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고 님 블로그에서 가져왔어요.
1. 잠자는 곳은?
– 침대 혹은 매트리스. 암튼 내 몸이 익숙한 玄牝. 낯선 곳에선 잠을 잘 못 자는 편이라 MT나 캠프 같은 걸 무척 꺼린답니다.
2. 누구와 자는가?
– 나… 랑? ㅡ_ㅡ;; 또 모르죠. 제가 잠들고 있는 사이 무언가(누군가?)가 스르륵 왔다 갈지.
3. 잠버릇은?
– 익숙한 공간이라면 잠들기 직전의 상태를 깨어날 때까지 유지함. 후후. 그냥 일자로 눕거나 소심한 대(大)거나. 흐흐흐.
4. 자면서 울어본 적은?
– 그… 글쎄요. 기억이 안 나네요. 눈물은 자주 흐르는 편인데 그게 운건지, 그냥 눈물이 흐른 건지 애매해서요.
5. 최장 몇 시간까지 자봤는가?
– 15시간? 전날 밤 새고 오후에 잠들었는데 깨어나니 다음 아침이더라고요. 흐흐. 근데 어지간하면 피곤해도 잠을 많이 안 자는 편이에요. 몰아서 자면 오히려 더 피곤하더라고요. 그냥 일주일 정도 평소보다 20~30분을 더 자면 몸이 피로가 대충 풀리더라고요. 그 일주일이 괴롭지만요. 으하하.
6. 자주 꾸는 꿈은?
– 자주 꾸는 꿈은 아니지만 가장 인상적인 꿈은 벌레가 나오는 꿈. 참고로 [Run To 루인]의 인기 검색어는 “벌레가 나오는 꿈” ㅡ_ㅡ;; 기억의 왜곡을 감안하면 무척 어릴 때부터 벌레가 나오는 꿈을 꿔서, 벌레를 무척 무서워해요. 기겁하죠. 비명을 지르면서 도망갈 때도 있고, 순간적으로 숨이 멎을 때도 있고요. 으하하. 여름을 싫어하는 여러 이유 중 하나로 벌레라는. ;ㅁ;
7. 필요한 이불은 몇 개?
– 응? 한 개면 충분해요. 물론 겨울에 보일러 안 틀고 버틸 땐 이불 말고 여분의 덮을 거리가 필요하지만요. 흐흐.
8. 필요한 베개는 몇 개?
– 베개는 낮을수록 좋으니 한 개. 높은 베개는 목이 아파서 싫어한답니다. 근데 베개가 없으면 또 잠을 잘 못 자요.
9. 평소 몇 시에 자는가?
– 좀 많이 피곤한 시기엔 11시 30분 즈음. 그렇지 않으면 12시 전후. 논문을 쓰는 시기처럼 몸을 특정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땐 무조건 11시에 잠들지요.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건 11시 30분 즈음 잠들고 6시에 일어나는 건데, 잠들 시간이 되면 피곤해도 억지로 버티면서 늦게 자려고 해서 문제라면 문제랄까요.
10. 잠잘 때 꼭 필요한 3가지는?
– 잠들기 직전까지 읽을 수 있는 무언가(만화책이건 책이건 논문이건 잡지건 상관없음). 베개. 그리고 온갖 상념. 불을 끄고 잠들 때까지 상념이 없다면 얼마나 심심할까요!
11. 알람은 몇 시?
– 핸드폰의 최초 알람 시간은 6시 2분. 그 후로 몇 분 간격으로 여러 번 울림. 흐흐. 지지(mp3p)의 라디오 알람은 6시 13분. 대충 이 시간 즈음 잠에서 깨지지만, 특별히 바쁜 일정이 있는 게 아니라면 이불에서 나오는 시간은 7시 직전. 어쩌다보니 아침마다 라디오로 『손석희의 시선집중』을 듣는데 6시 55분 즈음 김종배의 시사브리핑이 끝나요. 시사브리핑이 끝나면 그제야 이불 밖으로 나온답니다. 아주 가끔 손석희와 김종배가 만담을 하는데, 이게 은근히 재밌거든요. 하하.
12. 가장 빨리 일어나는 가족은?
– 혼자 살고 있으니… 나? 연례행사로 부산에 가는데 그때도 가장 빨리 일어나는 건 나. 아주 가끔 캠프나 MT 비슷한 걸 가는데 그곳에서도 가장 빨리 일어나는 건 나. ㅡ_ㅡ;; 근데 6시에 일어나는 게 결코 빠른 건 아니라고요!!
13. 가장 늦게 일어나는 가족은?
– 혼자 살고 있으니, 역시 가장 늦게 일어나는 가족도 나. 훗.
14. 꿈속에 꼭 나왔으면 하는 사람
– 꿈에 사람이 나오는 경우가 가끔 있지만 그들 중 상당수가 죽기 직전 제게 들린 경우라… 흠. 자자, 누굴 찍을까요? 케케. 나오길 바란다고 나오는 건 아니잖아요….
15. 바톤 넘길 분 5명?
