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오후 혹은 초저녁 두려운 몸으로 기다리던 성적을 확인하고 타격을 받았다. 기대했던 점수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물론 어떤 사람은 이 성적을 잘 했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조금은 다른 맥락에 있는 루인이기에 [Run To 루인]에 글을 쓸 엄두도 안 났다.
농담처럼 혼자서 떠올리는 말 중에 하나는, 부산집에 가서 ‘이성애’혈연가족을 만나면 1초 반갑고 그 후론 스트레스의 연속이란 것. 얼마간의 과장은 있을지 몰라도 그건 사실에 가깝다. 대학입학하고 혼자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좋았던 이유 중에 하나는 ‘이성애’혈연가족과 떨어질 수 있었기 때문이고 부산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대학을 가려고 한 것도 집에서 떠나려 했기 때문이었다. 그 이유는 하나.
예전에 코끼리와 벼룩 이야기를 쓴 적이 있다. 스스로 자기 한계를 설정해서 더 이상 뛰어오르지 못하는 몸 아픈 이야기. 그건 루인의 이야기였다. 자기 한계를 설정하기도 전에 이미 결정 되어 있었다. 이런 얘기를 하면 [Run To 루인]에 오는 분들은 어떻게 받아들이시려나. 혹은 오프라인으로만 아는 분들은 어떻게 받아들이시려나. 어제 친구와 얘기를 나눴을 때, 친구는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이었다. 예상 밖의 상황.
어릴 때부터 ‘이성애’혈연가족과 생활하며 가장 많이들은 말은 “니가?”였다. 후후. “너 같은 게 할 수 있겠니?”의 줄임말. 푸훗. 무얼 하고 싶다는 말을 했을 때의 반응. 주변의 누군가의 칭찬이 없으면 잘한다는 얘길 들을 일도 없었다. 고등학생 때, 그나마 수학이 재미있어서 덤으로 수학 성적이 좋았는데, 그것도 수학담당이었던 담임이 자기보다 잘한다는 허풍 섞인 말을 듣고 나서야 “그래, 그나마 수학은 잘 하는구나”란 얘길 들을 수 있었다. (이런 풍경은 한국의 무슨 일이든 외국에서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일희일비하는 모습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외국에서 “인정”해야만 그제야 좋아하고 “진짜”로 믿는 모습.)
뭐, 이런 경험들이 별일 아닐 거라고 믿었다. 어느 날 가슴 아픈 깨달음을 겪기 전 까지는. 어느 날 깨달았다. 다른 사람의 말을 믿지 못하는 구나, 다른 사람의 말을 공치사로 듣는구나, 하고. 누군가 루인의 어떤 점을 칭찬해주면 그걸 그냥 아는 사이니까 해주는 말이구나, 했다. 낯선 사람이 말하면 그냥 인사치레구나, 했고. 이 깨달음이 아팠다. 다른 사람들의 말을 믿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 이건 단순히 자존감 없는 취약함의 자기 불신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말조차도 믿지 못하고 불안한 생활을 하고 있음이었다. 그것이 아팠다. 그것이 다른 사람의 선물에 너무 좋으면서도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몰라 어려워한 이유기도 했다.
자학이라면 하루 종일 할 수 있지만 자기자랑이라곤 평생 못할 것 같았던 루인이 자뻑 모드의 글을 쓸 수 있었던 건 이런 깨달음 속에서 다른 식으로 방향을 모색해보려는 노력이었다. 하지만 어제 기대했던 성적이 아님을 확인하고 취약한 기반이 무너지는 걸 느끼면서 다시금 되짚고 있다.
사실 그 성적, 기대했던 정도는 아니지만 예상했던 정도이긴 했다. 아니, 예상보다는 잘 나온 것일까. 어쩌면 그동안 경거망동했던 것에 대한 질책의 의미일지도 모른다. 타격에 어찌할지 몰라 우울한 상태에 있으면서도 그런 모색을 했다. 루인이 한참 부족한 건 루인이 더 잘 안다. 그럼에도 루인의 능력보다 더 많은 걸 기대했던 건, 루인은 최고의 칭찬에 안주하는 타입이 아니라 그것에 자극받아 더 하는 타입이기 때문이다. 사실 오만할까봐 살짝 낮춰주는 선생님들이 있는데, 그럴 경우 루인은 좀 휘청거리는 편이다. 그럼에도 오만하고 있었다는 느낌이 몸을 타고 돌았다. 아는 것 하나 없으면서도 한참 부족하면서도 오만함으로 착각하고 있었다. 자중모드? 아니다. 더 신나게 놀면 된다. 아직 부족한 지점을 지적 받은 것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