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행 + 집에 비글이 있어…

지난 주말, 2박3일로 부산에 갔다 왔다. 방학도 했고 6월에 못 가기도 해서 며칠 다녀왔다.
전에 없이 머리카락이 길었는데, 어머니께서 별 말씀 없으셨다. 왜지? 평소라면 한 마디 할 텐데 어쩐지 그냥 넘어갔다. 오호라.. 다음에도 비슷하게 시도해볼까?
가서 일만하다가 왔다. 원래 그럴 계획이었지만 계획에 없는 일도 잔뜩 했다. 그 중 하나는 실내자전거를 조립하는 일이었는데, 완성하고 나니 생각보다 괜찮았다. 은근 끌린달까. 하지만 내가 직접 구매하는 일은 없겠지. 내가 무슨 운동이라고. 크크크. 운동은 숨쉬기 운동, 평소 이동할 때 하는 걷기 운동이면 충분합니다. 후후.
뭔가 재밌는 것도 발견했는데.. 시중에 파는 열무김치는 물김치건 빨간김치건 상관없이 젓갈이 들어간다. 그래서 어머니가 가끔 물김치를 주실 때마다 젓갈이 들어갔는지 확인하곤 했다. 그때마다 물김치에 무슨 젓갈이 들어가냐는 반응이었다. 알고 보니 어머니나 어머니 주변 사람들에겐 물김치에 젓갈을 넣는다는 상상력 자체가 없었다. 그래서 무척 신기한 일이란 반응을 보였다. 김장김치엔 젓갈을 반드시 넣지만 물김치엔 일절 안 넣는다는 게 나는 신기했다.
암튼 일도 하고 좀 쉬기도 하면서 귀가했는데, 문을 여는 순간 중얼거렸다. 이 집에 비글이 생겼어. -_-;; 바람 혼자 있을 땐 상상도 못 했던 그런 난장판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아직 5개월도 안 된 보리에겐 그러니까 비글의 기미가 농후에. 얼른 중성화수술이나 해야겠다. 킁.

비염약, 자가 임상실험: 씨잘, 슈다페드, 옴나리스 나잘스프레이

비염인 분들은 알겠지만 몸에 잘 듣는 약을 찾기가 참 어렵다. 남들 다 잘 듣는다는데 내가 사용하면 효과가 없을 때가 많다. 더군다나 약을 잘못 고르면 엄청 졸린데다 비염은 진정될 기미를 안 보여서 고생만 할 때도 종종 있다. 나 역시 이 모든 과정을 거쳤고 최근에야 내게 잘 듣는 약을 찾았다. 그것은 코감S. 세리티진 5mg과 슈도에페드린 120mg이 들어있는 이 약은 일반의약품에서 처방전이 있어야만 구매할 수 있는 전문의약품으로 바뀌었다. ;ㅅ; 그나마 다행이라면 내 몸에 확실하게 효과가 있는 성분을 찾았다는 점이다.

얼마전 처방전을 받으러 병원에 갔다. 의사는 슈도에페드린이 몸에 많이 안 좋으니 다른 약을 권했다. 일단 세리티진 5mg의 씨잘과 슈도에페드린 60mg의 슈다페드. 그리고 옴나리스 나잘스프레이.

코에 직접 분사하는 스프레이가 몸에 가장 덜 해로우니 가급적 스프레이를 사용하라고 의사는 권했다. 코의 염증을 직접 진정시킨다면서(이것은 내 기억에 따른 각색이지 정확한 표현은 아닐 수도 있다). 약을 구매한 약국에선, 개봉하면 4개월 안에 사용해야 하고, 한 번 사용하면 한 달 꾸준히 사용하고 중단했다가 다시 사용하면 한 달 꾸준히 사용하라고 했다. 최근 비염이 좀 약해진 것인지 어떤지 모르겠지만 아침마다 스프레이를 뿌리고 있는데 죽염을 통한 코세척보다 괜찮은 듯하다. 얼추 3년 가까이 죽염 희석액으로 코세척을 하고 있는데 과거보단 덜 하지만 비염이 터지면 별 수 없다. 더구나 비염의 계절엔 속수무책이다. 아무려나 스프레이는 비염 증상이 발동하기 전에 뿌리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 이제까진 비염 증상만 보이면 약을 먹었는데, 비염이 그리 심하지 않을 때면 스프레이 정도로 해결할 수 있을 듯하니 이것도 나름 괜찮다.

