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황 혹은 주절주절

비가 내리고 있다. 아침에 씻으려고 화장실에 가다 비가 내리는 걸 깨달았다. 라디오에서 전하는 일기예보를 제대로 듣지 않아서 일까? 이렇게 비가 내리는 날은 하루 종일 방에 콕 박혀 있고 싶지만, 몸은 이미 습관에 따라 움직였다. 습관이란 무서운 거다.

학교에 잠시 들렸다가 카페로 이동하는데, 신발이 축축했다. 아, 이런. 물이 새는 것 같다. 아니 물이 샌다. 비가 많이 오는 것도 아닌데, 그냥 물이 많은 거리를 걸었는데 양말이 푹 젖었다. 아직 3년 밖에 안 신었는데, 이러면 곤란하다고! ㅡ_ㅡ;; 좋아하는 신발이라 아쉬움만 가득하다. 새로 하나 사야할까? 녹취 알바를 할 듯 하니, 그 돈으로 사면 될 것 같다. 뭐, 어차피 조만 간에 조리를 신을 테니, 당장 새로 살 필요가 없긴 하고.

어제부터 알바를 시작했다. 하루 가서 알바할 때와 장기간 알바를 할 때의 차이는 단 하나. 내가 원하는 음악을 트는지 여부다. 하루 가는 경우엔, 매장에 있는 CD를 틀거나 음악을 안 듣는 편이다. 하지만 장기간 알바를 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몇 장의 CD를 준비했다. 처음엔 니나 나스타샤(Nina Nastasia)의 You Follow Me. 일단 혼자 신나서 두 번 연달아 재생했다. 후후. 그 다음은 장필순의 6집, Soony. 기뻤던 건 손님 중 한 명이 이 앨범의 곡들을 거의 모두 흥얼흥얼 따라 불렀다는 것!! 겉으로 표현하진 않았지만 속으로 좋았다. 겉으로 표현하지 않은 건, 괜히 이런 걸로 친한 척 하는 걸 상대방이 싫어할 수도 있겠다 싶어서. 하지만 내가 재생하는 앨범을 누군가 안다면 그 보다 기쁜 일이 어딨겠느냐고. 후후. 언젠간 니나의 앨범을 알아 듣고 먼저 아는 척 하는 사람이 있을까? 마지막으로 톰 요크(Thom York)의 독집. 가사에 욕설이 나와서 당황했다는;;; 이미 알고 있긴 했지만, 유난히 길게 반복하는 느낌이었달까.

비염의 계절이 돌아왔다! ㅠ_ㅠ

우리 마을 이야기2

사건일지 1: 김씨. 아파트 입주자. 1-1603 거주.
그날도 꽤나 시끄러웠다고. 사실 원주민들의 성격 나쁜 건 알고 있었으니, 그러려니 하겠는데, 그래도 정도 껏 해야지. 어떻게 만날 시위를 해. 참나. 특히나 내가 살고 있는 집이 고층이라 그 사람들이 떠드는 소리가 잘 들리잖아. 중간층에 사는 게 좋다는 말이 괜한 소리가 아냐. 정말, 그들이 떠들면 어지간한 소리는 다 들려. 그날도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고 있더라고. 그래, 내, 신경질이 나서 베란다로 나갔지.
응? 아, 그 애? 글쎄. 자세히 본 건 아냐. 그냥 시위꾼들 한테 한 소리 할까 하고 내다 본 거니까. 성질 같아선 물이라도 한 바가지 퍼 붓고 싶었는데, 괜한 빌미 잡히기 싫었서 참았지. 사람들이 단지 출입을 개방하라고 떠드는데, 술이라도 마셨는지 유난히 시끄럽더라고. 소주병을 손에 든 사람들도 많고. 아, 기억난다. 그들이 시위하고 있는 철망 근처에 어린 애가 주저 앉아 있는 거 본 거 같아. 확실한 건 아닌데, 누가 쪼그리고 앉아 있었던 거 같아. 나야, 조경으로 만든 물건이겠거니 했으니까. 근데 다시 생각하니 그 자리에 바위나 다른 물건이 있을리가 없잖아. 더구나 시위꾼, 그네들 완전 꾼인 거 같은데, 시위꾼들이 그 애가 앉아 있는 쪽으로 손지껌을 하는 거 같더라고. 술병을 그곳으로 던져 화풀이라도 할 것 같았거든. 아, 이제야 알 거 같네. 그들이 왜 그렇게 그곳을 향해 요란했는지.
암튼 그 자식들 모두 잡아 들여야 해. 그 놈들이 한 짓거리가 맞다니까.
이봐, 근데 형사님은 어디 출신이요? 원주민은 아니죠?
특이사항: 그는 사건이 발생한 후 입주자들 중 몇 명이 원주민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을 때 동조한 바 있으나, 조사 과정에서 발뼘하는 태도를 취함.

