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국을 앞두고

내일이면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가는 비행기를 탄다. 여행 자체에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거니와(여행 자체는 좋아하지만 여행 준비에는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 타입이다) 영어를 매우 못 하기 때문에, 심지어 유나이티드항공을 이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얼마간 걱정을 하고 있다. 갑자기 병원에 입원해서 미국에 안 갈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품고 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행사에서 사용할 발표문을 만들고 있…)

그런데 항공권을 예약하면서 등록한 어느 사이트에서는 끊임없이 한국은 위험한 지역이라는 경고 메일을 보내주고 있다. 요약하자면, 사드 배치에 대한 항의 집회가 있기 때문에 한국은 위험한 지역이라는 내용이다. 정작 한국에 사는 나는 사드와 관련한 다른 지점을 고민하고 화내고 있는데, 여행 사이트에선 한국의 사드 반대 집회가 한국을 위험하게 만든다고 경고한다.
위험은 해석의 대상이란 뜻이리라. 무엇을 위험으로 설명할 것인가. 무엇이 더 위험한 일일까. 이 모든 것은 해석 행위다.
물론 실질적 위협을 체감하는 방식은 다르다(물론 이것 역시 해석 행위의 일부다). 한국에 사는 나는 사드집회로 인한 어떤 위협을 느끼지 않겠지만, 미국인으로 통할 법한 사람이라면 느낌이 다를 것이다. 한국처럼 이상한 오지랖이 있는 나라에서(Do you know Kimchi?) 한국인으로 통하는 몸이 체감하는 위협과 미국인으로 통하는 몸이 체감하는 위협은 다르다. 미국에서 역시 마찬가지다.
유나이트항공에서 베트남계 미국인을 끌어낸 사건이 발생했을 때, 내가 유나이티드항공을 탄다고 말하자 두어 가지 반응이 나왔다. 한 측에선, 버티고 항의해라! 나중에 같이 시위해주겠다. 다른 측에선 티켓 교환해주겠다고 하면 그냥 조용히 그에 따라라. 늦게 도착하더라도 그냥 따라라. 둘 다 좋은 제안이다. 그런데 나의 가장 큰 문제는, 그들이 영어로 모든 이야기를 할 텐데 나는 영어를 전혀 못 알아 듣는다는 점이다. 사태는 엉뚱하게 흐를 수도 있다. 나는 그들의 말을 알아 들을 수도 없고 항의할 수도 없고 따를 수도 없다. 내가 할 수 있는 대응은 무엇일까? 이때 내가 체감하는 두려움 혹은 위험은 전혀 다른 성질일 것이다.
이 블로깅을 하면서 깨닫기를, 나의 두려움은 타국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라 언어에 대한 두려움에 더 가깝다. 나는 말을 제대로 못 쓰는 것에 대한 엄청난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느낀다.. 그래서 어떤 자리에 가서 예정에 없던 발언을 하게 되면 늘 후회한다. 내가 직접 발언을 하도록 기획된 자리가 아닌 이상, 그 어느 자리에서도 발언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말을 제대로 못 했을 거라는, 제대로 못 하고 중언부언할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나저러나 나는 결국 잘 다녀올 것이다. 뭐, 어떻게든 되겠지. 심지어 한동안 방치한 이곳에 샌프란시스코 풍경 사진을 매일 올릴지도 모른다. 크크크. 그러니 설마 이것이 마지막 블로깅이겠어. 크크크.

필수영양소 비타민X, 장애, 퀴어

유튜브에서 10년 전 방영한 프로그램을 봤다. 외국 어느 지역은 고산지대라 11월부터 5월까지는 푸른 잎채소를 구할 수 없고 주식은 밀가루라고 한다. 그리하여 여러 영양소가 부족한데 그 중에서도 엽산이 부족하다. 그리고 그 마을에서 태어난 20명의 아이 중 8명이, 프로그램의 표현을 그대로 인용하자면 기형아라고 했다. 뇌가 없는 경우, 척추가 완전히 손상된 경우 등 다양했다. 필수영양소 엽산은, 아마도 임산과 출산을 경험했거나 가까운 거리에서 그런 사람을 살핀 경함이 있다면 매우 중요하고 필수 중의 필수 영양소로 꼽힌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리하여 해당 지역를 관리하는 정부는 밀가루에 엽산과 다른 비타민 B 계열 영양소를 함유해서 보급했다. 그리고 마을 사람 모두의 영양 상태와 몸 상태가 개선되었다.

