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혹은 폭력의 반대말은 고요한 상태가 아니라 격렬한 대화라는 말, 루인이 참 좋아하는 말이다. 하지만 이 대화가 모든 발화를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루인에게.
대화를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우선 말하고 듣기라고 몸앓는다. 물론 이 말하고 듣기란, 몸의 전체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이전에도 말했듯 누구에게나 자신 만의 언어가 없는 것이 아니기에 누구나 ‘말하기’는 하고 있다고 몸앓는다. 그것을 자신과 다른 타인들이 들을 수 있느냐의 문제가 남아 있는 것이다. 대화라면 최소한 말하기 뿐 아니라 듣기 또한 핵심적인 부분이다.
하지만, 단지 듣기만 한다면 그건, “그래, 그러니 우리는 달라.”라는 식의 결과만 초래하거나, “무슨 말인지 알겠는데 어쨌거나 내 말 들어!!”라는 식의 폭력만 초래할 뿐이다. 말하고 듣는 과정을 통해 변화變化(transforming, becoming, metamorphosis, …)하는 것이 필연적인 과정이라고 몸앓는다. 이러한 자기 변화 과정이 없다면 그건 대화가 아니라 독백일 따름이다.
그렇기에 소위 말하는 마초들의 성폭력 발언/행동들(발언은 행동이 아닌가?)이나 권력자들이 “표현의 자유”를 들먹이는 것은 권력의 과시/폭력이지 그것이 대화라곤 몸앓지 않는다. 그것이 대화이기 위해선 자신이 서 있는 자리를 읽고(positioning) 이를 바탕으로 타인과 소통하고 그런 소통을 통해 계속해서 변화해 가는 것이다.
그럼 이제까지의 권력자(혹은 스스로를 주체로 호명하는 이들)들에 의해 생성된 담론들은 틀렸다는 말일까. 물론 아니다. 그런 담론들이 틀렸다는 것이 아니라 그런 담론은 무수한 다른 담론들의 일부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그런 담론이 진리/객관/보편성이었다면 격렬한 대화를 통해 그런 담론은 특정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경험일 뿐, 보편적인 경험이 아니란 것을 깨닫는 것이다.
격렬한 대화는 이런 거라고 몸앓는다. 물론 현재의 몸앓이일 뿐이지만, 대화를 위한 그리고 그것이 대화이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은 있다는 것이 현재의 믿음/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