슈다페드는 슈도에페드린이 포함된 약을 내가 원해서 처방받았다. 다만 120mg은 많다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60mg로 받았고, 한 번에 두 알을 먹기보다 가급적 하루 한 알, 두 알을 먹어야 한다면 두 번에 나눠 먹길 권했다. 며칠 전 비염 증상이 심해질 것 같아서 한 알 먹었고, 코감S보다는 좀 약한 듯하지만 그래도 비염을 진정시켰으니 코감S 대체제로 괜찮은 듯하다. 물론 난 여전히 코감S를 원하지만…;;;

씨잘 역시 실험할 일이 있었다. 스프레이 정도로 괜찮을 듯해서 버티다가 비염이 상대적으로 심해져서 씨잘을 먹었다. (두 약을 따로 먹는 건 슈도에페드린을 지양하고 다른 성분에도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세리티진이 내게 효과가 있는가를 테스트하는 작업인데, 음.. 조금 애매하다.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닌데 있다고 할 수도 없다. 슈다페드나 코감S는 비염을 확실히 잡았다. 코감S의 경우, 심지어 비염이 이미 터진 상황에서도 약을 먹고 한두 시간을 버티면 비염이 잡혔다. 내가 코감S에 반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제까지 먹은 비염약 중 비염이 이미 터진 상황에선 다 무효했다. 약을 아무리 먹어도 소용이 없었다(전설의 콘택600은 효과가 있었던 듯.. 크크크. 하지만 사람을 거의 코마 상태로 내모는 이 약이 비염을 못 잡는 게 더 이상할 듯, 근데 나 한땐 이 약을 한 번에 두세 알을 먹고 그랬는데.. 후후). 그런데 코감S만이 비염이 이미 심하게 터진 상황에서도 효과를 발휘했다. 오오, 대단해. 비염을 못 잡은 경우가 단 한 번 있는데 펙소페나딘 120mg의 알레그라 120mg을 먹어도 아무런 효과가 없어서 코감S를 먹었을 때였다. 내게 알레그라 혹은 펙소페나딘은 별 효과가 없음을 확인한 순간. 암튼 씨잘은 비염을 어느 정도 잡긴 했는데 뭔가 계속 콧물은 났다. 심하지 않고 좀 미약했지만, 미약해도 신경은 쓰이는 법. 결국 스프레이를 한 번 더 뿌리고 나서야 어느 정도 잡혔다.

자가 임상 실험(?)을 통해 확인한 바,
내가 원하는 약: 코감S
나와 의사가 협의할 수 있는 한계치: 슈다페드
의사가 권할 법한 약: 스프레이+씨잘
코감S 60mg이 나왔는지 찾아볼까? 흐흐흐.

