 비로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왜 한국에 왔을까를 고민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내가 아는 또다른 유학생은 한국 문화를 별다른 부담없이(부담이 없지는 않았지만) 연구를 곧잘했다. 그러니 남아공 출신이니까 남아공을 필드로 삼는 것이 연구에 수월할 것이고 이는 일종의 배려라는 생각은 편견이거나 학문적 위계를 재생산하는 것은 아닌지 다시 반복해서 질문할 필요가 있다.

그럼 한국에서 미국(주로 미국으로 가니까)으로 유학을 가는데 여전히 자신의 필드는 한국이고 그것을 해석하는 언어는 미국에서 생산한 이론이라면 이 간극을 어떻게 더 적극적으로 해석할 수 있을까? 이것이 간단하게 미국은 이론-한국은 데이터라는 논리를 재생산하려는 질문은 아니다. 나는 이미 다른 리뷰 논문에서 이런 식의 이분법은 한국에서 지식과 연구가 생산된 방식을 무시하는 태도, 즉 가장 식민화된 태도라고 논의한 바 있다. 그렇기에 여기서 내가 하는 질문은 연구 필드는 한국인데 왜 미국으로 가는가에 있다. 왜 미국의 특정지역일까?

하지만 다시, 여기에 추가될 필요가 있는 질문은 지역은 좌표가 고정된 상태인가이며 이는 앞의 고민을 재고하도록 만드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미국 텍사스대 교수로 있으면서 한국 문화를 가르치고 한국의 특정 문화를 연구하는 공부노동자가 있다면 그 논의에서 다루는 한국은 그 공부노동자가 재형성한 한국이다. 그 논의에서 다루는 맥락은 지금 경기도 접경지역에 사는 내가 다루는 한국과는 다를 것이다. 이는 영어가 수천 가지가 있듯, 지역적 문화나 현상 역시 좌표에 고정되기보다 계속해서 재형성되며 일종의 양자얽힘(이해는 안 되는데 몇 년째 꽂혀있음 ㅋㅋ) 관계를 갖는 것이기도 하다. 이럴 때 다시, 왜 공부 노동을 하는 지역과 연구 필드 사이의 큰 간극을 어떻게 다른 질문의 지형으로 이동시킬 서 있을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