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록키 발보아: 불을 품고 있는, 기회

[록키 발보아] 2007.02.14.수.17:35 롯데시네마 사상7, 3관 H-12

※”스포일러 주의”라는 말이 무색함…
01
갑자원에 출전하지 못한 히데오는, 갑자원에 출전하는 히로에게 우승하고 돌아오라는 말을 한다. 우승하면 우승했을 때에만 얻을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는 말과 함께. 히로는 히로따의 경기를 TV화면을 통해 보며, 진 경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걸 가르쳐 주겠다고 말한다.

02
[록키 발보아]와 관련한 기사가 잡지에 나오기 시작했을 때, 그냥 읽고 싶었다. 애초 이 영화는 읽고 싶은 영화목록에 올라와 있지 않았다. 영화를 읽기 전에는 영화를 아직 읽지 않았다는 이유로, 영화를 읽고 나면, 영화를 이미 읽었다는 이유로 영화와 관련한 기사나 평을 잘 안 읽는 편이다. 그렇기에 영화와 관련한 특집기사를 읽는 건, 루인으로선 드문 일이다. 그렇게 읽은 기사 중, 30살까지 자신을 루저로 알았다는 스탤론의 얘기에 이 영화를 읽고 싶다는 바람을 품었다.

아마 이 영화는 지금까지 읽은 영화 중, 사전 정보가 가장 많은 영화이지 않을까 싶다. 이후, [록키 발보아]와 관련한 기사가 나오기만 하면 다 읽었기 때문이다. (그래봐야 몇 편 안 되지만.) 하지만 이 영화는 사전 정보가 많아도 별 상관없는 영화이다.

03
영화관에 가는 날, 몸 상태는 꽤나 안 좋았다. 부산에 가기 전 평소 사용하는 비염약이 있음에도 별도로 구매했을 정도로, 부산에 도착한 지 이틀이 지나면 어김없이 심한 비염으로 골골대기 때문이다. 콧물이 줄줄 흘렀지만 영화관에 가고 싶었다. 아침부터 영화관에 가야겠다고 다짐한 몸이었으니 비염이라고 안 갈 수는 없었다. 출발하기 직전까지 많이 망설였다. 괜찮은지 확신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좋았다. 영화관의 정확한 위치도 모르고 상영작도 모르고 몇 시에 하는 지도 모르는 몸으로 출발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이 좋았다. 서울이었다면 인터넷으로 상영시간을 확인한 후, 약간의 여유 시간을 두고 출발해서 영화관에 가곤 했다. 언제나 시간에 강박적이고 그래서 예상치 않게 남는 시간을 별로 안 좋아하는 루인이기에(그래서 가방엔 읽을거리를 꼭 챙긴다) 영화시간 조차 모르는 상태로 출발한다는 건, 부산이었기에 가능했다. 부산의 집은 컴퓨터는 있지만 ‘장식품’이고 인터넷도 안 되는 공간이기에 영화관의 정확한 위치도 몰랐고 상영시간은커녕 개봉작도 모르는 상태에서의 출발이었다. 콧물은 자꾸 나오고 머리는 지끈 했지만, 아무렴 어때. 개봉작을 걱정하지 않을 수 있었던 건, 읽고 싶은 영화가 많은 상황이고 그 중 한 편 정도는 개봉하지 않겠느냐는 확신이 있기도 했다.

이런 확신과는 상관없이 이런 여유가 좋았다. 개봉 시간이 애매하게들 남아서 많이 기다린다 해도 상관없다는 여유. 이것이 좋았다. 다행인지 영화는 얼마 안 기다려서 읽을 수 있었다. 물론 좌석에 앉고 영상이 나오자마자 쌍코피라도 터진 사람처럼 화장지로 코를 막긴 했지만. (아아, 이미지 관리 안 돼-_-;;;) 아님 다른 사람들이 영화를 읽는 내내 신경에 거슬릴 테니까. 물론 극장엔 단 4명이었다. 조조로 상영했던 [아귀레, 신의 분노]도 6~7명 정도는 되었다고 기억하는데, 대형개봉관에서 4명이라니! 후후후. 좋았어!

04
불을 품고 있는 사람을 좋아한다. 그것이 무엇을 향한 것인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물론, 그것이 혐오/공포범죄를 비롯한 폭력이라면 달라지지만). 몸에 불을 품고 사는 사람. 그리고 그 불을 점화하고 피우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이런 사람을 좋아한다. 이 지점에서 이 영화는 뻔한 구성을 취하고 있긴 하지만, 불을 품고(록키는 “야수”라고 표현한다) 그 불을 점화하고 태우는 열정을 읽는 건 즐거운 일이다.

