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학기를 시작하며, 처음엔 총 세 과목을 신청했다. 그러니 현재 두 과목을 듣고 있다는 의미. 결국 이렇게 되었는데, 지도교수와 많은 얘기, 상담을 하며 여러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고, 그래서 다음 학기에 더 흥미로운 과목과 놀기로 하고 두 과목을 듣고 있다.
그렇게 듣고 있는 과목들 중 한 과목은 목요일 2시에 한다. 오늘. 그리고 오늘 수업은 지난 주 휴강에 따른 보강 수업으로 선생님과 함께 저녁 먹는 시간까지 해서 2시에 시작해서 8시 40분 즈음에야 끝났다. 물론 저녁을 먹는 시간에도 수업과 관련한 얘기를 나눴지만, 그만큼 즐거운 시간이기도 하다.
이 수업을 들으며, 루인을 새삼스럽게 깨달을 수 있어서 즐거워하고 있다. 선생님의 쾌락적인 언어들도 좋지만, 또한 그런 과정에서 지금까지 간과하고 있던 경험들을 해석할 수 있는 틈들이 발생한다는 것, 수업을 듣는다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 지금까지 알았던 지식을 확인하거나, 자신의 위치를 편하게 느끼는 것이 아니라, 앎들 사이에 있던 간극을 메우거나 간극과 균열을 발견하는 쾌락을 경험하는 것.
오늘 선생님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서울지역에서 여성학을 한다는 것과 비서울지역에서 여성학을 한다는 것의 의미가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 새삼 깨달았다. 문제는 이 “깨달음”이 명절 때마다 느꼈던 점이었음에도 한 번도 의식하지 않았다는 것.
서울에 소재한 대학에서 여성학을 공부한다는 건, 그다지 주류의 학문을 하는 것이 아닌, 먹고 살기 어려운 일을 하는, 이란 식의 어떤 이미지가 있다. (한 편으론 사실이고 한 편으론 이미지고.) 그래서 대학원생이라는 어떤 계급성에도 불구하고 여성학을 한다고 하면 경영학을 공부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진 않는다. 물론 이런 반응은 루인이 만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성학과 사람들이거나 여성학/페미니즘을 매개해서 만나는 사람들이기 때문인지도 모르지만.
일 년에 두 번, 명절에 부산에 갈 때마다, 시공무원인 한 친척어른은 루인에게, 석사 졸업하면 지자체 계약직으로 일하면 되겠다는 말을 하곤 한다. 지자체 계약직의 경우 공무원에 준하는 대우이다. 사실, 지금까지 이 말이 가지는 여러 맥락들을 한 번도 고민하지 않았는데, 그저 공무원인 친척어른이 루인에게 하는 관례적인 의미로 받아 들였을 뿐이었다. 선생님께서 서울에서 여성학을 공부하는 것과 부산에서 여성학을 공부하는 것의 의미가 얼마나 다른지를 얘기하는 걸 듣다가, 불쑥 깨달았다. 예전에 부산 지역에 있는 한 여성학과 학생이 했던 말, 부산의 그 대학엔 공무원들도 많다고, 자자체와 상당히 많이 연결 되어 있다고. 그 학생의 말과 루인의 친척어른이 한 말의 연결 지점을 비로소 깨달은 셈이다.
※그렇다고 이런 식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님은 당연!
서울이라는 지역이 가지는 맥락 속에서 살고 있음에도 언제나 이런 식으로 맥락을 놓치곤 한다.
그러며 요즘 고민이 떠올랐다. 이른바 고3의 입시경쟁이라는 것의 의미가 가지는 학벌 차이.
흔히 입시 제도를 얘기하면 힘든 고3들, 입시정책에 따라 예민하게 반응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단체들, 뭐 이런 이야기들이 중심을 이룬다. 그러면 루인은 또, 아 그렇지, 대학에 입학하는 고등학생 시절은 정말 힘들지, 라고 중얼거리면서도, 그 말에 공감하지는 않는다. 예전에도 쓴 적이 있는데, 루인의 경우, 모의고사를 치면 뒤에서 1, 2등을 하는 그런 고등학교에 다녔고, 그 학교는 공립이었기에 학교 선생들도 그다지 의욕을 보이지 않았다. 그저 한 번 왔다가 몇 년 지나면 떠날 그런 학교였다. 입시제도가 바뀐다고 해서 신경 쓰는 학생도 드물었다. 어쨌거나 인문계였지만, 소위 인문계라고 얘기할 때 말하는 그런 고등학교가 가지는 이미지에 부합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결국 언론(을 매개하는 여럿)에서 만들어내는 고3의 이미지, 과외 열풍, 학부모단체의 목소리들은 서울이라는, 그것도 모의고사 성적이 상위 1, 2등을 다툴 그런 학교에 근거하고 있는 것은 아닐 런지. 서울지역과 비서울지역이 경험하는 방식이 다르고 사립과 공립이 다르고 모의고사 성적으로 평가하는 학교의 학력에 따라 다른데, 왜 그리도 고3의 이미지는 천편일률적인지. (일테면 ps의 경우 부산지역에서 모의고사 성적으로 1, 2등을 다투는 그런 고등학교에 다녔고, 그래서 이른바 고등학생 혹은 입시지옥이라는 어떤 생활을 했었다.)
