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2007.06.18. 18:45 아트레온 9관 11층 G-10
#제대로 써야지 하고 미루다가, 더 미루면 안 될 것 같아서 그냥 간단하게 메모만. 스포일러는 없음.
01.
며칠 전, 영화잡지를 뒤적이다가 이 영화와 관련한 글이 있어서 대충 넘기다가, 이 영화엔 하늘이 많이 나온다는 구절을 읽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분명하게 하늘을 비추는 장면은 단 두 번뿐이다. 두 번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하늘을 담고 있다. 물론 자동차도로를 비추면서 하늘이 드러나는 경우가 두어 번 있긴 하지만, 그래도 서너 번이 전부. 하늘이 많이 나온다고 느껴지는 건, 어느 장면부터 전도연은 계속해서 하늘을 쳐다보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 때문인 듯.
02.
이 영화에서 하늘은, 종교가 두드러지게 나와서 하나님으로만 얘기하는 경향이 있는데, 루인은 예전부터 자꾸만, 단지 하나님이 아니라 바람피고, 교통사고로 죽은 남편-즉, 죽어 하늘나라에 있는 남편에게 말을 거는 모습과 겹친다고 느꼈다. 하늘을 쳐다보며 “잘 봐”라거나 “보고 있니”라고 얘기하는 모습들 모두 “하나님”과 죽은 남편에게 하는 말로 다가왔다. 그렇다고 신애(전도연)에게 남편이 하늘과 같은 존재란 의미는 아니고.
03.
흥미로운 건, 이 영화는 한 편의 단편과 한 편의 장편을 이어붙인, 두 개의 작품을 연결한 영화이기도 하다. 준이 하늘을 보는 장면에서 시작해서 유괴되는 사건까지가 단편. 준의 시신이 발견되었다고 해서, 찾아간 현장에서 신애가 하늘을 쳐다보는 장면이 장편의 시작.
영화가 시작할 때 준이 하늘을 쳐다보는 장면, 준이 반응하는 모습들은, 죽은 준을 찾은 곳에서 신애가 하늘을 쳐다보는 장면, 신애가 반응하는 모습들과 거의 같다. 이 장면에서 신애와 준은 우울증으로 합체했다고 느꼈다.
04.
당연히 의도적인 연출이겠지만 이 영화 속의 날씨는 언제나 맑음. 태양의 광기가 넘치는 날씨다.
05.
영화를 두 번 안 읽었다면, 범인이 누군지 못 알아 봤을 뻔. 그래서 그 중3 아이와 왜 그렇게 불안하고도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는지 모를 뻔 했다. -_-;; 인면맹의 문제다.ㅠ_ㅠ
06.
가장 화났던 장면은, 범인의 태도. 그리고 같이 있던 사람들의 태도. 이 영화가 종교를 비판하는 내용일 수도 있다면 바로 이 장면 때문.
신애가 종교에 귀의해서 “원수를 사랑하라”를 실천하기 위해, 범인을 용서하러 (같은 교회 사람들과 함께) 면회를 간다. 범인은 표정이 너무 좋은데, 하나님께 귀의했고 그래서 용서를 구했다고, 용서 받았다고 말하며 매일같이 기도하며 살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말을 전해들은 사람들은, “역시 하나님은 대단하다”고 반응한다. 이 두 장면에서 화가 났다.
도대체 누구에게 용서를 구하는가, 하는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었다. 준의 죽음으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은 신애지 하나님이 아닌데, 정작 그 사건으로 죽을 것만 같은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은 신애지 하나님이나 다른 사람들이 아님에도, 범인은 하나님에게 용서를 구하고 하나님에게 용서를 받았다고 말한다. 비록 범인은 신애에게 미안하다고 말하지만, 이 말은 다소 형식적으로 들리고 이미 하나님에게 용서받았고, 신애도 하나님을 믿고 있으니 다행이라고 말한다. 주변 사람들 역시 하나님에 기대어 용서를 얘기하고 믿음을 얘기하지 신애의 고통과 슬픔은 얘기하지 않는다. 이런 믿음 속에서 신애의 고통은 “방황하는 어린 양”일 뿐이다. 영화 속, 종교를 믿는 사람들은 정작 타인의 고통엔 무관심하다고 느꼈다. 그렇기에 범인이 하나님을 만나서 회개하고 있다는 말에 “역시 하나님은 대단하다”란 말이 나올 수 있는 거 아닐까? 마찬가지로, 종교인들은 계속해서 용서하란 말을 되풀이 할 뿐, 신애가 “하나님이 이미 용서를 했는데 내가 어떻게 용서를 할 수 있느냐”란 항변을 못 알아듣는 것 역시 그래서가 아닐까.
지난 글에서도 적었듯, 이 글에서 종교는 하나의 장치이고, 기독교가 아니라 불교나 이슬람교라도 아무 상관없다. 그러니 이 영화는 정작 타인의 고통엔 무관심하면서 구원이나 믿음 같은 막연한 ‘희망’ 만을 얘기하는 방식에 비판하고 있는 건 아닐까 싶다. “하나님을 믿고 기도하자”란 얘기만 할 뿐 정작 자신이 겪고 있는 고통엔 모두가 무관심할 때, 그런 집단 속에서 고통을 경험하고 있는 개인은 어떤 식으로 변하는가를 [밀양]은 그리고 있는 듯 하다.
07.
이 영화가 프랑스영화나 독일영화였다면 어땠을까 싶었다. 영화를 읽다가, 문득 [미치고 싶을 때]가 떠올랐다.
[밀양]의 후반부에, 신애는 “살려주세요”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말이 너무도 양가적으로 다가왔다. 이 말이 절실하고도 절박하게 다가오면서도 이 말을 안 했으면 좋았을 거라고 궁시렁거리고 있다. 이 말이 좋으면서도, 안 하는 게 나았을 뻔 했다고. 그래서 프랑스나 독일이었으면 어떻게 만들었을까 하는 상상을 했다.
#
메모만 해도 이 분량이니, 정말 적었다면…-_-;;
영화를 안 봤으니 장면까지는 모르겠고, 그저’살려주세요’란 말, 영어로는 어떻게 할까 고민해봤는데 (아는 게 한글과 영어뿐이라;;) 떠오르는 말들은 다 조금씩 다른 뉘앙스여서, 결국 번역은 어렵다는 결론만 되새기고 말았어요;;
쌘님의 글을 읽다가, 루인의 시선을 잡아챈 말은 “말들”… 말*들* ;;;
“‘살려주세요’를 영어로 어떻게 말하지?” 하고 한참을 고민 하고서야 간신히 떠오른 말은… “help me”래요;; ㅠ_ㅠ 흐흐흐. 읽을 줄만 알지, 말 한 마디 못 하는 영어실력이 드러나는 찰나랄까요. 흐흐흐
아. 미치고싶을때와 비슷한가요?
밀양 보고싶은데.. 미치고싶을때와 비슷하다면 더더욱!
비슷할 수도 있고 많이 다를 수도 있을 것 같아요(일단 발뼘하기? 흐흐 -_-;; ). 그저 영화를 읽다가 갑자기 [미치고 싶을 때]가 떠올랐어요. 헤헤.
[밀양]은 확실히 한국에서 만든 영화란 느낌이 많이 들긴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