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별 기대 없이 성적을 확인했다가, 아픔을 느꼈다. 저릿하게 아파오는 느낌. (못 쳤다는 의미가 아니다. 성적은 루인의 성적을 아는 사람은 쉽게 떠올릴 법한 그 성적;;;) 어제 선생님에게서 전화가 왔고 그래서 기말논문을 읽는 도중에 루인에게 전화를 한 것임을 알았다.
저릿한 아픔. 이런 저릿함 속에서 루인의 묘한 욕망을 느꼈다. 행여나 성적이 뜰까봐 전전긍긍했지만, 성적이 뜨지 않았음을 확인하며 오히려 안도했지만 받고 싶은 것은 학점이 아니라 비평이라는 것을. 물론 아직 더 무섭게 기다리는 성적이 하나 남아있긴 하지만, 무슨 학점인가 보다는 그 글을 어떻게 읽으셨는가 하는 세세한 비평이 궁금했다. 성적이 모든 걸 설명하진 않기 때문이다. 학점 보다는, 신랄하더라도 논평이 더 간절한 상황이다. 그러며 이런 욕망이 석사 1학기를 감안하고 평가를 받기 보다는 한 명의 언어생산자로서 평가 받고 싶은 것임을 깨달았다. 석사 1학기치고는 어땠다, 가 아니라 그런 기준 없는 평가를 받고 싶었다.
조금은 친한(혹은 루인만 친한 척 하는;;;;) 선생님은 평론을 겸하고 있는데, 그 선생님과 얘기를 나누다가,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에 비판적으로 쓰는 걸 엄청나게 싫어한다며, 여러 작가들 중 한 명으로 비판해도 곧 바로 연락이 오거나 한다고 얘길 했다. 그 말을 들으며 그 작가가 우스웠고 부러웠다. 비판도, 작품에 애정과 관심이 없으면 불가능한 것. 물론 작품을 외롭지 않게 하는 비판이 가장 좋지만, 기본적으로 비판을 통해 소통의 장으로 들어갈 수 있다면 좋은 것 아냐? 무엇보다 다른 사람들은 자신의 작품을 어떻게 읽는지 그래서 어떤 지점이 문제이고 논쟁할 수 있는 지점인지 알아가는 건, 즐거운 일이라고 믿기에, 부러웠다. 그런 비평을 들은 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한 친구만, 루인을 페미니즘으로 인도(!)한 친구만이 가끔 루인의 글에 어떤 평을 해주는 정도.
어제, 낮, 갑자기 전화가 왔다. 지도교수로 점한 선생님이었고 어디 있느냐고, 잠깐 사무실로 왔으면 한다고 했다. 그러니까, 문제는 글을 통한 커밍아웃이었고, 그래서 선생님은 얼마간의 당황과 갈등 속에서 결국 루인을 부른 것이다. (평소의 발언을 통해서 짐작했고 관심이 트랜스와 이반queer임을 알고 계셨지만 그것이 루인의 정체성이라곤 짐작 않으셨던 것이다.) 그러며 자신이 얼마나 보수적인지를 열심히 설명했다. 그 이유는, 만약 루인이 그래도 선생님께 논문지도를 받는다면, 서로의 정치적 위치를 알아야지만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며 과거의 알던 학생 중에 정말 두 명의 “동성애자”가 있었고 그로 인해 얼마간의 상처도 있었다는 얘길 했다. 한 명은 너무 똑똑해서 일부러 외국으로 유학 보냈는데 결국, 연락이 안 된다는 얘기. 다른 한 명은 지금은 유명한 퀴어queer이론가로 활동하고 있다는 말. 선생님은 첫 번째 학생과의 관계에서 많은 상처를 받으신 것 같았다. “왜 드물게 똑똑한 학생들은 동성애거나 트랜스냐”는 말 속에 그런 안타까움과 아쉬움을 표했다. 첫 번째 학생은, 한국에서 “동성애자”로 사는 것의 어려움을 알고 선생님이 일부러 외국으로 유학을 보냈지만 6개월 뒤에 찾아가 봤을 때, 자신과의 갈등 속에서 기숙사의 어두운 방에서 꼼짝도 않고 지내더라는 얘기. 그러곤 난 후 결국 연락이 끊겼다는 얘기. 기존의 ‘이성애’-젠더가 요구하는 규범에서 벗어난 사람이 생존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를 다시 고민하게 했다.
선생님은 그러셨다. 논문은 잘 썼다고, 운영위원 선생님들에게 말해서 코스과정 생략하고 바로 석사논문 준비해도 되겠다고(처음엔 그렇게 하자고 하셨다가 그런 예외는 힘들겠다며 다시 수정하셨다). 학제에서 요구하는 글쓰기 형식을 잘 갖추고 있다고. 다만 개인의 경험이 좀 많이 들어가 있으니 그것을 줄이고 파편적 글쓰기 형식을 좀 고민할 필요는 있다고.
