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인터넷으로 화제만발의 황우석 관련 소식을 접하곤 관련 기사에 초 단위로 리플이 몇 백 개씩 증가하는 걸 봤다. 오호라. 정말 클릭 두 어 번 하는 사이에 리플이 300여개에서 900여개로 바뀌는데, 후훗. 정말 놀라웠다. 하지만, 그것이 진실이냐 아니냐가 안 궁금한 것은 아니지만 그런 지점 보다는 일전에 쓴 그런 흥미 때문에 현재의 줄기세포가 있다 없다, 에는 그다지 흥미가 없다.
한 번도 황우석을 한국을 대표하는 과학자로 여긴 적이 없기에 리플을 보며 흥미로웠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접하는 한국 과학계의 위상 추락이니 국가 신인도 추락이니, 국가 망신이니 하는 식의 리플들이다. 황우석을 한국의 위상을 높인 인물로 간주하고 이번 논문에 문제가 있으니 국가적 망신이라고 말하는 것과 일본군 성노예 ‘여성’을 “민족의 수치”라고 말하는 것, 국제 성구매 여행을 떠났다가 뉴스에 나거나 외국의 보호 동물을 정욕에 좋다는 이유로 잡아먹었다가 뉴스에 나는 걸 나라 망신으로 말하는 것은 모두 연속선상에 있으며 그 간극은 좁아도 너무 좁다. 아니, 좁은 정도가 아니라 거의 같은 내용이다. 일본군 성노예 문제는 ‘여성’인권침해/성폭력 문제이고 정욕에 좋다는 이유로 동물을 죽이는 것은 말 그대로 생명권 침해며 근대 합리적 인간상이 만들어낸 지극히 이성적인 행동이지 비상식적이고 몰지각한 몇몇의 행동에 의한 국가적 망신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황우석의 이번 사태 또한 국가 망신이 아니라 단지 한 명의 “유명” 과학자의 윤리적/도덕적 문제이지 그 한 명이 대한민국의 모든 과학자의 윤리를 대표하며 대한민국의 망신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 말이 또 다른 민족주의로 읽힐까봐 겁난다-_-;;)
하지만 그것이 국가 망신으로 여겨지고 한국의 과학계 신인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로 여기는 것, 그것에서 많은 부분을 읽는다.
간단하게는, 한국이 “제 3세계”이기 때문에 한국 과학자 한 명의 문제가 한국 전체의 문제로, “황우석=대한민국 과학계”로 보고 이번 사건을 계기로 외국 “유수”의 저널에 논문을 실기가 더 까다롭게 되었다는 인식이,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바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테면 미국의 한 과학자가 비슷한 일을 했다고 그것이 미국의 국가신인도를 떨어뜨렸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새튼이 황우석 논문에 공동저자로 참여했고 그가 논문 조작에 일조했다고 해서 그것이 미국 망신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황우석 한 명의 일로 국가 망신 운운, 국가 신인도 추락 운운하는 인식 자체가 이미 (내면화된) 제국주의/식민주의/오리엔탈리즘이다.
그리고 이런 인식이 과잉대표화를 불러일으킨다. “짐이 곧 국가”라는 루이 14세의 말은 멀리 있는 남의 얘기가 아니다. 리플을 보며 너무 쉽게 만나고 있다. 황우석을 국가 대표 과학자로 여기고 그래서 황우석의 문제를 국가 망신으로 간주하는 것, 황우석과 자신을 거의 동일시하며 MBC의 보도가 (황우석과 동일시 된) 자신의 명예를 손상한 것 마냥 반응하는 것 모두, 자아의 경계가 없는 과잉대표화이다. ‘남성’들이 회사에 취직해서 일 하는 것은 국가와 가족을 위해서 일하는 것이고 ‘여성’들이 회사에 취직하는 것은 개인적 욕망이나 자아실현, 이기주의로 간주하는 것 역시 동일하다(‘여성’에게 “왜 취직을 하려고 하세요?”라고 묻는 것 자체가 이를 나타낸다). 이런 과잉대표화가 일본군 성노예 문제 등을 민족의 수치 등으로 인식하게 한다.
이런 이유로 (일전에도 쓴 적 있지만) 이번 사건의 작동기제는 민족주의나 과도한 애국심이 아니라 ‘남성’연대라고 몸앓는다. 사실 한국 사회에서 유일하게 의미 있는 정치는 민족주의도 맑스주의/사회주의도 아닌 ‘남성’연대이다(선생님 만세!). PD수첩과 MBC가 그렇게 몰매를 맞는 것은 그것이 국익에 배반하는 행동을 해서가 아니라 난자 매매라는 “윤리적인 측면”에 문제를 제기해서 남성연대를 위반했기 때문이다(좀더 정치하게 들어갈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고통은 자아의 경계가 흔들릴 때 발생하고 폭력은 “나”와 타인을 분리해서 인식할 때 발생한다. 자아의 경계가 없어 내가 곧 한국(대표)이고 세계(대표)일 때 나의 인식을 공격하는 모든 것은 곧 나를 공격하는 것이다. (이런 근대 주체로서의 “나”는 필연적으로 ‘남성’젠더로 재현된다.) 황우석에 대한 문제제기 자체로 그렇게 폭력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이유라고 몸앓는다. (2002년 월드컵, 이영훈씨 사건 등등 이런 반응은 많다. 솔직히 말해 내년 여름이 두렵다.) 이미 황우석의 “성과”가 황우석의 일이 아닌 “나”의 일이 된 상황에서 MBC의 보도는 곧 나를 공격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황우석을 비판하고 PD수첩을 ‘지지’한 사람은 그렇지 않느냐면 꼭 그렇지도 않다. 어떤 입장도 똑같지 않듯(황우석을 지지하며 MBC를 맹비난 했다고 해서 그 모두가 동일한 위치에 있다곤 몸앓지 않는다) 황우석 비판에도 내부에 상당히 많은 차이가 있지만 일부엔 마찬가지의 불편함을 느낀다. 논의의 많은 부분들이 여전히 “그들만의 정치”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은 여기까지. 하지만 “Coming soon”이란 말은 루인도 안 믿음. 흐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