그리고 이런 이유로 이 영화가 좋았다. 내용 구성이야 너무 뻔하기 때문에 몇 년 뒤 명절 특집 TV방송용 영화로 읽어도 무방하겠지만, 아무래도 상관없다. 이런 감정은 비염으로 몸 상태는 흐리멍덩했고 사람이 단 네 명이라는 사실이 너무너무 좋아서, 그랬을 지도 모른다. “이 글엔 이 영화의 내용 일부를 적고 있으니 스포일러 주의하세요”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뻔한 구성이고, 그런 구성에 감동하기엔 너무도 영악한 몸이지만 아무래도 좋았다. 이런 영화 한 편정도 있는 것도 괜찮다고 몸앓았다. 아니다. 이런 영화가 있어서 좋았다. 과정이 중요하다는 ‘뻔한’ 말에(하지만 이 ‘뻔함’만큼 어려운 일도 없다) 동한 것이 아니다. 혹은, 조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노력하면 어느 정도 성취할 수 있다는 식의, 자본주의세뇌에 감동받은 것도 아니다.

몸에 품고 있는 불을 점화하려는 그 열정이 좋았다. 왜냐면 불을 품고 있으면서도 그 불을 점화하기 보다는 여건을 탓하며 아무 것도 안 하려는 사람을 적지 않게 만났기 때문이다. 루인 역시 이런 사람 중의 한 명이고, 그래서 이 영화를 읽으며 부끄러웠다.

05
서른까지 줄곧 루저(패배자)로 살았고, 스스로가 루저라고 여겼고, 단 한 번 성공하고 그 성공의 덫에 걸려 계속해서 내리막길이던 인생. 그 인생이 몸에 닿았다. 그런 인생을 산 사람이 그 인생을 영화에 담았고, 그래서 모두가 말렸던 영화를 만들었고 그 영화가, 말리던 사람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며 성공하고 있다. 영화를 제작하기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의 제작 소식에 비웃음을 보내는데, 이 장면은 록키가 60세의 나이로 시범경기를 할 때 아나운서들의 멘트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왜 “시범”exhibition경기냐고 묻는 말에 “처형”execution이라고 하기엔 너무 가혹하지 않으냐고 답하는 식이다.) 그리고 경기가 끝났을 때, 아나운서들이 더 이상 록키를 조롱하지 않았듯, 이 영화가 미국에서 개봉했을 때, 관객도 평론가도 더 이상 이 영화를 비웃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가장 좋아하는 장면은, 호의를 베푸는 데 꼭 이유가 있어야 하느냐는 부분이었다.

06
얼마 전에 인생엔 언제나 선택과 포기가 있고 얻는 게 있으면 얻는 것으로 인한 잃는 것도 있다고 쓴 적이 있다. 지금은 이 말을 의심한다. 선택하지 않았다는 것이 곧 잃었다는 걸 의미하는 것도 포기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양자택일로만 해석하도록 하는 것, 그것이 선택하지 않은 것을 포기한 것으로 간주하게끔 하는 것은 아닌지. 지금의 기회만이 인생의 유일한 기회로 인식하도록 배운 것은 아닌지.

누구나 선택과 포기의 기로에 서는 것이 아니라, 매순간 협상할 따름이다. 인생엔 단 세 번의 기회가 온다는 말도 웃긴다. 오늘 선택하지 않아도 언젠가 다시 선택할 기회가 오기 마련이다. 죽기 전까진 알 수 없다. 지금의 선택은 현재 상황에서 ‘최선’이고 그러니 다른 선택지를 선택하지 않았다고 해서 포기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마치 지금 아니면 안 되는 것처럼 얘기하는 것, 그래서 선택하지 않으면 포기한 것처럼 얘기하는 것, 선택 아니면 포기라는 식의 이분법 틀에서 살아가도록 요구하는 것은 누구이고 누구의 언어인가.

[록키 발보아]를 읽으며 이런 몸앓이를 했다.

루인은 중고등학교 때까지 영어 공부를 ‘안’ 했는데, 이것이 영어를 포기했다거나(물론 농담으로 “포기”했다고 표현하지만) 그 시절에 배우는 내용과 만날 기회를 잃은 건 아니다. 다만 영어와 더 재미있게 놀 수 있는 몸이 되길 기다렸을 뿐이다. 대학에 들어와서도 한참이 지나서야, 토익이나 토플이 아닌 그저 읽고 싶은 책들과 글들이 영어뿐이라는 이유로, 그 읽고 싶음이 너무도 절실해서 몸을 가득 채웠을 때에야 비로소 영어를 읽기 시작했고 영어문법책을 사서 읽기 시작했다. 이 기다림을, 더 즐거운 몸으로 놀 수 있기 위한 준비의 시간을 포기 혹은 기회상실, 잃음으로 간주하는 건 제도교육의 판단방식이고 제도교육의 잣대로 평가하는 언어일 뿐이다. 이제야 이렇게 말할 수 있다. 그때, 영어시간에 다른 책을 읽은 건, 그런 식의 주입식 교육이 아닌 영어와 신나게 놀 수 있는 몸의 시간을 기다린 것뿐이라고. 누구에게나 그 무언가와 즐겁게 놀 수 있는 몸의 시간이 동일한 것은 아니라고. 그리고 그런 몸이라고 느낀다면 꼭 잡으라고. 그로 인해 다른 무언가를 선택할 수 없게 된다면, 그것과 (더 즐거운 몸으로)놀 수 있는 기회는 언젠가 꼭 돌아온다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