크롬은 어떻게 인기있는 웹브라우저가 되었을까

구글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7월 1일 방문자의 브라우저 사용 통계는 다름과 같다.
Chrome 38.5%
IE 30.2%
Android Browser 17.7%
Firefox 7.7%
Safari 4.5%
Safari (in-app) 0.7%
IE with Chrome Frame 0.6%
Mozilla Compatible Agent 0.0%
Opera 0.0%
IT 블로그가 아님에도 크롬 사용자가 많다.
유입 OS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Windows 52.8%
Android 31.1%
Macintosh 11.4%
iOS 2.8%
Linux 1.8%
역시 윈도우즈가 많다. 그런데 한가지 짚을 부분.
안드로이드 브라우저 사용자가 17.7%이니 안드로이드OS를 사용하는 나머지가 크롬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반드시 그렇다는 보장은 없다) 13.4%다. 크롬 브라우저 사용자 중 안드로이드 OS 사용자 13.4%를 제외하면 데스크톱에서 25.1%가 크롬 웹브라우저를 사용한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어림짐작이다.)
[이것은 숫자를 백분율로 변경한 것이다. 그래서 뭔가 아리까리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안드로이드가 아니어도 크롬을 사용하는 사람이 상당하다.
크롬 사용자가 많은 것, 혹은 크롬의 대중성은 다른 경우에도 느끼는데 이른바 ‘컴맹'(인터넷 서핑, 기본 문서 작업, 회사 업무는 처리하지만 컴퓨터에 오류가 발생할 때 구글링만 잠깐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전산팀에 연락해서 처리해야 하는 사람)도 크롬을 알고 있고 사용하고 있다.
[부연설명하면 IT 업계에 종사하는 개발자가 아니면 그냥 컴맹이거나 그에 준한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하하.. 하지만 개발자 역시 자신이 컴맹이라고 겸손한 마당에…]
나는 이것이 참 신기하다. 파이어폭스가 무척 좋은 웹브라우저고 상당히 오래되었음에도 IE를 위협하진 못 했다. 특히 한국에선 맥을 못 췄다. 그런데 크롬은 달랐다. 모바일이 아니어도, 스마트폰이 아니어도 많은 사람이 크롬을 알고 있다. 바탕화면에 e가 없으면 인터넷을 사용할 줄 모를 법한 사람도 크롬을 사용하고 있다.
내가 궁금한 점은, 과연 크롬의 인기는 단지 빨라서일까? 몇 년 전 포털에서 IT와 관련한 기사, Active X와 관련한 기사엔 어김 없이 크롬을 언급하는 댓글이 상당한 추천을 받았다. 빠르고 좋다는 평은 기본이었다. 근데 크롬이 등장할 당시엔 파이어폭스도 IE에 비하면 상당히 빨랐다. 크롬 정도는 아니었지만. 오페라는 더 빨랐다. 오페라는 가볍고 빠르고 표준을 잘 지키는 편이었다. (모바일에선 짱이기도 했다. 데스크톱에선 1% 미만 혹은 1% 남짓의 점유율이었지만.) 그런데도 “크롬은 빠르다”란 구절로 많은 사람에게 회자되었다. 그런데 단지 빠르다는 이유로 크롬이 그토록 널리 퍼질 수 있었던 걸까? 단지 빠르다는 이유로, 쇼핑몰 결제도 안 되고 공공기관 홈페이지는 사용할 수도 없고, 당시엔 더 그렇고 지금도 여전한 편이지만 크롬으로 접속하면 깨지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홈페이지가 수두룩하다. 그런데도 크롬은 인기 웹브라우저가 되었다. 심지어 IT 블로그가 아닌 내 블로그도 크롬으로 접속하는 사람이 가장 많다. 알바를 하다보면 홈페이지가 크롬에서 제대로 안 된다고 불평하는 사람도 늘고 있다.
단지 빠르다는 이유로는 설명이 부족한데, 왜냐면 단지 빠르다는 이유로 결제도 할 수 없는 웹브라우저를 그토록 많은 사람이 사용할 이유는 없다. 단지 빠르거나 사용이 용이하다는 이유라면 우분투나 리눅스민트 역시 인기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빠르지만 실사용이 불편하다면 오히려 좀 느려도 실사용에 큰 불편은 없는 IE를 쓸 법한데 크롬을 사용하면서 크롬에서 해당 사이트가 제대로 안 된다며 불평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니.
(아, 그러고 보면 크롬의 IE 탭의 효과도 있으려나..)
크롬은 어떻게 IE의 아성을 무너뜨렸을까?
(덧붙여 왜 파이어폭스는 크롬 정도의 인지도와 인기를 못 누리고, 오페라는 인기가 없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