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금이라고 부르니 불편하다. 루인은 어디에 기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참여하고 있는 것이니까.
2001년 마지막 달의 어느 날이라고 기억한다. 서울로 와서 인터넷책방의 포장알바를 하던 그 어느 날이었다. 시간 당 계산해서 받았으니 한 달 해봐야 생활비로 그렇게까지 여유 있는 금액은 아니었다(생활비엔 당연히 방값에 각종 공과금을 포함한다). 다만, 무언가를 시작하고 싶다는 욕망이 몸에 있었다.
아는 것 없고 어딜 돌아다니는 걸 싫어하지만 루인이 원하는 정치적 지향에 어떤 형식으로든 참여하고 싶었다(단체에서 활동하며 배워가도 되는데 아는 게 있어야 단체에 참여할 수 있다고 몸앓았다, 지금도 이런 경향이 없진 않다). 그래서 한 선택이 회원가입이다. 회원가입을 결정하기까지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었지만 쉬운 것도 아니었다. 한편으론, 나중에 돈 많이 벌면 그때 큰 액수로 기부금 내야지, 했다. 관심 있는 곳의 홈페이지를 찾지도 않았다. 기본적으로 혹은 누구나 한 달에 몇 십 만원씩 낼 거라고 지레짐작했다. 그랬기에 홈페이지에 들어가 회원가입 약관을 봤을 때, 당황하기까지 했다. 의외로 액수가 적었는데, 한 달에 만원 정도였다. 별 망설임은 없었는데, 한 달 수입이 50만 원 일 때 참여하지 못하면 500만원 일 때도 참여하지 못한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아니 스스로에게 그렇게 중얼거렸다. 비록 종교가 없고 기독교/천주교와는 거리가 멀어도 한 참이나 먼 삶을 살(았)지만 십일조란 말도 몸에서 떠돌았다. 내야한다 아니다가 아니라 그 의미가 좋았다. 더구나 운동단체에 참여하는 것은 스스로에게도 상당한 공부니까.
물론 사람마다 한 달에 만 원이란 금액의 크기는 다르다. 루인에겐 최소 생계비로서 약간 빠듯한 알바비였고 그로인해 갈등이 있었다(최소 생계비 하니까 다른 의미랑 겹칠 것 같아 덧붙이면 방값이랑 각종 공과금 내고 하루 두 끼의 밥을 먹고 몇 권의 책을 살 수 있는 정도의 금액을 의미한다, 루인의 식단은 간소함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치게 간소해서 문제다-_-;;). 하지만, 하겠다고 결심할 수 있었던 이유는 어떻게든 줄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루에 500원 정도 저축하는 셈이었으니까.
이렇게 시작해서 4년 정도의 시간이 흘렀고 현재 4곳에 참여하고 있다. 한 곳이 늘어날 때 마다 쉬운 결정은 아니었지만 처음 시작과는 선택의 기준이 달라졌다. 한 달 생활비의 여유를 보고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참여 역시 당연한 지출로 여겼다. 책을 보는 것이 시간이 남아서 보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내서 보는 것이 듯.
4년 전 보다 방값은 두 배가 넘으면서 더 좁은 집으로 이사했는데(계약금이 좀 차이가 난다;;) 생활비는 그때에 비해 그렇게 많이 늘지 않았다. 때론 50원 단위로 생활비를 계산하며 사는 날도 있다. 그럼에도 어느 한 곳을 취소한다거나 그만하고 싶은 몸 보다는 돈이 빠져나갈 날 인 것 같은데 빠져나가지 않은 것 같으면 도리어 걱정한다. 참여하고 싶은 곳이 더 있는데도 정말 마지노선에 걸린 생활비라 더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쉽기도 하다.
#
4곳에 회비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기존의 단체에 회원으로 참여해야만 활동/운동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 글을 시작하는 첫 문장에도 적었듯, 소득공제용 영수증은 두 곳에서만 왔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것이다.
두 곳에선 아직 안 보냈다는 의미가 아니라 보낼 수도 없는 곳이란 의미다. 이런 차이는 은행에서 신청할 때부터 난다. 영수증을 보내주는 곳은, 신청할 때 언제까지라고 정하지 않지만 영수증이 없는 곳에선 언제부터 언제까지라는 계약기간이 있다. 영수증이 없는 곳의 경우, 한 곳은 단체이지만 이 달의 회비납부내역을 게시판에 쓸 수 있을 만큼 납부 인원이 적은 것 같고, 다른 한 곳은 단체가 아니라 매체이며 창간할 때부터 “친구들”로 기념되어 있을 뿐이다(어딘지 눈치 챈 분들도 있을 듯…).
정말 씁쓸한 일은 “법인세법시행규칙 제18조 제1항 39호에 의한 공익성기부금대상단체”라는 말 때문이다. 운동단체마저도 법률/국가에 의해 그 공익성이 ‘인증’되는 사실은 끔찍하기까지 하다. 하긴, 퇴폐 3등급이기도 했던 성적 소수자(비’이성애’, 이반queer, 트랜스 등등) 관련 단체가 “공익성” 단체로 ‘인증’될 리 만무하지만, NGO단체가 국가에 의해 ‘인증’된다는 건, 씁쓸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루인의 참여가 국가에 의해 ‘공인’되며 그 중 절반만 ‘인증’되는 격이다. 이쯤 되면 씁쓸함이나 짜증을 넘어 분노가 슬금슬금 피어오른다.
물론 이런 소득공제를 통해 더 많은 사람이 운동단체에 참여할 수 있다면, 그래서 (운동과 일상을 구분할 순 없지만)운동이 더욱 일상화된다면 좋은 일이지만 국가에 의해 그 기준이 설정되고 구획된다는 사실은 (과도한)국가주의 혹은 다시 한 번 국가를 최종심급으로 여기는 것은 아닌가, 해서 불편하다. (자본주의사회에서 운동단체의 딜레마이기도 할 것이다.)
그냥, 영수증을 받아들고 떠오른 불만이다.
*루인에겐 성격이 좀 다르게 다가오지만, 일 년에 한 번 “후원”하는 곳도 있다(일 년에 한 번 후원한다니, 표현이 참 웃기다). 한 번 내면 일 년에 책 네 권을 보내주고 각종 혜택도 있다고 한다. 굉장하지 않은가. 관심 있으신 분은 루인을 통해서….(그렇다고 루인에게 떡고물이 있는 건 아니니까, 의심은 마세요. ………정말?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