사건일지 2: 최씨. 아파트 입주자. 2-302 거주.
요란했죠. 제가 사는 집에선 거리가 있지만 그래도 아파트 단지가 그렇게까지 넓은 건 아니잖아요. 그래서 베란다 창문을 닫으려고 나갔다가 우연히 본 거죠. 원주민들 몇 명이 철망을 넘으려고 하더라고요.
무슨 생각을 했냐고요? 솔직히 뭐하는 짓인가 싶었죠.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철망을 넘어 들어오는 건, 아파트 입주자들을 공격하겠다는 의도가 아니면 뭐겠어요. 더구나 그들 손엔 술병이랑 새총도 있었다고요. 무슨 의도겠어요. 신고가 조금이라도 늦었다면 몇 집은 유리창이 깨지고 털렸을 걸요. 확신해요. 이곳 원주민들 성질은 유명하잖아요. 아, 진짜, 다른 곳보다 집값이 싸서 입주했는데 이럴 줄 알았으면 돈 좀 더 주고 다른 곳에 갈 걸 그랬어요.
그 애는 못 봤어요. 내가 사는 곳에선 안 보이니까. 하지만 그 사람들이라면 충분히 그럴 수 있죠. 암, 그러고 말고.
특이사항: 경찰서에 해당 사건을 신고한 인물로 추정. ‘추정’은 주지하다시피 경찰서 전화에 발신번호가 뜨지 않았으며 전화국 조회에서도 확인되지 않음.

사건일지 3: 이씨. 원주민. 48-11 거주.
이봐, 김형사. 우리들 성격이 순하단 건 자네가 더 잘 알잖아. 물론 그 날 사람들이 다른 날보다 더 흥분하긴 했어. 그렇다고 욕설을 하고 누굴 공격할 사람들이 아냐. 자네, 여기서 하루이틀 산 것도 아니니 잘 알 것 아닌가.
뭐? 아니, 자네 도대체 왜 이래. 여기서 갑자기 내 술버릇은 왜 들먹여. 자네 이러긴가? 그래, 내 술버릇이야 좀 험하다고 해도 다른 사람들은 아니잖아.
말이야 바른 말이지, 아파트 시공할 때부터 시공하고 나서도 계속되고 있는 피해를 생각 해봐. 그게 말이나 돼? 아니 어떻게 우리들에겐 말도 없이 갑자기 아파트 신축을 허가하더니, 공사 중에 받은 피해에 대해선 한 마디도 안 하고 말이야. 진정을 몇 번이나 넣어도 반응도 없고 …, 고발을 해도 기각이나 하고. 혹시 자네 뭐라도 받은 거 아냐!
아, 미안하네. 아니, 내가 말 실수를 한 거야. 미안해. 그간 시공업체에 쌓인 게 너무 많다보니 그만 …. 자네가 청렴한 건 내가 잘 알지. 아니, 화 풀게. 내가 정말 실수했네.
아무튼, 그날 아파트 단지 안엔 아무도 없었어. 내가 분명히 봤다니까. 사람들을 모으고 자리를 만드는데 그 정도도 확인 안 했겠나. 단지엔 개미 한 마리 없었어. 내 장담하네.
어디를 보고 있었냐고? 당연히 우리 사람들을 향하고 있었지. 사람들에게 말하고, 시위를 진행해야 하니까. 그러면서 간간히 단지를 향하고.
특이사항: 원주민 대표. 당일 술을 마시고 확성기로 고래고래 소리를 질러, 경범죄로 고발된 상태.

