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점 등록으로 학교를 다니다 보니 듣는 수업이라곤 수학 과목 하나 뿐이다. 그래서 청강으로 듣는 대학원 여성학 과목 하나가 소중하다.
그런데 아쉽게도 이 과목, 다른 과목과 연계된 과목이라, 다른 학과의 사람들이 더 많다. (그럴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지난 주는 수업 소개 정도였고 오늘에야 비로소 수업을 시작했는데, 좋으면서도 실망스러운 부분도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선생님 수업이야 좋았다. 이 “좋았다”의 의미는 마냥 좋았다가 아니라 루인과 의견이 달랐던 부분도 있었기에 자극이 되었다는 의미에서의 좋았음이다. 소심한 루인, 수업 시간에 곧 바로 루인의 의견을 제시하고 싶어 하면서도 그러지 못한다. 다음부터는 그래볼까 하는 몸의 준비를 하고 있다.
실망스러운 부분은 같이 듣는 사람들. 대학원생이 되고 학기가 지나면 다들 그렇게 거만해지고 아는 척 하고 싶어서 안달하게 되는 것일까? 두렵다. 루인도 나중에 대학원에 들어가면 그렇게 될까봐. 자신감이 있는 것과 아는 척 하며 거만한 것은 다르다. 몇몇 사람들이 보여준 태도는 거만함이었다.
사실 그런 사람들의 태도를 보며, 불안함을 읽는다. 자신의 빈약함-가방끈은 길어져 가는데 그것을 바쳐 줄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할 때 나타낼 수 있는 그런 거만함이 읽힌다. 정말 실망스러운 부분은 이런 부분이었다. 대학원생에 대한 어떤 환상이라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수업 중 간혹 말하는 의견 혹은 ‘토론’은 다소 실망스러운 수준이다. 이렇다 보니 그 거만한 태도가 더욱더 불안으로 다가온다.
수업을 듣다 잠시 정말 대학원을 가야하나, 하는 의문이 몸을 타고 돌았다. 그랬다. 이렇게 위계서열화 되어 있는 풍토에서 공부를 해야 하나. 위계서열만 있고 지적 성장은 부족하게만 보이는 풍토에서 얼마나 견딜 수 있을지도 의문이고 루인이 원하는 만큼 얻어 낼 수 있을지도 잘 모르겠다.
이제 시작이니 이런 걱정이 너무 앞선 것이길 바라지만, 낯선 경험으로의 느낌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학부생의 어설픈 소리라고 해도, 이런 느낌 지속해야 할 것이다.
#수업시간에 보여준 선생님의 이성애주의gender는 나중에 반드시 문제제기해야 할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