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슨한(황당한?) 식욕

요즘 들어 먹고 싶은 것이 눈앞에 왔다 갔다 하는데 그 중에 몇 가지는…자장면이라든가 피자 같은 것이다. 뭐, 모르는 사람이라면 먹으면 되지 않느냐고 말하겠지만 그것이 그렇게 간단한 게 아니다. 루인은 채식주의자vegan이기 때문. (비건이라서 안 먹는 것은 아니다. 종종 비건vegan/채식주의자를 금욕생활자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먹고 싶다는 욕망은 슬금슬금 몸을 타고 도는데 그렇다고 정말 먹고 싶은 것은 아니다. (일테면 최근 우연히 순대 냄새를 맡고 토할 뻔 했다.) 피자가 먹고 싶은 것은 피자라기보다는 뭔가 느끼한 것이 먹고 싶은 것이고 자장면이 먹고 싶은 것은…흠…모르겠다-_-;;

어쩌면 이렇게 먹고 싶다고 떠올리고 있는 건, 그 음식이라기보다는 다른 무언가에 대한 불만/억압의 변형된 형태인지도 모른다. 요즘 워낙 스트레스 받는 일이 많아 그것이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일종의 히스테리. 스트레스와 다른 억압을 스스로가 받아들일 수가 없거나 몸이 말 할 수가 없어 이렇게 먹지 않는 것을 먹고 싶다는 형태로 발생한 욕망.

암튼 요즘 뭔가 별난 것을 먹고 싶어 하고 있다.

자기공포/혐오self-phobia

8월 말 즈음이었나, 영문텍스트 읽기에 대한 몇 개의 글을 쓴 적이 있다. 그 후, 대충 6개 정도의 논문을 챙겼고 꾸준히 혹은 게으르게 읽어 나갔고 그렇게 5개의 글을 읽고 나니 한 달여의 시간이 지났다. 남은 한 편은 영화 리뷰의 성격이 짙은 글이라 아직은 읽을 수가 없다. 그 영화 두 편을 구해서 본다면, 그제야 읽겠지.

[#M_ 게으름에 대한 변명? | !!! |

논문 5편 읽는데 한 달여의 시간이 걸린다는 건, 게으르다 못해 빈둥거리며 놀았다는 말 밖에 안 된다. 그럼에도 이렇게 시간이 걸린 것은 개별 논문의 분량이 많아서라기보다는 중간에 추석이라든가 다른 일이 좀 있어서 이전만큼 충분한 시간을 투자할 수 없어서 이기도 하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한 권의 책일 경우, 매일 같이 정해진 페이지만큼 읽으면 되지만 논문의 경우는 꼭 그렇지가 않다는 것이다. 이 부분이 스스로도 가장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인데, 왜 책을 읽을 땐 매일 정해진 분량을 꾸준히 읽는데 논문일 때는 그렇지 않느냐는 것이다. 뭐, 이래저래 말도 안 되는 변명이었다.

_M#]
5편의 글을 읽는 동안, 몸이 많이도 변했다. (스스로는 그렇게 믿지만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볼까.) 몸은 더 우울해졌고 스스로가 감당할 수 없을 그런 몸앓이에 도달하기도 했다. (그 몸앓이를 통해 몸을 다시 위치 짓는다면 기존의 몸을 다 바꿔야 한다. 아마 그렇게 진행할 것이다.)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가장 큰 두려움은 타인의 공포/혐오phobia가 아니라 자신이 자신에게 보내는 그것이다. 자기공포/혐오를 극복하는 과정이 몸을 통한 앎과 만나는 과정인지도 모른다. 자신의 경험과 글 읽기를 통한 지금, 자신의 포비아를 만나고 그것을 극복하려고 몸 앓고 있다. 한 걸음 딛기 위한 무수한 망설임과 갈등 속에 있고 그래서 이전엔 그다지 정치적이지 않게 보이던 영역이 첨예한 정치적 현상으로 다가왔다.

아울러 몇 개의 언어를 몸 앓고 있다. 물론 그 언어를 이루는 개개의 단어들에 대한 이해/몸앓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과정 자체가 상당한 시간을 요할 것이다. (어쩌면 평생 걸릴 일인지도 모른다.) 그 언어들 중 어떤 언어를 사용할 것인가로 루인의 정치성/위치가 드러나겠지. 그렇다고 그 중 하나만 쓰고 다른 언어는 쓰지 않을 것이냐면 그렇지는 않다.

어쨌거나 이제 다시 bell hooks읽기의 시간이 돌아왔다. 다음 주는 다섯 편의 논문을 다시 한 번 더 읽으며 정리할 것이고 다담 주부터 읽을 예정. 다음 주말에 바빠 새로운 글 읽기가 애매해서 일전에 바꾼 일정이다.

아, 벌써부터 두근두근!

혈연가족이란 악몽

혈연가족을 만나는 날이면 묻어둔 앙금이 다시 몸속을 어지럽게 돌아다니고 약간의 살의를 느끼기도 한다.

한국은 혈연가족주의/정상혈연가족이데올로기가 지독하게 강한 사회이지만 그렇다고 혈연가족간에 친밀함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혈연가족은 상당히 도구적인데 이 도구성을 친밀함으로 가장한다.

루인과 루인의 혈연가족 관계가 이렇다. 이 불편하고 종종 악연이라고 부르는 관계가 만날 때 서로의 역할은 부딪힐 수밖에 없다. 루인은 혈연가족의 도구적 성질을 도구성 그 자체로 드러내려고 하고 혈연가족들은 이 도구성이 가족간의 친밀함, ‘애정’이라 믿으려 행동한다. 그러다 보니 끊임없이 충돌이 발생하고 서로가 상처받는다.

또 부천에 갈 일이 있어 갔다가 간신히 가라앉힌 오래된 앙금들을 모두 들쑤시듯 휘젖고 말았다. 지상에서 가장 먼저 연락을 끊고 싶은 인연이 있다면 혈연가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