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1 – 노국대장공주와 변태

오전부터 [신돈]을 봤다. 한 편만 보고 다른 일 해야지 했는데 6편까지 보고서야 중단했다. 이런, 이런. 그나마 숨책가야지 하는 계획이라도 있었으니 가능했지 아니면 10편까지 몰아서 다 봤을 듯;;;

이곳, [Run To 루인]의 포스팅 ‘원칙’이라면 최소한 하루에 한 편의 글을 쓰는 것이다. 가능한 한 하루라도 거르지 않고 매일 한 편씩의 글을 쓰는 것. 글쓰기를 좋아하는 편인데(고통의 쾌락?) 왜 글을 쓰느냐고 묻는다면 지금 루인의 위치를 읽으며 현재의 루인을 알고 싶어서 이기도 하지만 글쓰기를 통해 글쓰기 이전의 루인으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서이다.

글을 쓰든 책을 읽든 주로 낮에 하길 선호하지만 블로그에 쓰는 글만큼은 저녁 혹은 밤에 하는 이유는 (나스타샤와 노는 시간이 주로 저녁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날 하루의 루인을 읽기 위해서이다. 어딘가에 제출하는 글이나 이랑에 올리기 위한 글과는 달리(이런 글들은 쓰는데 일주일가량 걸린다) 그날 몸앓았던 어떤 지점들을 정리하고 그 몸앓이들을 설명하고 그 몸앓이 이전의 루인으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서이다. 그렇기에 이곳에 쓰는 글은 그 만큼 정리되지 않은 날(raw)것이며 글을 공개한 순간 글 내용과는 다른(그 글의 내용을 비판하는) 루인이 되기도 한다.

[신돈]에서 가장 매력적인 인물은 노국대장공주이다(사실, 기황후도 꽤나 매력적이다-_-;;). 징기스칸의 말을 들먹이며 사막으로 유목민으로 돌아가자는 노국대장공주의 말/몸은 아마 루인이 이 드라마를 끝까지 보게 할 요인이 되지 않을까 싶다.

유목민으로서의 삶으로 돌아가자고 말하는 노국대장공주를 보고 있으면 요즘 유행처럼 말하는 “유목적 주체”나 “유목적 사유” 혹은 루인이 좋아하는 “변태하는 삶”이 떠오른다. 강박적일 정도로 변화에 집착하는 편인 루인이기에 한 자리에 정착한 후 고정된 삶, 변화하지 않는 삶을 영위하는 것을 싫어하는 편이다. 변태에 대한 ‘오해’는 변화를 싫어하는 보수성(기득권을 잃지 않으려는 발악)의 반영일 가능성이 크듯 유목민으로 돌아가자는 노국대장공주의 몸은 변태하자는 말로 들린다. 물론 사람마다 노국대장공주의 이런 몸―징기스칸의 말을 상기하며 몽고인의 ‘전통’을 되찾자는―을 다르게 해석할 것이고 과거로의 회귀로 읽을 수도 있다. 하지만 루인은 노국대장공주의 이런 몸이 과거로의 회귀라기보다는 현재의 정체하고 있는 삶, 고여서 썩고 곪아가고 있는 삶에서 벗어나 유목하는 삶, 매 순간 새로운 상황에서 변화하는 삶을 살자는 것으로 읽는다.

유목한다는 것은 돌아갈 곳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며 몇 곳의 자리를 정해놓고 움직인다고 해도 그 자리는 매 순간 변하는 공간이기에 그곳에서의 삶 역시 공간과의 관계 속에서 변화할 수밖에 없다. (사실 정착하고 사는 삶, 변화 없는 삶은 없다고 보며 그런 삶이 있다는 믿음을 일종의 환상으로 여긴다.) 앞으로의 노국대장공주가 어떤 식으로 묘사될지는 알 수 없지만 노국대장공주가 고려에 와서 “만세, 만세 만만세”를 외칠 수 있는 고려를 만들려는 노력은 원나라 혹은 몽고에 대한 배신이라거나 부부라는 성역할gender rule에 따라 “지아비”를 따른 것이 아니라 유목하는 삶, 변태하는 삶을 사는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M_ 또한.. | 하하하.. | “돌아갈 곳이 없다”고 말하는 신돈이란 인물 역시 매 순간 변화하며 개혁적일 수밖에 없어 보인다. 돌아갈 곳이 없다는 것은 잃을 것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니까. 비슷한 맥락에서 신돈의 웃음소리는 영화 [아마데우스]에 나오는 모짜르트의 웃음처럼 간단하게 기존의 권력/권위를 조롱하는 웃음으로 들린다._M#]

이런 맥락에서 글쓰기는 유목하는 행위라고 본다. 몸이 글이라는 형태로 나타나( 자리를 잡)는 순간, 다시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기에.

소원

어제 이랑 친구가 갑자기, 누군가 한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고 하면 무얼 말하겠느냐고 묻자, 잠시 당황하다(갑자기 물어서…) 곧 바로 한 대답이, “소원 백 가지 들어주세요”였다.

