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회의를 했다. 어제, 오후부터 시작해서 밤늦게까지. 애초 계획이었다면, 작년 12월 초에는 나왔어야 할 책이 6개월 정도 늦춰지고 있는 셈이다. 뭐, 그렇다고 그렇게까지 애타지는 않은데(출판사 편집장님이 이 글을 보면, 버럭! 하시려나;;;) 외국에서 나오는 책들도, 출간 예정일에 맞춰서 나오는 경우는 잘 없다고 알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초에 나온 논문을 읽다 보면,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참고문헌이 “근간”이라고 적혀 있어서, 당연히 출판했고 구입할 수 있겠지, 하고 찾아보면 여전히 “근간”인 경우도 적지 않으니까. 최초 예정일에 책이 나온다면, 그게 더 신기한 일인지도 모르겠다. … 이렇게 책이 늦게 나오는 걸 변명하고 있지만…. 흑. 정말 얼토당토 안 한, 궁색한 변명에 불과하다. ㅠ_ㅠ
루인의 경우, 예전에도 쓴 적이 있듯, 두 편의 글이 들어간다. 초고가 나온 시기는 작년 말, 즈음이었으니까, 초고를 쓰고 5달 정도의 시간이 흘렀다. 그리고 이제야 조금씩 거리 두기가 가능하다.
글을 수정한다는 건, 자신이 쓴 글을 자신의 글이 아닌, 다른 누군가의 글로 읽을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럴 수 있기 까지 꽤나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보통 학기말 논문을 제출할 때면, 제출할 때까지 몇 번을 고쳐서 제출하지만, 제출하고 나서 행여나 다시 읽는다면, 그때부터 자학을 반복하기 마련. 제출하기 전까진 미처 발견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거슬리기 시작한다. 어느 매체에 기고하는 글도 마찬가지인데, 그 글이 실린 매체가 출간되어 인쇄 상태로 다시 읽으면 그때부터, 부끄러움에 안절부절 못 하는 경우가 많다. 바로 이 단계. 이번 글을 수정하며 이 단계를 기다려야 했다.
물론 그 사이 여러 번 고치긴 했지만, 전체적인 인식이나 글의 구조적인 측면은 거의 건드리지 않았다. 3월 말이었나, 4월 초였나, 저자들과 편집장이 모여 회의를 했는데, 그때 루인의 글이 가지는 문제점에 대한 지적을 받은 적이 있다. 그 지적들이 아팠는데(루인이 외면하고 싶었던 문제점들이었기에), 그럼에도 곧 바로 퇴고 작업에 들어가지 않았다. 그 지적들, 그리고 접근 방식을 좀 바꾸기 위한 노력을 하면서도, 글 자체는 수정하지 않았다. 기다렸다. “이 글은 루인이 쓴 글이 아니다”라는 자기 암시가 필요했다. “이 글은 루인이 쓴 글이다”라고 여기면서 글을 읽으면, 문제점들을 옹호하고 맥락을 스스로 변호할 것만 같아서, 루인의 글이 아닌 것처럼 거리두기를 하려고 했다.
그렇게 해서, 어제 오전, 한 편은 어느 정도 수정을 했고, 다른 한 편은 무엇이 문제인지를 조금씩 깨닫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깨달음은, 같이 책을 기획하는 사람들이 느끼고 지적해 주는 바로 그 지점이기도 했다. 아, 그렇구나. 그러니 루인만 빼고 다들 알고 있었던 셈이다. 묵묵히 기다려 주고, 지적해 준 사람들에게 고맙다. 이제 이런 지적에 따라 어떻게 수정할 것인가가 문제로구나.
이런 와중에, 9시가 넘은 시간, 문자가 한 통 왔고, 확인하며, 기뻤다. 소통하는 방법, 만나는 방법이 다양해지는 것이 이렇게 즐거운 일이란 걸, 새삼 깨닫는다. 약속한 만남, 우연한 만남, 그리고 “갑자기, 불쑥” 오는 만남, 어느 쪽도 모두 설레고 즐겁고 반가우니까. 🙂
이제, 출판사 편집장님의 블로그에 가서 얼른 글 쓰라고, 독촉해야지. 케케케.
무신 말씀….훌륭하신 분들의 글을 받아 넣는 걸로 저의 소임을 만족하겠나이다.. 흐흐 ^^
훌륭하신 분들엔 지구인님도 포함되어 있잖아요. 흐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