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의 언어로 상상할 것인가

목요일에 있을 세미나 발제문을 쓰겠다고 여성학 사무실 책상에 앉았다. 노트를 펴고 세 쪽 정도를 쓰다가, 몸이 엉키면서 쓰고 있던 내용을 찢어버릴까 했다. 하지만 그 순간의 몸앓이 지점에서 새로 쓰려면 목요일까지 발제문을 쓴다는 건 불가능해 그냥 쓰기로 했다. (슬프다.)

이맘이랑 종종 나누곤 하는 얘기 중 하나는, 한국어로 상상하기다. 즉, 외국어(주로 영어)를 외래어로, 음역으로 사용하지 않고 한국어로 번역/해석해서 사용하고 그런 한국어로 상상하는 것. 비단 번역만의 문제가 아니다. 소위 학술적인 용어라고 말하면서 배배꼬아놓아 내용은 쉬운데 단어만으론 무슨 내용인지 모르게 만드는 지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나 신나고 너무 재밌는 공부들이 영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점에 대한 문제제기/불편함/불만이다.

그렇다고 “순 우리말”이란 게 있다고 믿지 않는다. “순 우리말”이란 것 자체가 환상이고 이데올로기다. 그렇기에 “우리말을 사용하자”는 민족주의적 언설을 반복하려는 것도 아니다. 자국어와 외국어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가 하는 문제는 식민주의/탈식민주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기 때문이다.

일테면 젠더(gender)라는 용어가 그렇다. 한국어론 젠더 뿐 아니라 sex/sexual/gender/sexuality 모두를 성性으로 번역/해석할 수 있다. 그래서 거의 모든 페미니즘 책이 이 용어들을 어떻게 번역/해석할 것인가로 최소한 몇 마디는 언급 한다. 경우에 따라선 성을 이렇게 구분할 수 있는 언어가 없다고 불편함을 말하기도 한다. 루인 역시 그랬고/그렇고, 그래서 항상은 아니지만 음역을 사용하곤 했다. 섹스, 젠더, 섹슈얼리티로.

하지만 요즘 들어, 이렇게 구분하는 것 보다는 성이라는 하나의 언어로 쓰는 것이 어쩌면 ‘더 정확’할지도 모른다는, 몸의 경험에 더 가까울지도 모른다는 몸앓이를 하고 있다.

히즈라, 버다치, 트랜스젠더, 트라베스티와 같이 외국어로 익숙한 언어가 한국어, 양성구유와는 대응해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에 직면하면 몸은 더 복잡해진다. 흔히 “제 3의 성”이란 말을 쓰며(루인은 이 용어가 불편하다) 트랜스젠더 등을 의미하지만 트랜스젠더와 양성구유는 그 의미와 내용이 너무 다르다. 그렇다면 한국어론 음역, 트랜스젠더로 사용할 것인가. 아님, 뭔가 께름칙해서 사용하길 꺼려하지만 성전환자란 용어를 계속 사용할 것인가. 성전환자와 트랜스젠더를 같은 의미/내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미묘하고도 께름칙한 지점이 큰데 계속해서 사용할 수는 없다.

불만은, 이런 고민들을 한국어를 사용하는 루인은 하지만 미국에 살며 영어를 사용하는 이는 하지 않는다는 것. 기존의 언어와 학문이 누구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장면이다(말 하나 마나?). 전 지구적인 것과 지역적인 것의 경계가 모호한 시대에, 언어의 사용은 위계와 권력을 나타낸다.

암튼 대충 이런 문제로 세 쪽 가까이 쓴 발제문을 찢어버릴까, 했다. 다만 이걸 핑계로 발제문을 안 쓸 수는 없어 그냥 계속 쓰겠다고 다짐했지만, 불편하다. 기껏 젠더를 해석하고 그 해석에 토대를 둔 언어를 구성하려는 찰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한다. 행복하다는 말이다.

천상의 소녀

그런 영화나 책이 있다. 너무도 빼어난 작품이지만 누구에게도 권하고 싶지 않은. 혼자만 그 텍스트를 읽고 싶어서가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권하기엔 너무도 아프기 때문이다.

[천상의 소녀Osama]가 그렇다. 이랑의 이번 주 세미나 주제와 관련해서 봐야지 하고 봤다가, 그 이상의 결과와 만났다.

이 영화에 대해 무슨 말을 할까. 혹은 지금의 루인에게 있어 무슨 말을 할 수 있을까.

일전에 젠더 구조에선 ‘여성’/이반queer/트랜스젠더/트랜스섹슈얼리티의 삶과 일상, 공포, 폭력, 전쟁을 구분할 수 없음을 그린 소설이나 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욕망을 품었다. 아니, 영화를 찍고 싶다는 욕망은 없으니 그런 소설을 쓰고 싶다는 욕망을 품고 개략적인 줄거리를 써 보기도 했다. 이 영화는 그런 영화다. 살아간다는 것이 곧 전쟁과도 같음을, 전쟁과 평화가 구분되는 것은 젠더 사회에서의 남성젠더들만의 경험일 뿐, 그렇지 않은 이들에겐 삶이 곧 전쟁이며 매 순간이 치열한 생존투쟁임을. 이 영화는 바로 그런 지점을 빼어나게 보여준다. 그래서 보는 내내 숨을 쉴 수가 없었다. 울 수도 없었다.

비록 아프가니스탄 영화(?)지만 보는 내내 한국이라고 느꼈다. (타인의 고통을 상징으로 환원하는 이런 시선에 저주를!)

매스껍고 어지러워

속이 매스껍고 어질어질해.
토할 것 같아.

종일 이런 상태로 지내면서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 버스를 탔어.
자동차 냄새를 너무 싫어하는데.
자동차 냄새를 맡으면 속이 울렁거리면서 토할 것 같은데.

이런 적이 근래에 없었으니 당황스러워.
하긴, 이런 느낌은 언제라도 익숙할 수 없어.

토할 것 같아.
목 깊숙이 손가락을 넣어 억지로 토하면 좀 편할까?
먹고 토하길 반복하던 그 시절처럼 그렇게 토하면 좀 편할까?
억지로 토하면 위가 상한다고 하던데.

그런데 어떻게 하면 이 어지러움이 조금은 가실까.

토할 것 같아.
매스꺼움이 어지럽게 몸을 타고 빙빙 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