– 알아서 받으세요. 🙂
[카테고리:] 몸에 핀 달의 흔적
조용필 라이브 실황 앨범, 『The History』
상찬(賞讚)이 넘쳐, 말을 덧붙이는 게 부질없다 싶다. 하지만 넘치는 상찬이 주례사 비평은 아니다. 얼추 열흘 동안 조용필의 40주년 기념 라이브 콘서트 실황 앨범 『The History』만 듣고 있다. 아무리 좋아해도 하루에 한 번 이상 듣는 경우가 드문데, 하루에 서너 번 듣는 날도 있다. 그냥 이 앨범만 반복해서 듣고, 또 듣는다. 공연 중간에 “꿈의 노래”라고 말하는데, 맞다. 그의 노래는 삶의 위로고, 꿈의 노래다.
얼추 10년 전 즈음, 조용필의 인터뷰를 TV에서 봤다. 기억나는 부분은 하나. 연말 콘서트 공연을 앞두고 그는 감기몸살에 걸렸다. 공연을 몇 시간 앞두고 리허설을 하다가, 기존의 공연목록으론 무리라고 판단한 그는 감기 걸린 목소리로도 소화할 수 있는 곡으로 공연목록을 바꿨다. 그리고 공연은 무사히 끝났다. 공연이 무사히 끝난 건 나의 관심이 아니었다. 공연을 몇 시간 앞두고 공연목록을 바꿨는데도 리허설 한 번으로 공연을 할 수 있다는 점에 놀랐다.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이란 밴드는 연습을 얼마나 한 걸까? 조용필이 정규앨범을 통해 지금까지 발표한 곡이 대충 200여 곡이라고 치고, 그 중 공연에서 부르는 곡이 100여 곡이라고 치자. 그럼 그 곡들을 얼마나 연습한 걸까? 한 곡을 연주하고 쉬었다가 다음 곡을 연주하기도 하지만, 몇 곡을 이어서 연주하기도 한다. 몇 곡을 이어서 연주할 때면 각 곡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게 관건이고 그래서 상당한 연습을 하기 마련이다. 그럼 그들은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곡들을, 공연을 대비해 충분히 연습했을 테다.
(조용필은 공연 중에 멘트를 하지 않기로 유명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만 부르는 공연도 상당하다고 한다.)
10여 년 전 그의 인터뷰를 보며, 이런 상상을 했다. 몇 해 전 인터뷰에선, 하루도 빠짐없이 노래 연습을 한다고 했으니, 놀랄 일은 아니겠지만. 아무려나 이번 실황 앨범엔 “한 번 더!”를 외친 후 후렴구를 한 번 더 부르는 곡이 있다. 그때마다 궁금하다. “한 번 더!”는 흥에 겨운 말일까, 미리 준비한 멘트일까? 그는 공연준비를 세세한 부분까지 다 챙긴다고 했다. 그러니 “한 번 더!”는 미리 준비한 멘트일 수도 있다. 매년 공연을 50~60회 정도는 한다고 하니, “한 번 더!”를 외칠 타이밍을 예측하는 건 어렵지 않을 듯하다. 하지만 노래를 부르다 어느 순간 너무 기분이 좋아, 한 번 더 부르고 싶을 때도 있다. 호흡이 척척 맞는 밴드이니, “한 번 더!”란 말에도 당황하지 않고 연주하는 건 문제가 아닐 듯. 공연 실황 앨범을 듣고 있노라면 “한 번 더!”가 미리 준비한 멘트 같다고, 미리 준비한 공연 같다고 느낄 정도로 유기적이다. 그 만큼 호흡이 완벽하다.
음악의 유기적인 흐름부터 연주, 노래까지 어느 하나 흠잡을 데가 없다. (딱 한 군데가 있긴 하다. 노래 중간에 위대한 탄생 멤버를 소개하고 각 멤버들은 짧은 솔로 연주를 한다. 드러머 역시 솔로 연주를 하는데, 그 연주가 노래의 흐름과 어울리지 않는다. 다른 멤버들은 곡의 흐름 속에서 솔로를 한다면 드러머만 다른 리듬을 연주해서 조금 거슬린다. 이 앨범의 유일한 흠이다.) 즐거운 일이 별로 없는 일상에서 음악이 있어서, 이렇게 즐거운 앨범이 나와서 다행이다. 정말 다행이다.
어떤 불안
01
난 왜 이렇게 사소한 일에도 죄책감을 느끼는 걸까?
알바가 끝나고 돌아 오는 길에 이런 고민을 했다. 어쩌면 나와 무관할 수도 있는 일이 마치 나 때문인 것처럼 느끼며 죄책감을, 죄의식을 느낀다.
나도 이런 삶이 지긋지긋해. 이런 삶의 고리를 끊고 싶어.
지긋지긋한 삶의 고리를 끊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 고민해.
02
어떤 사람은 죽지 말고 그냥 살아만 있길 바라기도 한다. 지금 당장 일을 못 해도 좋고, 약속이 깨져도 좋으니 살아만 있으면 다행이라고.
그리고 또 어떤 경우엔, 올해만 버텨도 다행이다, 아니, 버텨도 괜찮은 걸까, 싶을 때가 있다. 지금까지 버틴 게 욕심이었을까? 괜한 오기가 깊은 내상을 들쑤시고 있는 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