방송 프로그램은 이것을 기쁜 일로 설명했다. 하지만 이것은 마냥 기쁜 일일까? 엽산은 태어날 아이의 장애나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 영양소로 언급된다. 이것은 어쨌거나 의료적 사실일지도 모른다. 임신한 사람에게 엽산이 부족하면 태아는 척추에 심각한 손상을 입는 등 장애인으로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이 주장을 믿건 믿지 않건, 이 설명이 맞다고 하자. 그리고 여기서 나의 첫번째 질문, 장애인이 태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엽산을 먹어야 한다면, 엽산 부족을 방지해야 한다면 당신은 먹을 것인가?
나는 여기서 다른 한 가지를 가정했다. 임신한 사람에게 필수영양소 비타민B12가 부족할 경우 태아가 트랜스-비이성애자에 해당하는 어떤 범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 당신은 비타민B12를 먹을 것인가? 아니면 먹지 말자는 운동을 할 것인가?
(물론 비타민B12는 이것과 무관하며 오히려 채식주의와 논쟁을 야기하는 영양소다.)
한국에선 임신한 사람 대다수가 태아 산전검사를 한다. 태아의 장애 여부,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리고 장애가 확인될 경우 낙태를 권유받는다. 이 제도는 관행처럼 유지되고 있다. 그런데 미국의 한 클리닉에선 산전검사, 유전자 검사를 통해 아이가 동성애로 살 가능성을 알려주겠다고 했다. 동성애나 퀴어를 거르는 검사는 유지되거나 확대되어야 할까? 장애를 거르는 의도가 강한 기존 산전검사는 유지되어야 할까?
이 질문은 몇 년 전 리키 윌킨스가 제기한 질문을 나의 고민과 엮어 재구성한 것이다. 윌킨스는 다음과 같이 질문했다. 만약 트랜스젠더인 당신이 어떤 약을 먹고서 더 이상 트랜스가 아닐 수 있다면, 즉 트랜스여성인데 약의 작용으로 비트랜스여성으로 변하고, 트랜스남성인데 비트랜스남성으로 변한다면 당신은 그 약을 먹을 것인가? 즉 당신이 트랜스젠더가 아닐 수 있는 약이 있다면 그 약을 먹을 것인가? 트랜스젠더가 사라지게 되는 그 약을 먹을 것인가? 그런데 마찬가지로 당신이 동성애자가 아닐 수 있는 약이 있다면 먹을 것인가? (윌킨스의 질문은 여기서 젠더퀴어의 맥락을 다시 고민하려 하지만 나는 일단 생략하겠다.)

나는 엽산 관련 방송을 보고 질문을 재구성하면서, 트랜스 이슈는 확실히 성적지향 관련 이슈보다는 장애 이슈와 더 많이 공명하고 중첩한다는 고민을 했다. 또한 질병과 장애를 함께 사유하지 않는다면 트랜스 이슈와 퀴어 이슈는 매우 위험하다는 고민을 했다. 물론 장애와 퀴어의 맥락이 다르기에 내가 계속 제기 한 질문은 부당하다고 지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또 무엇이 그렇게 다른지 되묻고 싶기도 하다. 이런 구분짓기는 어디서 발생할까? 트랜스에겐 되지만 동성애에겐 안 되는 것, 퀴어에게 해선 안 되지만 장애인에게 해선 된다는 구분은 어디서 발생할까?

몇 년 전 나는 윌킨스의 질문을 읽고, 그 질문이 야기하는 이런저런 고민을 글로 쓰고 싶었다. 하지만 몇 년이 지난 지금에야 이 정도의 질문으로 넘어왔을 뿐이다. 앞으로 몇 년을 더 붙들고 질문을 계속하면 글로 완성할 수 있을까? 서두를 필요는 없다. 그저 이 질문을 어떻게 이어갈지 내가 더 궁금할 뿐이다.

퀴어페미니스트, 입장, 재판관처럼 굴지 않기

퀴어페미니즘, 트랜스페미니즘에서 가장 중요한 정치학은 스스로 재판관이 되지 않는 것이다. 어떤 사건에도 연루되지 않은 투명한 주체, 마치 공정하고 당파성이라고는 없는 재판관처럼 굴지 않는 것을 중시한다.

재판관처럼 굴지 않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인데 이것은 욕먹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하며, 내가 결국 어떤 당파성에 위치해 있음을 인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내가 가해자가 될 수 있으며 내가 피해자라고만 나를 주장할 수 없음 역시 인정하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내가 피해자일 때조차 내가 가해자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재판관처럼 굴지 않는 태도는 정말 어렵다. 내가 절대적으로 옳고 내가 하는 말은 다 정당하며 나는 순결하다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하기 때문에 더더욱 어렵다. 퀴어와 페미니즘이 교차하는 공간에선 더욱 그렇다.
나는 내가 재판관처럼 굴지 않는다고 장담하지 못한다. 하지만 너무 많은 상황에서 너무 많은 사람이 재판관처럼 자신은 중립이라도 되는 것처럼 행동하고 아무말이나 떠들다가 자신이 불리해지면 그 말을 슬쩍 지운 다음 아무일 없었다는 듯 행동하는 것을 볼 때마다 당황한다. 때로 아예 대심판관처럼 바뀌는 모습을 볼 때면 곤혹스럽다. 그렇게 하는 사람들이 자신을 퀴어/페미니스트라고 주장할 때 더 큰 난감함을 느낀다.
정치학이란 무엇일까? 퀴어페미니즘 정치학이란 무엇일까? 물론 모든 정치적 언어는 알려지는 순간부터 최초 의도 따위 상관없이 아무렇게 쓰인다. 그것을 탓할 수는 없다. 탓할 문제가 아니라 새롭게 쓰이는 방식으로 재개념화 해야 하고, 동시에 바로 그 개념을 강력하게 비판해야 한다. 하지만 질문은 계속해서 남는다. 정치학이란 무엇일까. 퀴어페미니즘 정치학이 폭력의 도구로 쓰일 때, 현장에 삶을 투신해서 만든 언어와 고민을 두고 탁상공론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때 어떤 표정을 지어야 할지도 고민이 된다. 때론 뭐가 뭔지 모르겠다 싶을 때도 있다.
맥락 없이 정치적 용어를 마구 사용할 때 발생하는 폭력을 목격하고 있다. 신뢰란 무엇인지 고민한다. 사유란 무엇인지, 변해가는 시대에 맥락과 책임 그리고 윤리란 무엇인지도 고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