사건일지 4: 방씨. 원주민. 48-13 거주.
글쎄. 있었나? 기억이 잘 안 나네.
내 평생 술이라곤 입에도 안 댔네, 이 사람아. 허허, 사람들이랑 같이 있었어. 그 자리에 빠질 수는 없잖은가. 그날 따라 분위기가 좀 고조되긴 했지만 특별할 건 없었고.
글쎄, 사람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은데. 확실한 건 아니지만, 워낙 사람이 없는 곳이잖은가.
그쪽에? 글쎄. 난 주로 다른 쪽을 보고 있었네만…
특이사항: 마을 원로. 유난히 말을 아끼는 분위기. 숨기는 것인지 평소처럼 말을 아끼는 것인지 모호함. 곤란한 질문엔 허허, 웃고 넘어감.

사건일지 5: 윤씨. 아파트 경비원.
전 그날 지하에서 근무하고 있었는데요.
뭐, 그러죠. 평소에도 원주민들이 시위를 자주 했죠. 어떤 날은 한 시간 정도 하다가 흩어지고, 또 어떤 날은 서너 시간 정도 했죠. 아마 매일 했을 거예요. 격일제 근무에다, 근무 장소도 돌아가면서 하거든요. 지하주차장, 아파트 지상 출입구, 아파트 단지, 내부 시설 관리. 그래서 어떤 날은 시위 장면을 못 보기도 해요. 지상 출입구에서 근무할 때만 확실하게 알 수 있죠. 지하에 있을 경우, 잠깐 바람 쐬러 나오는 경우에나 볼 수 있는데, 시간대가 안 맞으면 못 볼 수도 있으니까요. 다른 경비들이랑 이야기를 하다 보면, 매일 시위를 하는 거 같더라고요.
아이들이요? 단지에서 근무를 할 때면 원주민 아이들이 종종 철망을 넘어 오거나 틈새로 들어와요. 아파트에 사는 애들과 친한 애들이 몇 명 있는 거 같더라고요. 근데 어른들 사이가 안 좋으니까, 정문으로 오긴 힘들죠. 몰래 오는 거죠. 보는 족족 다 쫓아 내요. 그게 제 일이기도 하니까.
철망 보수를 해야 하긴 하는데 시공업체와 관리업체에서 계속 미루는 중이죠. 자칫 원주민들을 더 자극할 까봐요. 괜히 긁어 부스럼 만들고 싶진 않다는 거겠죠. 진작 공사를 했다면 이런 일은 없었을 텐데 …. 아, 아뇨. 그냥 혼잣말이에요.
아뇨. 걔는 본 적 없어요. 사람들이 입주를 시작할 때부터 근무했지만, 사람들을 모두 아는 건 아니니까요. 물론 대충 얼굴은 다 알아요. 하지만 출입구에 근무할 때면 거주자들 사진이 있어서 대조할 수 있거든요. 시간이 걸려서 욕 먹지 않냐고요? 아뇨. 그렇진 않아요. 금방 찾죠.
얼굴을 잘 모르긴 하지만. …. 그게, 사실은, 아, 이거 절대 비밀이에요. 절대 말하면 안 되는 비밀인데요. 출입구에 카메라가 있어요. 그래서 카메라가 사람들 얼굴을 자동 인식해요. 사람들이 출입카드를 찍어야 하긴 하지만, 그것으론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 거죠. 얼굴 형태와 카드가 일치해야 문이 열려요.
주민들이 아냐고요? 설마요. 관리업체에서 이번에 시험 운영하는 거라, 아직은 비공개예요. 절대 아는 척 하시면 안 돼요. 여기서 짤리면 곤란하거든요. 가족 생계가 이 일에 달려 있거든요.
이런 것도 말해야 해요? …. 파트너와 같이 살아요. …. 그것까지 밝힐 필요는 없지 않나요?
아무튼 안면자동인식장치 때문에 제가 사람들 얼굴을 일일이 외울 필요가 없어요. 그러니 걔가 누군지 모르겠어요. 다들 학교 끝나면 학원 가느라 단지에서 노는 애들도 거의 없으니, 근데 그 자리에서 있었던 건 확실한 거죠?
특이사항: 관리실과 경비실에서 관리하는 사진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우리 마을 이야기

