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질 것이란 희망을 말하지 않기

꾸준히 인권운동을 해서 10년 정도지나면 지금보다 좋아질까? 그토록 권장/강권하는 커밍아웃은 좋은 일일까? 비판이론을 공부하고 트랜스젠더퀴어 맥락에서 사유하려 애쓰는 나는 이 질문 모두에 회의한다.
무엇보다 좋아진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알 수 없다. 누군가에겐 세상이 좋아질 수 있지만 누군가에겐 여전히 별로일 수 있다. 미국에서 동성결혼 합헌을 두고 엄청난 진전인 것처럼 호들갑 떨지만 ‘여성’청소년 구금시설의 40%가 퀴어다. 무엇이 좋아졌는가? 더 정확하게는 누구에게 좋아졌는가? 왜 동성결혼처럼 이기적 의제가 진보의 징표처럼 쓰이는가? “좋아졌다”란 평가, “나빠졌다”란 평가는 철저하게 그 사람의 입장/위치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표명/천명하는 작업이다. ‘여성의 인권은 과거에 비해 좋아졌고 남성의 삶은 과거에 비해 열악해졌다’와 같은 언설이 분명하게 예시하듯 이런 평가는 발화자의 위치를 드러낸다. 권력자는 언제나 지금이 과거에 비해 살기 힘들다고 느낀다. 타자나 비규범적 존재는 언제나 과거에 비해 좋아진 세상에 살고 있다는 소리를 듣는다(규정된다).
비슷하게 나는 커밍아웃을 마냥 긍정하고 권장하는 입장을 늘 의심한다. 커밍아웃하면 좋을 것이란 일반론은 망상에 불과하다. 그것은 극히 제한된 사람의 경함에 불과하다. 커밍아웃해야 한다, 커밍아웃이 좋은거다란 발언은 그런 발화자의 정치경제적 상황을 보편적 경험/상황으로 일반화하고 LGBT/퀴어를 동질적 범주로 만든다. 때로 자신의 커밍아웃을 엄청난 훈장 삼으며 자기 언설에 권위를 보장하는 근거처럼 여기는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은 위함하다. 커밍아웃이 그렇게 좋은 것이라면 왜 여전히 커밍아웃 이후 살해되고 집에서 쫓겨나고 자살이 최선의 선택인 상황을 겪는 것일까? 노숙청소년의 절반이 퀴어란 현실은 무엇을 의미할까? 커밍아웃에 강박작인 언설, 커밍아웃을 잣대 삼는 태도 자체를 의심해야 한다.
많은 사람이 희망을 원하지만 좋아질 것을 말하지 않는 것, 희망을 공약하지 않는 것이 퀴어 정치학이며 퀴어의 역사란 점을 퀴어아카이브에서 배웠다. 좋아질 거란 희망 같은 건 어떤 삶은 판단 기준으로, 다른 삶은 사유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배치하는 작업이다. 인식론 자체를 구성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하지만 퀴어 아카이브는 다른 이야기를 한다. 좋고 나쁨을 평가하지 않으며, 희망을 공약하지 않지만 LGBT/퀴어, 트랜스젠더퀴어의 삶은 계속된다. 좋아져야만 살 수 있는 게 아니다.
그러고보면 퀴어 아카이브야 말로 유토피아인지도 모른다. 여러 의미에서…

