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무임승차와 양육

지난 주, 한 학술대회에 참여해서 신지연 선생님이 광주에서 수도권으로 양육 출퇴근하는 노년을 인터뷰한 발표를 들었다. 그 발표는 광주와 수도권 사이의 이동이라 주중에는 자식의 집에 머물며 손자녀를 양육하고 주말이면 집으로 돌아가 병원 치료를 받거나 남편이 살아 있다면 남편 반찬 만드는 일로 바쁜 일상이었다. 이 발표를 들은 청중 중 한 분이 수도권 내에도 양육을 위한 이동이 많다며 함께 다루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그 두 논의가 겹치자 다른 논의 사항이 떠올랐다.

정치권에서 노인의 지하철 무인승차는 계속 논란거리처럼 다뤄지고 제3 정치를 한다는 양당 기득권의 정수 중 한 명인 ㅇㅈㅅ은 무인승차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마장에서 하차하는 인구가 가장 많다는 혐오와 비난의 의도를 가득 담은 발언과 함께. 또한 무임승차는 지하철 운영에서 적자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말해질 때가 많고 무엇보다 무임승차하는 노인이 출퇴근 시간은 피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비난하는 말도 많다. 물론 무인승차는 교통복지, 의료복지 차원에서 논해야 한다는 논의도 있으며 무임승차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노년에게 주로 혜택으로 돌아간다는 점에서 서울 중심주의라는 문제의식 역시 존재한다.

그런데 출퇴근 시간에 무임승차를 하는 노인이 자식의 자식, 손자녀를 돌보기 위해 이동하는 중이라면? 다른 말로 무임승차를 출산율과 양육의 문제 중 하나로 논의할 필요도 있지 않을까? 지금은 무임이지만 비용을 내야 한다면 이는 단순히 노년층의 문제만이 아니라 손자녀를 노인에게 위탁하고 있는 양육자의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무임승차 논의는 이성애-비트랜스 중심의 가족주의 체계에만 제공하는 혜택이기도 하겠지만 동시에 노년만의 문제가 아니라 어린 아이를 둔 양육자에게도 중요한 의제가 된다는 뜻이다.

물론 나는 이 의제를 그저 미디어에서 다루는 정도만 이해하고 있어서 더 정교한 논의를 하기는 어렵지만, 누가 더 정교하게 논의해주면 좋겠다.

돌고돌아 유선이어폰?

H가 무선이어폰을 사줘서 사용한지 3년 정도 지났고 그러면서 선이 없다는 것의 편리함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그래서 가급적 사용 시간이 긴 무선이어폰을 찾고는 했고다. 무선은 지하철 등 사람이 많거나, 짐이 많을 때면 확실히 간편하다.

무선이어폰의 많은 장점에도 많은 이들이 느낄 확실한 단점
– 통화가 어렵다. 외부 소음이 심하고 나의 소리가 상대에게 전달이 안 된다. 차라리 저가 제품이어서 성능이 떨어져서 그렇다면 모르겠는데 이 분야 최고는 에어팟이다. 내 주변의 소음을 응축해서 (나에게는 안 들려주고) 상대방에게 증폭해서 날림…
– 사용시간의 제한으로 서너 시간 사용하다보면 다시 충전해야 한다.
– 사람 많은 공간이나 지역에서 블루투스 연결이 불안정할 때가 종종 있다.
– 등등
그래서 요즘 유선이어폰을 다시 사용하고 있는데, 유선이라는 점 빼고는 만족스럽다. 나는 보부상이고 그래서 짐이 많아 유선이 불편할 때가 종종 있지만 그럼에도 안정적이다.
C타입 유선이어폰도 이제 다양해졌고 대중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노하우가 축적되었는지 대체로 괜찮다. 결국 돌고 돌아 유선인가. (물론 C타입 이어폰은 기종을 가릴 때가 있음.)

어쨌거나 마무리

ㄱ.

나는 운이 좋아서 지도교수 복이 많은 편이다. 석사 때 그랬고 박사 때도 그렇다. 언젠가 더 자세히 쓰겠지만 두 분 덕분에 안전하고 많이 배울 수 있는 대학원 과정이었다. 정말 감사하고 또 감사하달까.
ㄴ.
아무려나, 어쨌거나, 어찌하여 한 시기를 마무리할 듯하다(끝날 때까지 끝난 것은 아닌지라). 지도교수는 계속해서 학생에서 벗어나 다음을 고민하라고 말씀해주었고 그 말이 큰 힘이었다. 당연히 나는 다른 단계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ㄷ.
이제 다시 블로깅도 제대로 돌리고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