한 번은 이와 관련해서 글을 쓰고 싶다. 당장은 아니고, 천천히 오랜 시간을 두고.
페이퍼에서 애독자코너는 사실 잘 안 보는 편인데요. ^^;
가끔 보게 되면 수험생들의 편지가 꽤 있죠..
공통점은 세상 고민 다 짊어지고 있는 듯한 느낌이랄까요.
꼭 틀린 건 아니지만..
고3이 지옥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사연을 적고..
또 다른 사연에서는 고2가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적고..
그 보다 더한 시련의 시간을 갖고 있는 또래가 분명 있는데..
그 지옥같은 시간조차 가질 수 없는 사람들이 있음을 생각할때 조금 배부른 고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대학을 어느 과를 나와서.. 그것이 어떤 도움이 되고 지표가 되는 건 알지만.. 씁쓸하더라구요. 🙂
예전에 이런 비슷한 말을 덧글에 남긴 적이 있지만.. 헤헤~
그래서 미디어에서 자체 주입 시키는 거 같아요. 🙁
정말, 다른 방식으로 고등학생 시절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참 많은데도, 10대의 발랄함이란 이미지와 입시준비의 노곤함이라는 이미지로만 표현하고 말하는 걸 듣고 있노라면, 자기들도 정말 그러기만 했나, 묻고 싶더라고요. 🙁
맞아요. 이런 식이죠. 몇몇에서부는 과외열풍을 언론이 다시 과대포장해서 떠들어주시면 열풍 없던 곳에서도 열풍이 불어야하는 줄 알고 불게되는… 그리고 우리는 비관하고… ^^
저도 얼마전에 어느 자리에 갔다가 서울에서 여성운동을 하는 것과 비서울지역에서 여성운동 하는 것의 차이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는데…. 비슷한 맥락에서 비슷한 동감을 하게 되네요. ^^
“그리고 우리는 비관하고..”란 말에 쓰러지고 말았다는.. 흑, 정말 그래요. ㅠ_ㅠ
정말이지 여성운동 뿐 아니라, 지구인님도 잘 아시다시피, 퀴어운동, 트랜스젠더운동도 서울지역과 비서울지역이 경험하는 방식이 다른데, 특정 방식만 말하는 걸 듣고 있노라면, 조금은 답답하기도 하더라고요.
(근데 이렇게 만날 때마다 뭔지 모를 심리적인 압박감이… -_-;;; 흐흐)
그렇구나…교육 문제에 있어서 서울과 비서울의 경험의 차이, 의미에 대해서는 고민해봤는데(근데..사실 잘 몰라서..ㅠ_ㅠ) 여성학을 공부한다는 것도 다른 의미를 갖게 되는군요…;;
물론 개개인들이 입학하거나 공부하는 방식은 다들 다르겠지만, 학제를 운영하는 방식이나 주변에서 소비하는 방식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 같더라고요.
그러고보면 시공무원인 친척어른의 입장에서 루인은 꽤나 유망한 학과에 다니고 있는 걸지도 몰라요 -_-;; 흐흐
짝퉁대치동이 오리지날? 대치동보다 무섭다고…. 교육만큼 미투(혹은 짝퉁)상품경제에 기여허는 것이 또 있을까 자퍼요. 우리도 알게 모르게 이런 짝퉁경제(특강많은 별볼일없는 사회맹글기)에 일조하는 걸 그 생계지책으루 삼을 것이면서도… 비판헌다고 책임면제가 아님시롱 똑 요렇게 알리바이맹글고 잪당께. / 서울과 비서울 차이가 숭내신공의 차이(즉 강요된 열등감)이라는 지적, 참….
정말, 현행 제도를 통해서(빌붙어서?) 밥벌어 먹고 살 거면서, 이런 비판이 왠지 알리바이를 만드는 것 같아요. ㅠ_ㅠ
근데, 숭내신공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어요ㅠ_ㅠ ;;; 아무튼, 루인은 열등감의 차이가 아니라 지역에 따라 학교의 모의고사 등수에 따라 입시제도나 “고3″을 경험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는 얘길 한 것 같은데(스스로 확신 못 하는 이 소심함;;;), “숭내신공”의 의미를 잘 몰라서…;;;;;;;;;;;;;;;;;;;;;;; 흐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