흔히 동화라고 불리거나 옛날이야기로 불리는 이야기들을 보면, 세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거나 한 가지 소원을 이룰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면, 꼭 그것에 맞추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한 가지 소원의 경우는 대개 그 상황에서 그것 말고는 달리 선택할 것이 없는 그런 경우가 대부분이고(일테면 죽은 누군가를 살려달라는 식으로) 세 가지일 때도 그렇게 개개의 것으로 이루기 마련이다. 루인이 이상하게 여겼던 건, 왜 “소원 백 가지 들어주세요”라고 소원을 말 하지 않느냐는 것. 그러고 나서 99가지 말하고 한 가지 남으면, 다시 백 가지…-_-;;

아니면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으니까, 1조가 들어 있는 통장은 어떨까?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든 것은 화폐로 평가되고 모든 가치가 화폐로 획일화되고 있으니까. 그래서 1조의 잔고가 있는 통장을 가진다면 지금 루인이 회원으로 매달 조금씩의 회비를 내고 있는 운동단체/NGO들에 더 많은 회비를 낼 수 있을 테고 회원이 되고 싶음에도 최소한의 생활비에 걸려 가입하지 못하고 있는 곳에도 회원이 될 수 있을 테고, 루인이 바라는 단체를 만들 수도 있을 테고. …이렇게 소원을 통해 이루고 싶은 것은, 유일하지만 가벼움이라는 속성을 지닌 소원을 통해 다른 것을 이루긴 싫다는 루인식의 윤리 때문이다. 대화와 소통 그리고 고통이 따르겠지만 엮어갈 관계에의 노력처럼 과정을 통해 많은 앎이 따를 일들을 소원을 통해 이루긴 싫기 때문에(이런 몸으로 살기에 “폭력(혹은 빈곤) 없는 세상을 만들어 주세요”라던가 “모두가 맥락으로 소통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주세요”라는 식의 ‘소원’을 망설이면서도 말하지 않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천박”하지만 필요한 현금을 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내용들 모두 상상에 불과하고 정말 누군가가 루인에게 한 가지 소원을 들어준다고 뭐든지 말하라고 한다면, 다음에 말하겠다며 미룰게 분명하다. 다음에 필요하면 말 할께, 라고 미루면서, 아마 평생 그렇게 미루면서 언제든 이룰 수 있는 소원이 한 가지 있다는 그 가능성만 가진 체 살아가겠지. 결국 사용하지도 않고 죽을 한 가지 소원. 이건 어떤 의미에선 ‘희망’을 안고 살겠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고통을 유예하며 그 유예의 쾌락을 느끼듯 그런 의미에서 미루고 싶은 것이다. 이룰 수 있을 쾌락을 연장하고 미루어서 쾌락의 정점엔 도달하지 않지만 그 정점에 도달할 듯 말 듯 하는 바로 그 상태로 살고 싶으니까. 뭐든지 한 가지를 손쉽게 이룰 수 있다는 쾌락, 그 유일할 수밖에 없는 쾌락을 당장 누리고 싶지 않고 그런 쾌락을 통해 삶의 또 하나의 쾌락을 누리고 싶기에 죽기 전까지 아니 눈을 감는 그 순간까지 소원을 이루지 않겠지.

(루인이란 그런 인간이다. 다치면 아픈 곳을 괜히 콕콕 찔러보는 인간이 루인이고 그렇게 찌르다 더 심하게 아플까봐 걱정해서 찌를 듯 찌르지 않은 상태를 즐기는 것도 루인다.)

어쩌면 한 가지 이룰 수 있는 소원이 있음에도 미루려는 것은, 이루는 순간이 (한 과정이 끝나는) 결말이라면 바로 그 “결말”이라는 것, 즉 변화의 과정이 끝나기 때문이다. 모든 상황은 매 순간 변화하는데 이런 식의 소원 담론은 매 순간 변화하는 삶을 고정시키고 싶은 욕망의 투사로 여겨진다. 변화하지 않고 결론이 나는 삶이라면 끔찍하게 지루하기에 소원 같은 것 이루지 않고 평생 유예 시키며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살고 싶으니까.

몸/언어

지식이 삶과 만나 앎이 되는 순간, 지금까지 썼던 언어는 바뀔 수밖에 없다. 이렇게 언어가 바뀌는 찰라 삶과 앎이 만나고/분리될 수 없음을 몸으로 앓게 되고 다시는 이전에 언어로 돌아갈 수 없다. 왜냐면 이전의 언어는 지금의 몸과 충돌하며 불편하기 때문이다. (글 분류의 “삶~앎”은 그런 의미에서 나온다. 자기 다짐의 의미랄까.)

