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에도 속하지 않지만 어딘가로 환원되는 공간
― “Your Body Is A Battleground.”인 공동경비구역
공동으로 경비하는 구역은 어디에 속하는 곳일까. 대한민국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혹은 그 모두에? 아님 그 어느 쪽에도?
며칠 전 [공동경비구역 JSA]를 봤다. 그전까진 관심도 없다가 우연히 본, 지뢰를 밟고 살려달라는 장면이 재밌어서 봐야지 했다.
“권력은 ‘무지’를 통과하지 못”하지만 동시에 ‘무지’가 공포를 만들어낸다. 서로에 대해 모르도록 함으로써 서로를 향한 적개심을 형성한다. 6.25 이후 특히 박정희를 거치면서, 북한과 공산주의/사회주의는 “빨갱이”, “얼굴이 빨간 괴물”, ([똘이장군]에서의) “늑대”이지만 공산주의가 뭔지, 사회주의가 뭔지, 주체사상이 뭔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아는 것 자체가 보안법과 같은 법에 걸리는 위법/친북행위이기에 아예 모르면서 무조건 “빨갱이”라고 적대시했다. 이 영화는 이런 무지가 적개심을 만들어 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볼 만’하다.
하지만 영화를 보며 작년 가을 즈음, 이영훈씨의 과거사 청산 관련 발언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반응이 떠올랐다. “세상엔 빨갱이와 빨갱이들의 적”만 있을 뿐이라는 사유는 기생 관광, 기지촌 성매매와 전시 성폭력은 연장선상에 있다는 말을 “(그럼) 정신대 할머니들이 매춘 여성이란 말인가?”로 반응하는 것처럼 획일화된 이분법(monolithic)의 전형이며 결국 적/타자를 통해서만이 자신의 존재 근거를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주체라는 것이 취약한 존재이며 허상임을 드러낸다. 이 영화에서 소피(이영애)는 이를 폭로하는 존재이다.
중립국에서 파견한 존재(소피)를 여성젠더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은 의미심장한데 한국에서 진보와 보수라는 정치적 전선이 남성젠더들만의 것이며 작년, 이영훈씨를 둘러싼 반응이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었음을 암시한다. 군 위계상 계급으론 상관임에도 실제 소피의 역할은 두 ‘남성’을 보살피는 것인데 이는 ‘남성’연대homosocial bonding사회가 ‘여성’이란 존재를 “어머니”/’창녀’로 환원함을 의미한다.
성매매 담론이 뜨거운 지금, 성매매방지특별법에 찬성이냐 반대냐 혹은 성매매에 찬성이냐 반대냐 하는 식의 질문을 쉽게 접한다. 하지만 이런 질문 방식들 모두 문제인데 성매매와 같은 문제를 이렇게 획일적인 이분법으로는 사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찬성 아니면 반대란 식으로 사유할 수 있는 문제 자체가 없다고 본다). 성매매엔 반대하지만 기존의 성매매 방지 특별법이 문제이기에 특별법에 반대할 수 있다(“반대한다”는 “그것과 의견을 달리 한다”는 의미지만 “그것이 틀렸다”로 해석하는 것 역시 이분법적 사유이다). 혹은 젠더사회에서의 노동을 다시 사유하고 성매매를 둘러싼 기존의 담론이 누구의 시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문제 삼기에 성매매방지특별법을 비판 할 수도 있고 성매매방지특별법이 “‘남성’의 행복추구권을 침해 한다”며 성매매방지특별법을 반대할 수도 있다. 전자와 후자는 전혀 다른 의미/전선이지만 획일화된 이분법 구조에선 둘 다 같은 반대로 환원된다. 페미니즘과 같이 기존의 전선과는 다른 전선을 형성하는 정치에 너희들은 어느 편이냐며 끊임없이 ‘진보’ 아니면 ‘보수’, 찬성 아니면 반대 어느 한 편을 선택하도록 요구하는 기존의 정치적 전선에서 다른 목소리는 존재하기 힘들며 존재한다고 해도 그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이것이 공동경비구역이 ‘분쟁’지역인 이유기도 하다)
정치적 중립은 탈정치적이란 의미가 아니다. 중립은 기존의 양분된 대립구조에서 어느 쪽도 아닌, 다른 정치적 전선을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이런 의미에서 중립을 탈정치적인 입장으로 보는 것은 “비권”이란 말처럼 무지/이분법의 소산이다. 하지만 중립을 탈정치적인 것으로 환원하고 기존의 ‘진보’/’보수’를 위협하지 않고 보살필 것을 요구하는 것이 현재의 한국이다. 이 영화에서 소피의 존재가 그렇다. ‘여성’적 섹슈얼리티, 여성젠더로 재현된 중립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모두를 보살피고 상처를 달래는 역할을 해야만 존재할 수 있다. 그것이 또 하나의 정치적 전선으로 등장하려는 순간, 소피는 본국으로 ‘추방’된다. 그렇기에 소피와도 같은 존재인 공동경비구역은 “적 아니면 나”에 속하지 않으면 안 되는 (필연적) 대리 분쟁지역이며 여성젠더로 재현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관련한 많은 영화들이 간첩을 여성젠더로 재현함에도 불구하고(대표적으로 [쉬리]를 보라) 이 영화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남성젠더로 재현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이유에서 이다. 무지를 넘어 섰을 때, ‘친구’가 될 수 있는 ‘적’은 ‘남성’이어야지 이성연애 대상으로 간주하는 ‘여성’일 수는 없는 것이다. 또한 분쟁이 발생한다면 대리 분쟁지역이면서 여성젠더로 재현되는 공동경비구역에서 발발함으로써 ‘남성’연대의 위협을 해소한다. (수혁(이병헌)과 경필(송강호)의 갈등은 소피를 통해서/매개해서만 드러난다.)
영화는 “세상엔 빨갱이와 빨갱이들의 적”만 있을 뿐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지만 기존의 ‘남성’정치전선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를 수 있었던 영화가 진부하고 (관객에게) 폭력적인 이유는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