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혐오 관련 글을 출판한 지금에야 깨닫기를…
‘쟤가 여성혐오했다. 쟤 나빠!’가 아니라 혐오 자체가 무엇인지, 혐오가 그렇게 단순하게 구획되는 경험이 아니고 판단할 수 있는 사건이 아님을 말하고 싶었다. 글 말미에 이 말을 붙여야 했는데…
이경의 글을 비판하며 마지막에 급하게 추가한 문단이 있다. 그런데 몇 가지를 더 덧붙여야 했다. 이경의 글은 결코 악의를 가지고, 트랜스젠더 하리수 씨를 혐오할 의도로 쓴 것이 아니었다. 이경은 여성이 받는 억압을 드러내고 싶었고 하리수 씨의 재현 방식을 문제삼고 싶었다. 하지만 그 행동은 트랜스혐오, 그것도 지독한 트랜스혐오다. 마찬가지로 퀴어문화축제에 ‘참가’한 이른바 보수기독교연 하는 ‘혐오’집단 역시 악의를 가지고 그러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동성애자를 혹은 성적소수자를 사랑한다고 진심으로 걱정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받는 입장에선 그것이 폭력일 수도 있고, 지독한 혐오일 수도 있고, 누군가에겐 평생 잊지 못할 트라우마일 수도 있다. 의도는 텍스트를 해석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지만 동시에 그 효과는 의도와는 늘 별개로 작동한다. 페미니스트로 살아가기 어려운 점은 자신의 행동이 어떤 의도로 출발했느냐가 아니라 어떤 효과를 발생할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기 때문이다. 그 효과는 결코 자신이 예측할 수 없는 방향에서 발생한다. 그리고 페미니스트는 신이 아니기에 모든 효과를 예측할 수 없고, 필연적으로 언제나 자신이 가해자가 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고 살아간다. 내가 가해자가 될 수 있음, 상대에게 폭력을 가할 수 있음을 깨닫는 것, 그리고 이를 계속해서 고민하는 것이 페미니스트 윤리라고 고민한다.
… 나 자신 트랜스페미니즘을 모색하는 페미니스트지만, 어디서건 쉽게 나를 페미니스트라고 밝히길 망설이는 이유기도 하다. 내가 고민한 윤리에 내가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나저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저의 윤리일 뿐 보편적 페미니스트 윤리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