공사를 시작한 후, 사람들은 멀리 돌아가야 했다. 건설업체는 원주민들에게 사전 양해를 구하지 않았다. “**년 *월부터 **년 *월까지 공사를 진행합니다. 통행에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란 일방적인 문구가 불편을 당연한 것으로 만들었다. 커다란 트럭, 레미콘 차량, 그 외에도 각종 공사 차량이 들락거렸다. 먼지 발생률이 제로에 가깝다는 시공법이라고 건설업체는 광고했다. 빨래를 실외에 널면 흙먼지로 지저분해 새로 빨아야 했다. 아울러 예전 같으면 5분 걸릴 거리를 30분 이상 돌아서 다녀야 했다. 주민들은 항의했고 업체는 외면했다. 자신들의 공법 자랑만 반복했다.

세 동의 아파트가 들어섰다. 높이 20층. 가장 작은 곳이 50평이란 소문도 있고, 80평이란 소문도 있었다. 주민들 중 이와 관련해서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없었다. 모델하우스가 어디에 있는지 아는 사람도 없었다. 분양을 하기는 하는지도 확실하지 않았다. 주민들은 공사로 인해 발생한 흙먼지가 얼마나 심했는지만 알 수 있었다.

공사가 끝나고 조경정비도 끝나자 이삿짐을 실은 트럭들이 하루에도 몇 대 씩 도착했다. 벽걸이 TV와 같이 금액이 상당한 짐들이 기본 옵션처럼 달린 이삿짐 트럭이었다. 짐을 나르는 사람들은 하나 같이 깔끔한 차림이었고 일처리는 처툴렀다. 그렇게 하루가 지나면 밤에 불이 켜진 집이 서넛 늘어났다. 한 달 정도 지나자 빈 집을 꼽을 정도였다.

아파트 공사가 끝났지만 원주민들의 불만은 여전했다. 공사를 시작하기 전까지 다니던 길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었다. 시공업체는 아파트 주민들의 의견이라며 외부인에게 단지 개방을 거부했다. 아파트 입주자의 확인을 통해서만 출입할 수 있었다. 아파트 주변은 2미터 정도의 철망으로 막혀 있어 샛길로 드나들기도 쉽지 않았다. 원주민들은 강하게 항의했지만 아파트 관리업체는 표리부동, 복지부동이었다. 항의하는 원주민들 앞에선 웃는 낯으로 당장 시정할 것처럼 행동했지만, 어떤 변화도 일어나지 않았다. 원주민들의 불만은 단지 개방 뿐만 아니라 일조권 침해와도 맞물렸다. 아파트가 들어선 이후, 인근 주택 주민 중 일부는 하루 종일 불을 켜고 살아야 했다. 또 다른 주민은 조망권을 침해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파트가 들어선 이후 더이상 옥상에서 한강과 산을 바라볼 수 없었다.

