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가 끝나고 玄牝에 돌아가는 길에 씨네21과 필름2.0을 샀다. 평소처럼 씨네21 가장 뒷장을 먼저 펼치니, 이번 주는 정희진 선생님 글. 횡단보도 앞에서 신호가 바뀌길 기다리며 글을 읽다가…
내 스승에게 물었다. “선생님이 사랑하는 사람이 선생님 친구랑 사랑에 빠져, 두 사람을 모두 잃게 된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선물 경제(gift economy)에서 내가 증여자가 되든가, 그들을 텍스트로 삼겠다.”
이 구절을 읽는 순간, 다음 구절인 “아, 역시…!”란 정희진선생님의 감탄사를 읽기도 전에, “아…!”란 감탄사가 나왔다. 눈물이 나려고 했다. 지난 어떤 시간을 이 한마디가 위로하는 느낌이었다.
사실, 최근 한 동안, 엘리엇 스미스의 자살을 둘러싼 얘기에 매여 있었다. 자살을 하며 식칼로 심장을 두 번 찔렀다는 얘기. 그 얘기가 자꾸만 맴돌았다. 왜 그랬을지, 와 닿아서. 물론 이런 와 닿음은 결국 루인 식으로 환원하며 해석한 것이기 마련이지만, 심장에 칼을 두 번 찌른다는 행위가 자연스럽고도 그 상황의 어떤 심리 상태가 익숙한 듯 느꼈다. 그래서 엘리엇 스미스의 음악은 한동안 듣지 않았다. 동시에 [퐁네프의 연인들]의 한 장면이 자꾸만 떠올랐다. 그 장면.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이었는지는 밝히기가 좀 그래서… 수다스런 루인이니 언젠간 말하겠지만요. 🙂 )
이런 심리 상태에서, 김은실선생님의 대답은 마치 현재의 감정을 풀어갈 실마리와 같았다. 물론 이런 한 마디로 모든 걸 풀 수는 없겠지만, 새로운 방향으로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힘을 얻었달까.
그러면서도, 다시, 조금씩, 미쳐가고 있다는 어떤 느낌들을 퍼뜩, 퍼뜩, 받곤 한다. 어느 순간에, 이렇게 조금씩, 그리고 서서히. 다시, 엉키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