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어제 있은 강연 내용에 대해 말하려는 것은 아니고, 하고 싶은 말은 선생님이 이번에 낸 책, [페미니즘의 도전]에 싸인을 받았다는 것. 우훗. 그냥 싸인만 받은 것이 아니라 루인에게 주는 말과 함께. 아아, 너무 좋아서 쓰러질 뻔 했다는.
아직도 저자에게 직접 싸인 받는 일에 대한 로망이 있는 것이야. 냐햐햐. 하지만 선생님이었기에 이런 몸이 가능한 것!!!
(지금도 마치 어제 그 순간인 것처럼 심장이 두근두근 설레고.. 꺄릇꺄릇)
여기서 어제 있은 강연 내용에 대해 말하려는 것은 아니고, 하고 싶은 말은 선생님이 이번에 낸 책, [페미니즘의 도전]에 싸인을 받았다는 것. 우훗. 그냥 싸인만 받은 것이 아니라 루인에게 주는 말과 함께. 아아, 너무 좋아서 쓰러질 뻔 했다는.
아직도 저자에게 직접 싸인 받는 일에 대한 로망이 있는 것이야. 냐햐햐. 하지만 선생님이었기에 이런 몸이 가능한 것!!!
(지금도 마치 어제 그 순간인 것처럼 심장이 두근두근 설레고.. 꺄릇꺄릇)
하지만 아직도 토론에서 이기려 하고 강압적인 자세를 취하는 루인을 만날 때 마다 아프다. 이런 태도 자체가 상대에 대한 폭력이니며 결국 서로를 외롭게 하는 일이다.
죄송하고 우울하다. 우울하고 죄송하다.
어제 오후, 나스타샤와 헤어지기 전 [공동경비구역 JSA]를 봤다. 그전까진 관심 없다가 우연히 본, 지뢰를 밟고 살려달라는 장면이 재밌어서 봐야지 했다.
“권력은 ‘무지’를 통과하지 못”하지만 동시에 ‘무지’가 공포를 만들어낸다. 서로에 대해 끊임없이 모르도록 함으로써 서로를 향한 적개심을 만들어낸다. 6.25 이후 특히 박정희를 거치면서, 북한과 공산주의/사회주의는 “빨갱이”, 얼굴이 빨간 괴물, ([똘이장군]에서의) 늑대이지만 공산주의가, 사회주의가 뭔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아는 것 자체가 보안법과 같은 법에 걸리는 위법/친북행위이기에 아예 모르면서 무조건 “빨갱이”라고 적대시했다. 이 영화는 이런 무지가 적대심을 만들어 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볼 만한’ 영화이다.
하지만 영화를 보며 작년 가을 즈음, 이영훈씨의 과거사 청산 관련 발언을 둘러싼 한국의 반응이 떠올랐다. 세상엔 빨갱이와 빨갱이를 적으로 삼는 이만 있을 뿐이라는 사유는 “나 아니면 적”이라는 말처럼 획일화된 이분법(monolithic)의 전형이며 결국 적/타자를 통해서만이 자신의 존재 근거를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주체라는 것이 취약한 존재이며 허상임을 보여준다. 이 영화에서 소피(이영애)는 이를 폭로하는 존재이다.
중립국에서 파견된 존재가 여성적 젠더로 재현되고 있다는 점은 의미심장한데 한국에서 진보와 보수라는 정치적 전선이 남성젠더들만의 것이며 작년, 이영훈씨를 둘러싼 반응이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었음을 암시한다. 중립국의 소피는 군대 내 계급적 상관임에도 실제 소피의 역할은 두 ‘남성’을 보살피는 역할인데 이는 ‘남성’연대homosocial bonding사회에서 ‘여성’이란 존재는 어머니/’창녀’임을 보여준다.
성매매 담론이 뜨거운 지금, 성매매 특별법에 찬성이냐 반대냐 혹은 성매매에 찬성이냐 반대냐 하는 식의 질문을 쉽게 접한다. 하지만 이런 질문 방식들 모두 문제인데 성매매와 같은 문제를 이렇게 획일적인 이분법으로는 사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찬성 아니면 반대란 식으로 사유할 수 있는 문제 자체가 없다고 본다). 성매매엔 반대하지만 기존의 성매매 방지 특별법이 문제이기에 특별법에 반대할 수 있다. 혹은 성매매를 찬성한다고 해도 그것이 노동을 다시 사유하고 성노동 혹은 성매매를 둘러싼 기존의 담론이 누구의 시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문제 삼기 위해 ‘찬성’할 수도 있고 성매매 방지 특별법이 “‘남성’의 행복추구권을 침해한다”며 성매매를 찬성할 수도 있다. 같은 찬성이라도 전자와 후자는 전혀 다른 정치적 전선이지만 획일화된 이분법 구조에선 둘 다 찬성으로 환원된다. 페미니즘과 같이 기존의 전선과는 다른 전선을 형성하는 정치에 너희들은 어느 편이냐며 끊임없이 ‘진보’ 아니면 ‘보수’, 찬성 아니면 반대 어느 한 편을 선택하도록 요구하는 기존의 정치적 전선에서 다른 목소리는 존재하기 힘들며 존재한다고 해도 그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이 영화에서 소피의 존재가 그렇다. ‘여성’적 섹슈얼리티, 여성젠더로 재현된 중립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모두를 보살피고 상처를 달래는 역할을 해야만 존재할 수 있다. 그것이 또 하나의 정치적 전선으로 등장하려는 순간, 소피는 본국으로 ‘추방’된다.
정치적 중립은 탈정치적이란 말이 아니다. 중립은 기존의 양분된 대립구조에서 어느 쪽도 아닌 또 다른 정치적 전선을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그런 의미에서 중립을 탈정치적인 입장으로 보는 것은 “비권”(운동권이 아닌)이란 말처럼 무지/이분법의 소산이다. 하지만 중립을 탈정치적인 것으로 환원하고 이분화된 ‘진보’/’보수’를 위협하지 않고 보살필 것을 요구하는 것이 현재의 한국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중립이 또 하나의 정치적 전선임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을 때, 중립이란 또 하나의 전선은 여성젠더로 재현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관련한 많은 영화들이 간첩을 여성젠더로 재현함에도 불구하고(대표적으로 [쉬리]를 보라) 이 영화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남성젠더로 재현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이유에서 이다. 무지를 넘어 섰을 때, 친구가 될 수 있는 ‘적’은 ‘남성’이어야지 ‘여성’일 수는 없는 것이다.
소피라는 전복적일 수 있는 캐릭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부한’ 영화가 된 것은 이런 이유에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