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1) 페미니즘은 책을 몇 권 더 읽었는지, 수업이나 강의를 몇 번 더 들었는지, 더 많이 알고 있는지 아닌지, 어떤 경력이 있는지 아닌지로 얘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말은 페미니즘/여성학은 학문이 아니라거나 너무 어려워 현실과 상관없다, 등의 의미가 아니라 이런 내용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대학교육을 받고 영어 텍스트 한 둘 읽으면 ‘당연히’ 더 많이 알거라는 믿음 자체가 이미 엘리트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저작권(copyright)과 함께 상당히 싫어하는 것 중 하나가 지식인이니 지식인(대학생)의 사명이니 하는 따위의 언설들이다. 역사책을 읽으며 깨달은 것 중 하나는, 지식인은 그가 살던 시대를 앞서가는 사람이 아니라 가장 뒤쳐져 있는 사람이며 때론 뒷북치는 존재라는 것이다. “민중”/대중이라 불리는 집단(지식인 자신은 민중/대중이 아니라는 오만함을 전제한다)이 이미 경험했고 알고 있는 내용을 불필요하게 어렵게 만들고 그것에 저작권을 주장하는 것. 페미니즘은 이런 방식과 가장 멀며 이런 방식 자체에 문제제기 한다. 특화가 불편한 건, 그 한 편에 이런 지점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루인이 어떤 특정 지점을 더 많이 이야기 한다면 그런 책을 한두 권 더 읽어서거나 관련 경력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 지점들이 루인에게 특히나 더 민감한 경계들이기 때문이다. 루인에게 첨예한 정치적 긴장이 발생하는 지점을 다른 사람들과 얘기할 때, 지식/경력과는 상관없이 기존의 ‘상식’과는 다른 언어/내용으로 말 할 수밖에 없다.
(사회학 관련 수업에 참가하며 “사회학자가 없으면 사회현상도 없다”란 말을 접한 적이 있다. 이 말을 한 선생님은 사회현상은 사회학자들의 인식틀로 구성된 것이라고 해석했지만 루인에게 이 말은 현상 혹은 경험은 지식권력에 의해 위계화 된다, 로 다가왔다.)
주2) 관련 경력이 있다는 것과 경험을 말한다는 건 다른 문제이다. 11년 넘게 채식을 해왔지만 채식주의자로 정체화한 건 기껏해야 2년이 안 된다. 채식과 루인의 삶을 엮어가며 몸앓기 전까지, 루인에게 채식은 단지 식사 시간만의 문제였다. 아직도 채식(주의)은 루인에게 무지의 영역 중 하나이며 때론, 채식주의자가 아닌 사람의 언어가 루인의 몸에 더 잘 닿는 경우도 있다. 경력이 있다는 것이 곧 그것에 대해 가장 잘 안다거나 그것을 말 할 수 있는 유일한 권리가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