아파트 입주자들 역시 불만이었다. 입주자들은 원주민들의 항의를 기득권 행사로 이해했다. 그 동네는 전통적으로 이주자들에게 배타적이라는 소문이 많았다. 집성촌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4대째 혹은 그 보다 더 오래 그 마을에서 살았다. 근래에 우연히 이사 온 사람들 중 6개월을 버틴 사람이 없었다. 새로운 얼굴 중 6개월 이상 버틴 사람은 하숙생이거나 자취생이었다. 그런 마을에 세운 아파트가 분양에 성공할 수 있었던 건, 마을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값을 인근 시세보다 1% 정도 싸게 책정했기 때문이었다. “지금이 집을 사기에 적기다.”고 언론에서 떠들었고 은행대출조건이 일 년 전보다 수월했다는 점도 한몫했다. 그래서일까? 입주자들은 시공업체와 관리업체가 원주민들의 항의에 제대로 대처를 못 한다고 불만이 많았지만, 정작 원주민들의 항의엔 신경을 쓰지 않았다.

마을의 분위기가 급 냉각된 사건이 발생한 건 그 해 여름, 초등학교 방학이 시작되고 사흘 정도 지나서였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한 명이 아파트 근처에서 혼자 놀고 있었다. 그 초등학생 근처에선 마을 원주민들이 격렬한 시위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날따라 분위기가 유독 험악했다. 확성기를 사용하는 건 기본이었고 몇몇 사람들은 새총과 소주병을 들고 있었다. 내키면 언제든 아파트를 향해 새총을 쏘거나 소주병을 던질 기세였다. 몇몇은 철망을 넘는 시늉을 했다.

나중에 경찰이 확보한 증언 중엔 소주병을 실제로 던졌다는 주장이 있었다. 주민들이 시위를 하는 장소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깨진 소주병이 발견되어 그 증언에 신빙성을 더했다. 물론 원주민들은 2미터가 넘는 철망으로 막혀 있는데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하냐고 항변했다. 경찰들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2미터 높이의 철망으로 막혀 있지만 물건을 던지거나 넘어가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는 아니었다. 아파트 경비 중 한 명은, 원주민의 아이들 중엔 철망을 넘다가 자신에게 들킨 적이 있다고 증언했다. 몇몇 입주자들은 원주민들이 당일 아파트 출입을 통제하는 경비를 매수했다고 주장했다. 경비는 창백한 표정으로 결코 그런 일이 없다고 주장했고 원주민들은 경비가 누군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당일 시위에 참여한 원주민들 중 몇몇은 그날 아파트 단지에 정장을 입은 이가 몇 시간 동안 조용히 앉아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의 인상착의는 입주자들 중 한 명과 비슷했다. 입주자 대표는 그런 사람이 없다고 단언하며 원주민들이 자신들을 이간질하려고 없는 사실을 조작한 거라고 주장했다. 만약 그런 사람이 정말 있었다면 오히려 원주민 중 한 명과 닮았다며 누군가를 지목하기도 했다.

경찰은 석 달에 걸쳐 원주민들과 입주자들을 설득한 끝에 그들 모두의 집을 구석구석 조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디서도 단서를 찾을 수 없었다. ‘카더라 통신’이 난무했고, 나중엔 증언이나 제보 모두 카더라 통신 같아, ‘사실’과 ‘카더라 통신’의 경계가 모호했다. 정밀조사가 끝나고 다시 6개월이 더 지났다. 사건 이후에도 간간이 원주민들이 진행하던 시위는 조용히 중지되었다. 증언과 제보에 열성인 아파트 입주자들 중 몇몇은 야반도주하듯 다른 마을로 떠나갔다. 사건이 미궁에 빠질 수록 마을은 조용해졌고, 소수의 사람을 제외하면 누구도 사건의 조속한 해결을 독촉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그 사건’이라고만 지칭하며 은밀히 얘길 나눴지만 드러내고 얘기하는 사람은 없었다. 은밀한 눈빛만 오갔다. 원주민이건 입주자건 ‘그 사건’을 직접 언급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지만 한 시라도 잊고 지내는 사람도 없었다. 그건 마치 폭풍의 전야 같았다.

경찰의 고민은 따로 있었다. 그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