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이상한” 조합

가끔씩 루인의 전공을 물어보는 사람들이 있다. 답을 하면 그 반응이 재미있는데, 너무 한결같다는 것이다.

수학과 여성학을 전공하고 있는 루인이기에, 사람들은 물어본다, “수학을 하면서 어떻게 여성학을 하게 되었어요?” (열에 아홉이 이렇게 묻는다.)
뭐라고 대답해야 할까. 이런 질문을 받은 지가 꽤나 되지만 여전히 어렵다. 특히나 그 자리가 아주 간단하게 대답할 수밖에 없는 그런 자리라면 더더욱.

수학과 여성학이 어떻게 만날 수 있느냐는 질문은 많은 걸 의미하지만 간단하게 되물으면 “어째서 만날 수 없다고 생각하세요?” 정도 되겠다. 어떻게 만났느냐는 질문은 답하기가 너무 어려운데 그건 기본적으로 루인의 고1때부터의 삶을 말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 당시엔 여성학을 몰랐던 시절이었고 철학과 수학을 갈등하던 시기였다. 문과냐 이과냐 로 갈등하던 당시, 루인에게 수학이 어떻게 이과이고 철학이 어째서 문과인지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둘은 너무도 닮아 있었고 칼로 자르듯 쉬 구분될 수 없었다. 결국 수학’의’ 이과를 택했고 그 후로 수학과 놀면서 깨달은 건, 수학은 차라리 인문학에 더 가깝다는 것이다(근대 분과학문의 분류방식에 따르면).

물론 이것을 수학언어 속에서 체득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수학과 인문학은 너무도 잘 만난다고 믿으면서도 “어떻게?”라는 질문에 답할 수는 없었다. 그 질문에 답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고 지금에 와서야 그 상상력의 놀이가 너무도 닮아 있고 서로를 같이 상상할 때 더 깊이 있는 ‘이해’의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고 잘 안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자세한 건 여기선 생략.-_-;;)

그렇기에 수학과 여성학이 만나는 것은 조금도 모순이 아닌 것이다. 결국 “수학을 하면서 어떻게 해서 여성학을 하게 되었어요?”란 질문은 너무도 자연스러운 일을 모순으로 보려는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만나는 계기가 된다. 루인 자신에겐 너무도 ‘자연스러운’ 만남이 루인이 아닌 사람들에겐 상상 ‘불능’의 영역처럼 여겨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아마 수학을 둘러싼 ‘오해’에서 비롯하지 않을까 싶다. 어려운 계산을 하는 것이거나 살면서 아무 필요도 없는 증명 같은 걸 배우는 학문이랄까, 뭐 그런 선입견 같은 거.

앞으로 어떻게 대답할 지는 잘 모르겠다. 그냥 얼버무리면서 적당히 넘어갈 수도 있고, 너무도 닮아 있다고 말할 수도 있고, 때론 어째서 그 둘의 만남을 낯설게 여기냐고 되물을 수도 있을 것이다. 어느 쪽이 되었든 부담스러운 것만은 분명하다.

믹서기

믹서기를 사고 싶어한다.

살림도구라는 것이 없으면 없는 데로 살 수 있지만 필요를 느끼면 어떻게든 필요한 여러 가지 이유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그래서 새로운 살림도구들을 사곤 한다.

믹서기란 것도 없다고 해서 사는데 특별한 불편함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하나 장만해야지 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생겼다. 과일주스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고 샤베트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고 루인식의 아이스크림(기존의 아이스크림은 대부분이 vegan를 전혀 고민하지 않고 만들었기 때문에)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정작 사고 나선 이 모든 것을 전혀 안 할 수도 있겠지만 사기까지의 그 과정, 상상 만큼은 즐거운 시간이다.

추석을 전후로 해서 사지 않을까 싶다. 그럼 여러 가지로 더 재미있는 삶이 이어지겠지.

아마
[#M_ 이것 | 닫기 |

_M#]아니면[#M_ 이것으로 | 닫기 |
_M#]사지 않을까 싶다.

雨鬱

이어폰을 끼지 않고 다닌지 석달이 되어가는 듯 하다.
왜 그랬을까, 알 수 없다. 이어폰 상태가 불량해서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다른 이유가 있어서인데, 잊어버렸다.
기억하고 싶지 않아서일까.

유일한 위로인데.
단 10분의 외출에도 감싸주던 음악인데 막아줄 보호벽 없이 다니고 있다.

한 달 여전, 이어폰을 사용했을 땐, 현기증을 느꼈다. 어지러워서, 귀에서 빼야만 했다.

다시 음악을 듣고 싶다.
사실은, 조금 우울하다. 중독되기 쉬운, 옅은 우울 보다는 진하고 우물에 빠질 만큼 보다는 연한, 그 사이의 농도.

비가 빽빽하게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