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살벌한 연인: 맥락, 불필요한 죄의식 걷어 치우기

2006.04.19.21:15, 아트레온 2관 F-7 [달콤, 살벌한 연인]
기본적으로 스포일러는 없지만, 영화를 즐기는데 방해를 줄 수 있는 해석일 수는 있어요. 말하나 마나.

#1
그렇지만 상부의 군인들만 욕할 수는 없는 게 대중을 대신하여 기자들이 그 ‘이유’라는 걸 묻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다시 말해 우리 모두는 ‘이유’에 중독 돼 있다. 이유가 공급되면 안심이 되고 이유가 없으면 불안해한다.
-김영하, “복무염증과 애인변심” 씨네21 539호(2006)

문득 [올드보이]가 떠올랐다. 작년인가, 아무런 흥미도 없었던 그 영화를 접한 건, 세미나 텍스트로 사용한다는 얘기를 듣고 나서였다. 결국 세미나 텍스트로 하진 않았다. 물론 이 영화가 아니라 다른 영화를 떠올릴 수도 있다. 어떤 영화든 상관없는데, 루인이 기억하는 한국 영화의 상당수가 기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사건이 왜 발생했는지, 라는 이유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그 이유를 밝히는 순간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방식이다. 왜 살인을 했는지, 왜 버림 받았는지, 주인공의 불행 혹은 성격은 어린 시절의 어떤 고난으로 인한 것인지, 등등 이유/기원을 축으로 전개한다. [달콤, 살벌한 연인]은 이런 기원을 축으로 하는 다른 영화들과는 달리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영화는 이미나(이미자)가 왜 “살인”을 했는가, 각각의 “살인”을 한 동기는 무엇인가엔 별다른 관심을 안 가진다. 첫 번째 “살인”만이 지나가는 말로, ‘아내’폭력 피해경험자로서 정당방위로 남편을 살해했다는 내용이 나올 뿐이다. 영화 전체적인 흐름이 살인의 동기를 찾으러 가는 것이 아니라 어떤 과정으로 “살인”을 하는지 맥락을 좇고 있으며 어떤 식으로 반응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영화가 재미있는 이유 중 하나는 여기서 출발한다.

#2
결혼 한지 6개월 만에 이혼을 선택하면 “참을성이 없다”며 욕한다. 하지만 10년 넘게 혹은 20년 넘게 살다가 이혼 소송을 내면 “지금까지 잘 살았으면서 이제 와서 이혼하는 이유가 뭐냐?(애인이라도 생겼냐?)”라고 반응한다. ‘아내’폭력 가해 남편의 경우 대개 결혼 3개월부터 폭력을 시작하지만, 폭력을 시작하는 초기든 10년을 넘었든 항상, “아내”/’여성’에게 참고 “지혜롭게 해결”할 것을 요구한다. 병원에 실려 가거나 언론이 보도할 정도가 되면 “왜 진작 이혼하지 않고 참고 지냈냐”고 ‘여성’을 비난한다. 정당방위로 방어하다 “남편”을 죽이면 고의에 의한 살해가 아닌지 의심의 눈초리를 보낸다.

폭력 가해 남편을 살해한 기사가 인터넷에 뜨면, 리플 중 상당수는 여전히 “어떻게 남편을 죽일 수 있느냐”, “이거 무서워서 결혼 하겠냐”라는 식의 피해경험’여성’을 비난하는 내용이다. 인터넷에서만 이런 것이 아니라 경찰서나 검사들 역시 마찬가지다. 그래서 피해경험’여성’은 언제나 자신이 가해자라도 되는 것 마냥, 고개를 숙이고 반성하는 모습을 연출해야 한다. “남편”이 칼을 들고 죽인다고 위협하는 상황에서 그 상황을 모면하려고 피하다 “남편”이 죽기라도 하면, “꼭 죽여야 했냐”, “고의로 죽인 것은 아니냐”란 소리를 경찰서와 재판소에서도 듣기 때문에 당당하게 정당방위였음을 주장했다간 갖은 비난이 빗발칠 것을 감수해야 한다. 정당방위였어도 “백배 사죄하는 심정”으로 “잘못을 뉘우치는” 표정으로 있어야 한다. 이런 “반성의 기미”가 없으면 “선처”나 “장상참작”은 기대하기 힘들다.

이 영화는 바로 이 지점을 뒤집고 있다. 이미나는 자신의 행동이 정당함을 알고 있기에 비록 “살인”으로 괴롭다 해도 “잘못”했다며 “반성”하는 행동은 하지 않는다. 한국 영화에서 이런 캐릭터가 있었던가. 잘 모르겠다. 불필요하지만 ‘이성애’-젠더의 가부장제 사회가 강요하는 “죄의식”을 걷어 치웠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꽤나 몸에 든다.

#3
물론 중간 중간에 꽤나 불편한 장면들이 나온다. 감독이 젠더 감수성이 있었다면 이 영화는 더 재밌는, 어쩌면 루인에게 에로틱한 자극을 줄 영화가 되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코미디 장르라는 형식답게 재밌다. 하지만, 2006년의 한국의 ‘주류’ 문화를 모르는 사람에겐 웃음 포인트가 다를 수도 있겠다고 느꼈다. 일테면 네이버나 싸이가 나오는데 이들이 어떤 의미인지를 모른다면 받아들이는 감정이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이 말은 텍스트 해석은 텍스트 자체에 내재하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의 맥락 및 해석자의 맥락과 연동한다는 의미이다.)

마무리도 잘 했다고 느꼈다. 구질구질한 청승이 아니라 영화의 전체적인 색깔로 잘 마무리했다.

4 thoughts on “달콤, 살벌한 연인: 맥락, 불필요한 죄의식 걷어 치우기

  1. ‘복무염증과 애인변심’ 재미있게 읽었어요. 이창이 이름인 줄 알았는데 그건 아닌 것 같고 코너 이름인가봐요?? 글 별로 저자도 다 다르고.. 루인님의 글은 트랙백이 아니면 링크할 수 없는 건가요? 마우스오른쪽버튼이 금지라서 그런건지 아니면 다른 이유에서인지 원하는 포스팅을 링크하기가 쉽지 않더라구요. ^^; 트랙백을 하면 편하겠지만 좀 거시기해서 선뜻 할 수는 없었거든요. 저나 루인님의 정체성과는 상관없는 다른 이유에서요. 😀

  2. 저 또한 이 영화를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재미만 이라면 극장에서 두번 보거나 하지 않았겠지만 무언가 다른 것을 느끼게 하기에 확인하려고 다시 보았지요.

    엔딩은 슬프더군요. 시원하고 밝은 배경과는 다르게.

    1. 이 영화 정말 기대도 안 했는데, 너무 즐거워서 좋아라 하며 돌아왔던 흔적이 몸에 있어요. 루인도 다시 즐기고 싶은 욕망이 가득하지만, 흑, 이 바쁜 일정을 어떻게 해야할런지ㅠ_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