공연장에서 음악을 더 즐기고 싶다는

뮤즈 공연 이후 이런 저런 음악을 더 찾아 듣고 있다. 한동안 기존에 듣던 음악만 들었는데 어쩐지 새로운 음악을 더 배워야지 싶어, 그리고 공연장을 조금이나마 더 자주 찾고 싶어 음악을 새로 찾고 있다. 기존에 내한을 했던 밴드 중 ‘그때 갈 걸 그랬어’라는 아쉬움도 함께 되새기면서.
공연장을 다녀오면 확실히 음악은 음반을 즐기는 재미도 있지만, 공연장에서 즐기는 재미가 따로 있다. 좋아하는 저자의 글을 읽는 재미와 강연을 듣는 재미가 다른 것처럼. 물론 글과 강연은 근본적으로 다른 영역이라 글은 좋지만 강연은 못 하는 경우도 많지만, 라이브는 대체로 괜찮으니까. 음반에 비해 라이브가 별로인 밴드도 있다지만… 뭐… 어쨌거나 공연장에서 즐기는 재미는 정말 짜릿하다. 소리가 울리는 형태 자체가 다르다는 점도 크고. 뻔한 이야기고 흔한 이야기다. 그냥 공연장에서 음악 듣는 즐거움을 아끼고 싶지 않다. 경제적 상황이 허락하는 한에서 최대한 즐기고 싶다.
그래서 이런 저런 음악을 찾고 있다. 그러면서 깨닫는데 판테라(Pantera)는 역시 가벼운 팝이었다. 슬립낫(Slipknot)은 언제 즈음 익숙해질까? 벌써 몇 번을 시도하지만 즐거울 때도 있지만 버거울 때도 있다. 더 정확하게는 내가 즐기는 기타 톤이 있다. 뭐라고 설명하기 힘들지만, 판테라는 가볍지만 슬립낫은 버겁다고 느끼는 어떤 톤, 느낌 같은 것이 있어서 흔히 ‘빡센’ 음악이라고 하는 경계가 나만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비근한 예로 툴(Tool)을 부담없이 즐기는 나에게 ‘툴은 우울하고 절망적 분위기’라는 설명은 이해하기 어렵다. 이제 툴이 내한하는 일은 없겠지? 크흡… 그때 갔어야 했어… ㅠㅠㅠ 올 연말에 하는 조용필 공연엔 갈 수 있을까? 흑…

아직 어리지만 나이를 먹는다는 것이

나이를 먹고 그래서 얼굴에 주름이 생기기 시작하는 일이 어쩐지 편안하다. 물론 어떤 사람에게 나는 아직 한참 어린 나이라 이런 말을 하는 것 자체가 웃긴 일이고, 어떤 사람에겐 나이가 든 상태다. 나이가 들었다기엔 뭔가 어정쩡하지만 상관없다. 그냥 나이를 먹는 일이 편안하다. 혹은 나이를 먹어간다는 점을 깨달을 때마다 안심이 된다. 언제나 내 법적 나이로 보이는 얼굴이면 좋겠다는 바람을 품는데 대충 그런 것도 같아 괜찮다.
그러고 싶었던 적 있다. 23살 혹은 27살엔 생을 마감하겠다고 굳게 다짐했다. 정말로 스스로 마감하고 싶었다. 하지만 어떤 순간엔 미련이 남아서, 어떤 순간엔 성공하지 못 해서 그 모든 나이를 지나왔다. 그 모든 나이를 지나 몇 년이 지나자 어느 순간 편안해졌다. 흔히 남들이 말하는 ‘이룬 것’도 없는데 그냥 편안해졌다. 늘 불안하고 취약하지만 그냥 이런 불안과 취약을 조급하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되었다. 애써 노력하지 않았는데도 그냥 그렇게 되었다. 불안과 취약함이 없어지진 않지만, 불안과 취약함은 내 삶을 이루는 중요한 축이지만 그냥 이것이 내 삶의 일부란 점을 묵인할 수 있게 되었다. 비염을 내 삶의 동반자로 인식하듯. 요즘 들어 비염으로 밤에 잠을 제대로 못 자고 한두 시간씩 뜬눈으로 지낼 때도 있지만 그럼에도 비염 자체는 그냥 받아들이듯. 불안하기 싫다고, 취약하기 싫다고 애쓰기보다 그냥 그걸 나의 일부로 인식하는 태도가 생긴 건 괜찮은 일이다. 나이가 더 들면 이런 불안과 취약함을 지금보다 더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그럴 수 있으면 좋겠다. 그리고 좀 더 퀴어할 수 있으면, 좀 더 변태일 수 있으면 좋겠다. 그래봐야 한없이 평범하고 평이하겠지만.
어차피 여분의 삶이니까. 그리고 시간이 더 많이 흘러 육십대가 되었을 때도 지금 알고 있는 많은 트랜스젠더퀴어를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 만날 수 없다면 그건 또 그 나름의 최선의 선택이, 혹은 불가피한 상황이 야기한 일이겠지만, 그럼에도 칠십대에도 지금 알고 있는 트랜스젠더퀴어를 만날 수 있으면 좋겠다. 여분의 삶을 살면서 참 욕심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