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처럼 이런 질문을 많이 받는다. 한국에서 채식주의자로 살면 많이 불편하지 않느냐고. 이런 질문을 받으면 상당히 곤혹스러운데, 뭐라고 답해야 할지 모르겠기 때문이다. 부정확하지만 그래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대답은, 별로 안 불편해요, 이다. 물론, 이 말의 전제는 기본적으로 직접 음식을 해 먹는다는 것. 젠더 사회에서 음식을 하는 사람은 주로 “엄마”/”아내”이니, “엄마”/”아내”와 함께 살고 “엄마”/”아내”가 모든 음식을 다 하는 상황에서 채식주의자인 자신의 정치성을 “배려”해주지 않는다고 말하는 건, 착취(폭력)라고 몸앓는다.
루인이 채식주의자로 사는 것이 불편하지 않다는 건, 루인이 접하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페미니즘을 공부하거나 페미니스트거나 해서가 아니다. 오히려 이런 이유로 상처 받은 적이 있다. 물론 채식주의자로 살아가면서 불편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모임이 있을 때 음식점을 선택하는 문제 등에 있어선 “불편”하다. 하지만 이 불편함은 루인이 채식주의자라서 불편한 것이 아니라 루인이 채식주의자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다른 사람들의 반응 때문인 편이다. 그리고 루인이 보기에 ‘정말’ 불편한 사람은 루인이 아니라 육식주의자들이다(육식주의자는 루인 농담처럼, 장난스레 사용하는 말로 유제품을 포함한 육식을 하는 사람을 일컬음). 정말 불편한 사람은 채식주의자가 아니라 채식주의자 ‘때문에’ 선택 사항이 줄어들거나 여러 가지로 신경을 써야 한다고 느끼는 그 질문자가 아닐까. 채식주의자가 같은 자리에 없었다면 그 사람은 불편함을 느낄 이유가 없을 테니까.
루인이 불편하지 않다고 말하는 건, 육류나 유제품 등의 다른 존재들이 애시 당초 루인의 선택 사항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테면 루인이 육식을 좋아하고 선택사항에 있는데, 어떤 이유로 먹을 수 없다면 불편할 수 있겠지만 애시 당초 루인에겐 선택사항이 아닌데 어떻게 불편할까. 일테면 ‘이성애’자에겐 ‘레즈비언’이 “대안”일 수 있겠지만 정작 ‘레즈비언’에겐 그렇지 않은 것처럼.
물론 채식에 대한 감수성이 없어 음식점에서 주문할 때, 요구사항을 이상하게 여기는 반응은 불편하다. 이런 연유로 모임 등의 이유가 아니면 직접 해 먹는 편이다. 루인이 채식주의자라는 걸 알고는 외국의 각 종 사례를 들며 “인류학”적 지식을 자랑한 후 “그래도 나는 고기가 좋아”라고 말하며 채식을 정치학이 아닌 ‘단순한 취향’으로 간주하는 태도는 불편하다. 혹은 “정치적으로 올바르”고 싶어 반응하는 “관용”적인 (척 하는) 태도 역시 불편하다. (후자의 두 경우엔 거의 분노한다.)
불편하다니, 그럴 리가. 얼마나 좋은데!
[#M_ +.. | -.. | 채식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여기 참조)과 “채식한지 얼마나 되셨어요?” 란 질문 모두 싫어하는데, 루인이 무식해서 그런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기 때문이다. 11년 하면 대단하고 6개월 하면 그냥 그런 건가? 모르겠다._M#]
[#M_ ++.. | –.. | 내용 중, “그 질문자”는 특정 누군가를 지칭하지 않아요. 행여나 해서…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