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이름을 선택한 여러가지 이유는 [Talking Back]의 “23. to gloria, who is she: on using a pseudonym”을 참조하세요. bell hooks란 이름으로 인한 여러 에피소드도 같이 실려 있는데 일테면 (글로리아로 알고 있는) 누군가와 페미니즘에 대해 토론하다가 상대방이 벨 훅스에게 한 말, “벨 훅스를 읽어 보세요.”)
이 이름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19세기 흑인여성운동가들의 이름 처럼 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테면 Anna Cooper, Mary Church Terrell처럼. (페미니즘 사상사를 배우다 보면 백인여권론자인 Mary Wollstonecraft, Elizabeth Cady Stanton 등은 배우지만 앞서 언급한 흑인여성운동가는 거의 안 배운다. 덧붙이면 [Ms.]란 잡지는 대부분 알지만 [Essence]를 아는 사람은 드문 것 같다. 이 역시 인종주의racism와 제국주의의 결과겠지만… 루인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19세기 흑인여성운동가들은 용감했고 목소리를 가졌으며 자신의 경험을 말 할수 있었다. 그렇기에 목소리를 억압할 것을 강요 받던 시절, 벨 훅스란 이름은 발화하려는 몸언어를 듣고, 드러낼 수 있게 하는 용기를 주었다고 한다.
재미있는 건, 벨 훅스의 첫 번째 책의 제목 [Ain’t I A Woman: Black Women And Feminism] 중 “Ain’t I A Woman”은 유명한 페미니스트 Sojourner Truth의 말이다. 결국 벨 훅스란 이름과 이 말은 19세기라는 시점과 만나고 있다.
19세기는, 적어도 아프리칸-아메리칸 ‘여성’들에게 있어선 노예해방운동의 시대였으면서 동시에 여권운동에 참여했던 시기다. 벨 훅스의 첫 번째 책, [Ain’t I A Woman]은 페미니즘 내에서 인종 문제가 부상하던 시기에 나왔고 sex-race를 동시에 사유할 것을 단호하게 말하고 있는 책이다.
뭔가 재밌게 만나고 있다는 몸앓이를 지울 수가 없다. 19세기란 코드와 sex-race란 코드가 교직하는 순간.
어쨌거나 낼이면 [Talking Back]도 마무리구나. 그럼 벨 훅스랑은 10월에나 만나는 거야? 우잉~ 아쉬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