그래서 루인이 스스로 내뱉고도 가장 무서워하는 말은, 자신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건, 비단 자신이 하는 말이 타인에게 어떤 폭력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지식자랑을 하고 있는지 정말 몸으로 앓은 언어를 말하고 있는지 자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어제 민우회 강좌를 들으며, 근래 들어 들은 강좌 중, 몸을 가장 복잡하게 만든 강좌였다고 중얼거렸다. 정말 너무도 불쾌하고 불편한 강좌면서 어떻게 그렇게 괜찮은 강좌일 수 있을까 싶었다(좀 심하게 과장하면 최악이면서 최상이었다고 할까). 초반의 강의 부분에선 수강생들의 기대와는 전혀 다른 내용을 말했고, 질의응답시간(아무리 봐도 그 시간을 ‘토론’시간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엔 질문자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답변을 하기도 했다. 나서기를 싫어하는 루인이면서 동시에 튀고 싶어 하는 루인이기에 그다지 질문을 하고 싶어 하지 않지만 어젠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사실 그건 질문이 아니라 문제제기였고 그래서 어제의 그 공간 자체가 루인이 바랐던 것과는 틀이 맞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암튼 루인은 몇 가지 문제제기를 했는데 강사는 루인의 맥락을 읽지 못했다. 그럼 다시 말하라고? 아쉽게도 그럴 수 있는 자리가 아니었다. 강사는 자신이 권위와 차별이 없는 공간에서 생활하며 그런 생활을 만들려고 한다지만 어제 그 자리에서 루인이 겪었던 건, 강사와 수강생이라는 위계질서의 엄격함, 나이에 따른 권위주의 등이었다.

지난 봄, 지금과 같은 민우회 여성주의 학교-간다 봄 학기 수업을 들으며 깨달았던 것은, 정말 몸의 세계관이 다르면 타인의 말을 알아듣기가 어렵구나, 였다. 강사 중 한 명인, ‘남성’ 평화학자의 질문(두 명의 강사가 함께 진행했다)은 어느 부분까지는 알아들었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멍한 상태로 말을 흘렸다. 이전까지, 학교 수업 시간에 토론을 하며 루인이 하는 말을 다른 사람이 알아듣지 못하고 엉뚱한 답변을 하는 것을 경험하며 답답했는데 왜 그런지 이해되는 순간이랄까. 그렇다고 다른 세계관과는 대화/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다른 몸을 가지고 있기에 더욱더 격렬하게 대화의 장으로 들어가야 한다고 믿는다(대화/소통의 첫 번째 전제는 이 과정을 통해 달라진 자신을 만나겠다는 열망이다). 어제의 자리가 토론의 장이 아니라 질의응답시간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강사는 루인의 언어를 자신의 세계관으로 환원해서 ‘엉뚱한’ 말을 해버렸고 그래서 당황했고 심지어 강사가 말하는 “유목적 사유”란 말 자체를 의심할 지경이었다.

“유목적 사유”라는 말을 하기는 쉽다. 그것을 실천하고 있다고 믿기도 쉽다. 하지만 루인이 읽는 “유목적 사유”는 끊임없는 자기 회의와 반성, 그리고 새로운 언어의 사용이다. 루인의 믿음 중 하나는 지식이 삶과 만나 앎이 되는 순간, 언어가 바뀐다는 것이다. 더 이상 기존의 언어는 불편하고 변화한 몸을 설명할 수 없기에 쓸 수가 없다. 그래서, “양성평등”이란 단어가 문제적이라고 지적하고 ‘동성애’자가 인구의 10~15% 정도를 차지한다고 말하면서도 모든 설명을 ‘여성’/’남성’으로만 말하거나, 근대화 기획의 ‘공사’구분이나 ‘거대’담론/’일상’의 정치 등으로 구분하는 말이 문제라는 것을 알고 탈근대를 말하면서도 사회적인 것을 위해서 개인적이고 작은 것은 좀 참고 지낼 수 있지 않느냐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면, 그 사람(이 하는 말)을 의심한다. 몸으로 트랜스섹슈얼리티/트랜스젠더를 앓고 났다면, 더 이상 언어에서 ‘여성’이나 ‘남성’이란 말을 쉽게 쓸 수가 없으며 탈근대나 유목적 사유와 ‘공사’를 구분하는 식의 언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모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실, 고백하자면, 어제 그 강사의 강의 내용은 지식자랑은 아닌가 싶을 정도였다.

[#M_ 보태기.. | 접기.. | 트랜스섹슈얼리티/트랜스젠더를 단지 성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몸은 그것과 다르다는 말을 들으며 얼마간 충격을 받았는데, 그럼 도대체 강사가 정의하는 몸이란 무엇일까 궁금했다. 또한 몸과 성적인 것의 구분이 가능할까? 강사가 생각하는 트랜스섹슈얼리티/트랜스젠더는 무엇일까. 학벌에 연봉까지 성/적인(sexual/ity) 것으로 여겨지는 한국사회에서 강사가 생각하는 ‘성적인 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_M#]

그럼에도 그 강의가 좋았다면 공동체 생활에서의 윤리, 문학과 관련한 나중의 부분 때문이다. 자연과 대화하는 글쓰기란 말은 공간과 소통하는 몸이란 루인의 앓이에 꽤나 자극적이었다(강사가 말한 자연은 타자화된 자연은 아닌지 의심스러운 지점이 있었는데 이는 좀더 조심스럽게 접근할 부분). 또한 밥상공동체를 통한 소통 방식은 이랑과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를 몸앓을 수 있게 했다. 이와 관련해선 나중에 더 쓸 수 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