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면서 이것저것 확인하고 있다. 제출해야 할 서류를 확인한다거나 학과 홈페이지에 들어가 과목 등을 대충 훑어보는 식이다. 그러다 문득 두려웠다. 난 박사 과정에 진학할 준비를 충분히 한 상태일까? 그 정도의 공부를 하고 있을까? 솔직하게 말해, 자신이 없다.
공부란 내가 얼마나 무지하고 무식한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며, 자신의 무지와 무식을 조금이라도 숨겨보려고 발버둥치는 과정이다. 공부를 할 수록 나의 무지가 여실하게 드러나고, 그래서 더 공부하려는 순환 과정. 나의 두려움은 이것이 아니다. 확인할 무지와 무식 조차 없는 그런 상태면 어떡하지? 겸손인지 자기고백인지 모를 “제가 아는 게 없어서요”라는 말 조차 못 할 그런 바닥 상태면 어떡하지? 이 사실을 지금 내가 깨닫지 못 한 상태에서 박사과정에 진학하겠다고 거들먹거리는 것이라면 어떡하지?
준비하고 있는 학과에 진학하기 위해 운영위원 중 한 분에게 이메일을 보냈다(이것은 내가 어떤 과에 진학하려는지를 밝히지 않기 위해 두루뭉실하게 작성한 문장이다). 내가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고, 어떤 글을 썼으며, 어떤 주제로 공부하고 싶은지를 적었다. 주제를 기술하면서 관심 있는 분야, 공부하고 싶은 주제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공부하고 싶은 분야는 많다. 박사학위 논문 수준으로 파고 싶은 주제도 몇 개 있다. 한국 성전환수술의 역사, 젠더와 피부, 의학과 괴물의 발명 등. 내게 공부하고 싶은 주제가 있음을 확인하며 즐거웠다. 현재로선 매우 두루뭉실한 상태지만 어쨌거나 하고 싶은 주제가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 하지만 이것이 박사과정에 진학해도 괜찮을까와 같은 질문에 정당함을 제공하진 않는다. 나는 박사과정에 진학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는가?
(고백이랄 것도 없는 내용인데… 석사과정에 진학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했느냐고 누군가 묻는다면 간단하게 대답할 수 있다. 없다고. 따로 준비한 것이 없었다. 제출해야 하는 서류만 준비했다.)
박사과정으로 진학할 학과를 ㅂ선생님에게 말한 적 있다. ㅂ선생님은 “## 선생님[주임교수]에게 전화라도 해줄까?”라고 말했다. ㅂ선생님은 그 학과 운영위원 모두와 잘 아는 사이며 주임교수와는 특히 친한 사이다. 전화 한통이면 여러 가지로 편하리라. 참 고마운 말이기도 했다. 하지만 난 단박에 사양했다. 내가 작성한 문서로만 평가받고 싶기 때문이다. 근데 난 박사에 갈 충분한 실력이 있긴 할까?
3년만에 학교에 가려고 준비하고 있다. 초등학교 입학 후 중간에 끊기는 일 없이 석사과정까지 마쳤다. 학교 그만두겠다고 휴학을 한 적 있지만 그럴 때도 계속 학생이었다. 3년을 쉬고 학교에 가려니 모든 게 낯설고 어색하다.
아, 귀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