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시간에 대답하지는 않았지만 (그럴 상황도 아니었다) 루인에겐 어느 정도 선명한 편이다. 왜 공부를 하느냐면 루인의 경험/삶을 읽고 싶기 때문이다. 그 외의 별다른 ‘욕심’은 없는 편이다.
어릴 때부터 그런 것은 아니었지만 루인의 관심은 루인이고 그래서 루인의 경험을 읽는데 우선적인 관심이 있었다. 고리타분하고 말장난 같은 이론 따위 루인의 관심사가 아니(었)다. 아무리 그 이론이 전 세계적인 유행이라고 해도 그것이 루인의 삶을 설명할 수 없다면 하나의 자극제는 될 수 있다고 해도 그렇게 까지 대단하게 보이지도 않았고 애써 배워야겠다는 몸앓이도 들지 않았다.
항상 이 몸앓이가 우선시 되고 그 이후 어떤 텍스트들을 찾는 순서로 이루어 졌다, 루인이 공부하는 방식은. 그러니까, (텍스트와 관련한) 루인의 경험을 앓고 루인의 위치positioning를 어느 정도 읽은 후에야 논문 등의 글들을 읽었다. 그러길 선호하는 건, 과거, 이런 글들에 의해 루인의 경험을 읽는데 실패했던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 시절, 앎과 삶을 같이 읽기 보다는(요즘은 앎과 삶이 분리될 수 없다고, 이론과 경험을 분리해서 몸앓을 수 없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그건 이론에서나 가능하지”라는 언설이 불편하고 감정 없는 이론을 위험스럽게 받아들인다) 지식 자랑에 급급했기에 루인의 경험은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그런 지식으로 루인의 경험이 설명되지 않으면 루인의 삶이 이상한 것이지 그 이론이 문제라고 여기지 않았다.
아직도 이런 경험에 대한 걱정이 남아서 인지, 어떤 텍스트를 읽으려고 작정을 하면 그 전에 그 텍스트와 관련된 경험을 먼저 읽을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려고 하는 편이다. 그럴 때 텍스트와 루인의 경합, 이동mapping 등이 더 즐겁게 발생했다. 텍스트 내용을 파악하려고 급급할 땐 지루하거나 재미가 없었다.
이랑 세미나의 다음 커리를 정해야 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주제는 이반queer. 하지만 루인 역시 관련 커리를 읽은 것이 별로 없다. 현재 루인의 작업은 텍스트 읽기가 아니라 루인의 삶을 읽는 작업 중이기 때문이다. 물론 몇 개의 텍스트를 읽고 있긴 한데, 세미나로 같이 쓰기엔 좀 애매한 구석이 있는 텍스트들이다. 이래저래 고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