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티비티티티 위원회] 2007.04.08. 18:00, 아트레온 1관 B-9
1. 이 시대에 이런 영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에 놀랐다. … 이 문장은 [300]을 평하며 쓴 구절이기도 한데, 맞다. 루인은 이 영화를 [300]과 비교하고 있다.
2. 뜨악했던 건, 이 영화가 페미니즘 혹은 레즈비언 페미니즘에 대한 지능형 안티인지, 안티 페미니즘인지, 페미니즘이 소비되는 방식에 대한 비판인지를 모호하게 그리는 척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테면 결혼은 가부장제도의 억압도구이기에 무조건 반대한다는 논리는, 결혼이 인종이나 계급, 성정체성/성적 지향성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님을 무시해버린다. 결혼제도를 비판하는데 있어, 다른 맥락을 살리면서 비판하는 것과 싸잡아 비난하는 건 너무 다르다. 동성애자의 결혼 논쟁이 이성애제도에서 이성애 결혼과는 의미가 같을 수 없고 트랜스젠더의 결혼이 또 다른 의미를 지니는데, 이 영화에서 결혼제도는 오직 한 가지의 의미만을 가지고, 그래서 모든 (이성애) 결혼은 억압제도일 뿐이라고 얘기한다. 이런 이유로 이 영화가 페미니즘 영화인지 페미니즘을 빙자한 지능형 안티 영화인지 헷갈리기 시작했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들 사이의 인종 관계는 마치 인종이란 아무런 의미도 가지지 않는다는 듯이 나타나고, 계급관계를 그리는 방식 역시 마찬가지다. ftm/트랜스남성은, 가장 소비하기 좋은/안전한 방식으로 나타날 뿐이다. 그래서, 영화가 끝났을 때, 지능형 안티거나 정말이지 성찰하지 않는 감독이라고 느꼈다.
3. 물론 일종의 퍼포먼스는 재밌긴 했다. 하지만 이걸로 무마하기엔 꽤나 실망스럽다.
아. 이티비티티티 위원회 관련글을 검색하다가 오게 되었어요.
지능형 안티. ㅋㅋㅋ
하지만 전 성장하는 여성주의 활동가들을 바라보는 감독의 따뜻하고 정감어린 시선이 느껴지던걸요.
우연히 오게 되었지만 저와 많이 닿는 부분들이 있어서 자주 찾아오고 싶어졌어요. 종종 놀러올께요. ^-^
영화를 봤을 당시엔 꽤나 흥분했더래요. 정말 저 정도 수준의 이해 밖에 안 되나 싶어서요. 근데 지나고 보니, 꼭 “지능형 안티”로 받아 들일 필요가 있었나 싶어서 조금 반성하기도 했어요. 흐흐.
반가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