이 말들이 천국과 지옥을 오가게 했다. 어떤 사람은 칭찬으로 여길 수도 있겠지만 이제 석사 1학기인 루인으로선 칭찬이기 보다는 그 만큼 기존의 방식에 익숙해 있다는 의미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물론 기말논문은, 형식에 있어선 기존의 논문방식을 그대로 따른 면이 없지 않다. 나름대로 서론이 있고 본론이 있고. (사실 결론은 없다;;; 결론을 가장한 문단이 하나 있을 따름이다;;;;;;; 크크크) 내용 구성 방식에서도 중간논문은 완전히 모자이크식 글쓰기였고(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갖춘 것이 아니라, 본론을 파편처럼 나눠버렸고 그래서 아이디어 나열처럼 구성했다) 기말엔 루인의 경험을 상당히 섞었다. 이성과 논리를 맹신하는 학제의 방식에서 개인의 경험은 적을수록 좋고 여성학과에선 개인의 경험에 기반을 둔 글쓰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그 간극에서 선생님은 조율이 필요하다는 얘기를 하셨다. 이른바 “대중적인 글”과 “학술적인 글” 사이의 구별이 없는 글을 지향하는 루인으로선 학제에서 요구하는 전형적인 방식에 당혹스러움을 느끼기도 한다. 하지만, 이제 1학기가 끝난 무식한(!!!!!!!!!!!!!!!!!!!) 루인에게 그냥 논문 준비를 하자니요.
이런 얘기 속에서 석사 논문 제목이나 그런 관련 얘기들도 나눴다. 암만해도 제목에서 트랜스를 드러내면 취직하거나 이후 일거리를 맡기 어려울 테니 협상을 하자는 것이었다. 사실 이건, 행여나 ‘이성애’혈연가족들이 논문을 보자고 할 때를 감안해야 하니(읽을 거라곤 몸앓지 않는다.. 흐흐) 수긍할 수 있는 지점이지만 사실 아예 드러낼까 하는 몸앓이도 하고 있다. 풋. 그러며 나중에야 깨달은 사실
젠더정치학을 모색하며
Ⅰ. 젠더와의 (불편한) 만남
Ⅱ. 섹스와 젠더의 관계
ⅰ. 기존의 ‘젠더’정치학
ⅱ. 생물학/해부학은 운명이 아니라고?
ⅲ. 젠더 자체를 질문하기
Ⅲ. 젠더를 둘러싼 트랜스와 페미니즘의 관계: 젠더 정치학gender politics과 효과로서의 젠더 정치학gendered politics
ⅰ. (페미니즘과) 트랜스의 불편한 관계
ⅱ. 젠더란 무엇인가
①규범으로서의 젠더 혹은 젠더 규범
②“잘못된 몸”이라고?
③ 젠더란 무엇인가
Ⅳ. ‘젠더 없는’ 젠더 정치학
ⅰ. 언어 정치학: 누구의 언어로 상상할 것인가.
ⅱ. 젠더 권리를 통한 연대
#참고문헌
경계그물(border-webs)에서 노는 사이보그‘들’
0.
1. 인공?: 사이보그-키이라-괴물-트랜스
2. 경계공간에서 놀기
3. 젠더경계그물에서 말하기: 고백‘할 수 없는’ 이산자
(다시) 0. 경계그물에서 말하는 괴물-언어
#참고문헌
#후기
_M#]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고 나왔을 때, 천국과 지옥을 동시에 오갔다는 느낌을 받았다. 선생님은 루인의 논문을 다 읽지 않은 상황에서 전화를 했었고(그 만큼 글을 통한 커밍아웃에 충격을 받으셨나 보다) 트랜스는 곧 수술을 하는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기 때문이다. 루인의 글은 바로 그 지점을 비판하고 있었다. 선생님이 느꼈을 당혹스러움과 루인이 느낀 곤혹스러움. 그 간격을 읽으려 애쓰다 어지러웠고 우울해지기도 했다.
성적을 확인하다, 이런 기억들이 겹쳐 아픔을 느꼈다. 앞으로, 잘 할 수 있겠지? 훗. 잘해야지, 뭐.
‘상담;천국과 지옥을 오가다’를 그만 ‘성당;천국과 지옥을 오가다’로 잘못 읽고 혹시 루인님이 과거 천주교 신자? 했더랬어요. ㅎㅎ 선생님의 과거 두 제자 이야기는 영화에 한 장면으로 넣어도 좋을 소재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후훗~ 😀
루인도 순간 헷갈렸는데, 루인만 그런 것이 아니었네요. 흐흐흐;;;; 영화의 장면이라니, 오오오, 그러고보면 재미있을 것 같아요. 후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