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ffis][영화]국경을 넘어/메이드 인 아메리카

[제 9회 서울여성영화제]
[국경을 넘어/메이드 인 아메리카] 2007.04.05.14:00, 아트레온 4관 G-7

텍스트를 해석하는 건, 결국 자신의 현재 고민에 기반을 둘 수밖에 없다고 느끼곤 한다. 그런 의미에서, 사실은 좀 산만한 몸으로 이 영화를 읽었다. 다른 고민을 하느라 영화를 읽는 몸은 종종 몸은 영화관 밖에 있기고 했다. 영화가 별로였다거나 그런 건 아닌데, 그냥 다른 고민들을 좀 하느라… 흐.

두 편의 다큐멘터리를 읽으며 든 고민은, 분명 이주노동과 관련한 영화임에도 루인에게 이 영화들은 가족구성과 관련한 영화로 다가왔다. 물론 이주노동이 가족구성과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이 둘은 너무도 밀접한 관계에 있지만, 자꾸만 가족구성에 좀 더 초점을 맞춘 논의로 읽고 있음을 알았다.

이주노동과 무관한 가족구성이 아니라 이주노동에 따른 가족구성과 재구성으로. 이 영화를 읽으며 불편한 지점은 루인의 소비를 위해 이 지구의 다른 어딘가에서 누군가는 저임금으로 노동을 하고 있다는 것 때문이 아니라 가족을 재현하는 방식에 있었다. 재현이라는 것 자체가 어차피, 누군가의 의도, 시선에 따른 구성(편집)이라지만, 이 영화 속에 등장하는 “가족애”는 어쩜 그리도 중산층 가족이데올로기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는지. 다른 어떤 가족형태를 바랐다는 의미는 아니다.

(대충의 스토리는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영화 제목에 링크해뒀음.)

[메이드 인 아메리카]의 경우, 텔마는 노예제 이후 흑인들이 백인의 보모역할을 했던 것이 현재 “불법”이민자들이 대체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그러며 보모라는 역할을 고민하게 한다. 텔마는 가사노동자와 보모로 일하는 집의 아이가 아주 어릴 때부터 키웠는데, 그 아이는 텔마를 “엄마”로 부르곤 했다. 이런 명명은 “엄마”가 반드시 생물학적으로 타고나는 역할이 아님을 의미하는 동시에 “엄마”에 각인되어 있는 문화적인 역할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또한 이런 명명은 친족을 부르는 방식(엄마, 아빠, 고모, 이모, 언니, 누나 등등)에 균열을 내는 것이기도 하지만, 흑인보모들을 “엄마mom”로 부른 적이 있다고 알고 있기에, 인종에 따른 보모라는 역할의 강화이기도 하다.

가족구성을 둘러싼 “불편”은 주디스의 경우에서 발생했다. 가족을 구성하려는 바람이 불편한 것이 아니라(그럴 리가!), 가족을 구성하려는 방식이나 내용이 자꾸만 중산층 가족이데올로기에 맞추어져 있다고 느꼈다. 어쩌면 이 “불편”은 편집과 재현 자체가 감독의 입장임에도 불구하고, 다큐멘터리 구성에서 감독이 슬쩍 빠져 있다는 점 때문인지도 모른다.

작년, 인터뷰를 하고 녹취를 풀면서 느낀 건, 녹취를 푸는 행위 자체도 이미 해석이라는 것. 다른 사람이 푼 녹취를 루인이 다시 풀다보면 질문자의 언어가 답변자의 언어인 것처럼 바뀐 경우도 있거니와, 질문자가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답변자가 언어를 선택한다는 걸 새삼 깨달았다. 대답하는 사람은 질문자의 의도를 알기 때문에 종종 그 의도에 맞춰 대답을 하기도 하고.

그러니 “불편”함이라는 느낌은 “불만”으로 바꿔야 할 것 같다. …그런데 사실 이 불만의 정체 역시 애매하긴 마찬가지다. 좀 더 고민이 필요하다.

#
두 다큐는 이주노동자의 성별노동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지만, 이 지점은 당분간 읽지 않기로 했기 때문에 통과. 다큐멘터리 속의 “여성”은 한결같이 가사노동이나 보모로 일하고, “남성”은 건축업 등에서 일하고 있다. 그러니 성별분업이 너무도 분명하게 작동하고 있지 않느냐고 말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 망설이는 지점은, 영화 속 인물들을 이렇게 쉽게 “남성” 아니면 “여성”이란 식으로 환원해서 얘기해도 되는가, 하는 고민들이다. 저 사람은 남성이고 저 사람은 여성이야, 란 식으로 본인의 ‘정체성’과는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환원하는 방식을 비판하는 루인이지만, 그렇다고 둘로 환원하고 이런 환원에 따라 작동하는 문화적인 장치가 없는 건 아니다. 동시에, 사람을 둘 중 하나로 환원하는 바로 그 제도를 비판하고 문제제기 하고자 하지만 그럼에도 어떤 몸 형태에 따른 “성별역할” 구조를 비판하는 것을 무력하게 만들지 않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이 지점을 모색하기까지는 성별노동 부분은 보류하기로 했었다.

*
R, 만나서 기뻤어요. 얘기도 나눠서 좋았고요. 아트레온 어디선가 또 만나요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