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에 만나자”, “내일 만나” 라는 말에서의 “만나다”는 “보다”란 의미다. “보다”는 시각으로 상대를 확인한다는 의미인데 시각으로 확인한다는 건, 시각을 통해서야 비로소 알 수 있다는 의미이다.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은 이처럼 시각을 통한 인식이 곧 경험임을 말해준다. 근대주체는 시각주체인데 사진/사진기는 시각주체의 욕망을 표상한다. 하지만 주지하다 시피 시각적 주체를 가정하는 것은 시각’장애’인을 배제하는 차별적인(폭력적인) 언어이다. 루인이 “보다”와 같은 의미의 언어를 쓰지 않기 시작한 건 여기에 있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시각주체로서, 사람은 누구나 볼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단순히 보는 것 이상으로 어떤 규범적 보기를 전제한다. 다른 식으로 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하며 내가 보는 사물은 너도 같은 식으로 볼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런 관점(觀點: 관점이란 말도 시각에 기반 한다)에선, 1.5의 시력을 가진 사람과 0.1의 시력을 가진 사람 모두 같은 방식으로 볼 것을 강제하고 색깔에 있어서도 모두가 같은 식으로 구분할 것을 전제한다.
0.1의 시력이지만 평상시 안경을 쓰지 않는 루인에겐 이런 다른 식의 보기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인간관계를 맺는 방식을 읽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 웬만큼 가까운 거리가 아니면 상대방이 누구인지 못 알아 보는데 이럴 경우 상대방은 무시한다고 화를 내거나 불쾌하게 받아들인다. 나이주의가 강한 한국사회에서 상대방이 루인보다 나이가 많거나 심지어 교수/상사이기라도 하면 상황은 더 골치 아프다. 어떻게 ‘해명’을 하고 나면, 왜 안경을 안 쓰고 다니느냐고 묻는데, 루인의 대답은, 안경 쓰기 불편해요. 렌즈는? 시도했지만 실패했어요. 이런 불편함을 경험하는 루인에게 ‘진짜’ 문제는 안경을 쓰지 않고 ‘낮은’ 시력으로 다니는 루인이 아니라 동일한 시력으로 다닐 것을 강제하는 사회이다. 그들과 같은 시력으로 다닐 것을 강제하는 사회에서 시력의 기준은 누구의 눈으로 정한 것이며, 돌아다닐 때 상대방을 확인하면서 다닐 것을 강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만약, 0.1의 시력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사회였다면 지금과는 엄청나게 다른 사회였을 것이다. TV시청은 1.5m 떨어진 곳에서 하라고 하는데, 그건 시청자의 시력이 그 거리에서도 불편함 없이 볼 수 있음을 전제한다. 루인의 시력으로 안경 없이 그 거리에서 보려면 TV 화면도 엄청 커야하지만 그 만큼 자막과 같은 글씨 등의 크기도 충분히 커야 한다. 노안이란 말 자체도 특정 시력을 정상화 하고 있기에 가능하다. 노안에 맞춘 세상이었다면 노안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겠지.
더 불편한 말 중 하나는, 왜 다른 사람을 안 보고 다니느냐는 것이다. 즉, 거리에서 마주쳤으면서도 인사하지 않았다고 불쾌해 하는 상대의 반응. 왜 거리에서 아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하고 살피면서 다녀야 하는데? 더구나 다른 사람 얼굴을 잘 기억 못하는 데다 시력이 0.1인 루인이니 당신이 먼저 말을 걸면 될 거 아냐. (상대의 얼굴을 잘 기억 못하는 걸 주의가 부족하다느니 관심이 없어서라느니 하는데, 이런 말을 들으면 더 화난다. 루인이 영화를 玄牝에서 보길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영화 속 등장인물의 얼굴을 기억하지 못해서 때때로 앞으로 돌려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쓰고 보니, 뭔가 우울하다-_-;;)
규범화된 시각주체로서의 보기는 시력을 넘어, 소위 말 하는 색약, 색맹과 같은 ‘비정상’ 범주를 만든다. 모두가 같은 색깔 체계로 사물을 볼 것을 가정한다. (색깔 자체가 근대의 발명품이긴 하다.)
이 그림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을 텐데, 소위 말하는 색약/색맹 검사표이다. 사람마다 이 그림을 읽는 방식은 다른데, 이 다름을 비정상규범에선 색약/색맹으로 규정한다. 다른 사람과는 다른 식으로 색깔 체계를 가지고 있는 거지 어째서 이것이 색”약”이고 색”맹”일까. 색”맹”이라면 흑백과 회색 톤은 색깔이 아니라는 의미?
“만나”는 건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다. “맹”인(盲人: 맹盲자 역시 장님, 어둡다, 무지하다 등의 뜻을 가진다)의 모임은 만남의 자리가 아니란 의미일까. 봐야지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보는 것으로 아는 것도 아니다. 모임이 단순히 보는 것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그래서 요즘, 감각하다(感覺-), 느끼다란 말에 매력을 품고 있다. “만나”는 자리는 단순히 보는 자리가 아니라 온 몸으로 느끼는 자리니까. 그러니 인사하는 방법도 달라지겠지. 다음에 “만나”요, 가 아니라 다음에 또 느껴요 혹은 내일 또 감각해요, 와 같이. 물론 느낌/감각은 같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은 아니기에 뭔가 애매한 구석이 있긴 하다. 그래도 왠지 좋은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