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카르텔이 보호하는 이들

어제 2015 제15회 퀴어영화제 개막작 [두 아이 사운드 게이?]를 봤다. 게이인 감독이 자신의 말투가 게이 같은 점이 싫어서 이를 고치려고 하는 한편 게이 말투와 관련한 여러 사람의 의견, 고민, 역사를 살피는 내용이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게이 말투가 미국 문화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1940년대 즈음부터 게이 말투를 쓰는 남성은 미국 문화에서 범죄자로 나오거나 살해당하는 인물로 나온다고 했다. 게이 말투가 악역과 연결되는 지점이다. 나아가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경우 절대 다수의 악역이 게이 말투를 쓴다고 한다. 단순히 현재 시점에서 지역마다 게이 말투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아니라 게이 말투가 문화사에서 지역 맥락에서 개인사에서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살피는 작업이 흥미로웠다.
하지만 나는 어느 한 순간에 분노했다.
감독은 퍼레이드에 참가한 댄 새비지를 보더니 자신의 역할모델이라며 무척 좋아했다. 그리고 다큐멘터리를 진행하는 동안 여러 번 댄 새비지의 의견을 보여줬다. 댄 새비지는 게이 말투와 내면화된 호모포비아, 사회의 호모포비아 등을 연결해서 발언을 했다.
그런데 섹스 칼럼니스트 댄 새비지는 바이(바이섹슈얼, 양성애)혐오 발화, 인종혐오 발화, 성차별(피해자 유발론) 발화, 뚱보혐오 발화, 트랜스혐오 발화, 무성애혐오 발화 등으로 악명 높다. 그 중에서도 바이혐오는 특히 유명하다. 댄 새비지는 여러 번, 여러 글에서 이런 혐오 발화를 하며 게이를 긍정하고 게이 인권을 지지하는 글을 썼다. 지금도 칼럼을 쓰고 있다. 그리고 이런 사람이 미국의 어떤 게이에겐 역할 모델이며 여전히 활동을 잘 하고 있는 저자다.
놀랍지 않은가? 그런데 놀랍지 않다. 분노스럽지만 놀라운 일이지만 놀랍지는 않다. 바이혐오 발화는 지금도 여러 저자가 공공연히 출판하고 있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더 놀라운 점은 이런 저런 혐오 발화를 해도 미국 사회에서 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어떤 카르텔을 통해 댄 새비지는 보호 받을 것이고 안전할 것이다. 이 굳건한 권력과 연대가 댄 새비지를 보호하고 존경받을 수 있는 위치를 만든다.
누군가가 떠오르는 시간이다(www.runtoruin.com/2944). 그 역시 진보연하는 남성 카르텔을 통해 별 문제 없다는 듯 앞으로도 글을 쓰고 살아가겠지. 조만간에 전에 언급만 했던 비평을 블로깅해야겠다.

2015 퀴어문화축제 부스 행사 때 부스 참가 단체의 기념품을 기증받습니다!

2015년 6월 28일 일요일, 퀴어문화축제 퍼레이드 부스 행사 때 퀴어락에서 부스 참가 단체의 기념품을 기증받습니다!
비온뒤무지개재단 부설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www.queerarchive.org)은 한국의 퀴어와 관련있는 자료를 수집, 정리, 보존하는 단체입니다. 또한 퀴어의 과거와 현재를 단발적 사건이 아니라 퀴어 역사의 중요한 순간으로 만드는 작업, 즉 퀴어의 역사를 다시 쓰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퀴어락은 해마다 퀴어문화축제가 열리면 축제에서 배포된 포스터, 엑세서리, 스티커, 티셔츠, 배지, 자료집, 엽서, 부채 등을 퀴어문화축제 사무국에서 기증받거나, 퀴어락 운영위원이 직접 수집하거나, 다른 많은 분의 기증을 받아 등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 퀴어 문화 행사의 중요한 순간을 기록으로 남기고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정리, 보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고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퀴어락이 수집한 축제 관련 기록물 대부분이 축제 공식 기념품입니다. 퀴어문화축제는 축제에 참가하고 지지하는 모든 사람이 만드는 행사고, 수많은 단체와 모임이 부스를 열고 다양한 기념품을 나눠주거나 판매하며 부스 행사를 만들어 가는데도요. 부스 참가 단체의 기념품이 퀴어 역사의 중요한 흔적으로 남지 않는 것은 무척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렇다고 퀴어락이 모든 부스에서 기념품을 직접 수집하기엔 부스 행사의 규모가 해마다 커지는 상황이라 퀴어락의 재정 여건으로는 어렵습니다.
부스 행사에 참가하는 각 단체와 모임 역시 경제적 상황이 어렵다는 것을 알지만 그럼에도 부탁드립니다. 각 단체와 모임의 부스 행사에서 나눠주고 판매하는 기념품을 한 세트씩(혹은 그 이상) 퀴어락에 기증해주실 수 있을까요? 그리하여 여러분 단체 및 모임의 소중한 기록을 오래오래 남기고 역사로 만드는데 동참해주실 수 있을까요? 단체와 모임마다 사정과 상황이 다르다는 걸 알지만, 부탁드립니다.
만약 퀴어문화축제와 퀴어의 역사를 풍성하게 만드는데 함께 해주신다면…
퀴어락도 부스행사에 참가하기에 퀴어락 부스에 직접 가져다 주셔도 되고,
미리 저희에게 기증하겠다고 연락을 주시면 저희가 부스에 직접 찾아가거나
축제가 끝나고 난 뒤 저희에게 보내주셔도 됩니다.
많은 단체와 모임의 적극적인 기증 부탁드립니다.
*단체와 모임 만이 아니라 개인 기증도 당일 퀴어락 부스에서 받을 예정입니다. 🙂

어떤 흐름일까: 논평자가 되지 않고 개입하기

지금은 페미니즘의 의미가 격변하는 시기일까? 그러니까 정말로 영페미니스트가 등장했을 때처럼 다른 방식, 다른 논쟁, 다른 입장으로 페미니즘을 다시 설명하려는 운동이 등장하고 있는 시기일까? 아니면 그저 일회성 해프닝일까? 혹은 새롭거나 다른 것 같았지만 결국은 양성평등을 밑절미 삼는 기존 운동의 반복인 걸까?

지금으로선 현재의 어떤 분위기를 쉽게 파악할 수 없다. 2008년 촛불집회가 진보연 하는 이들에게 엄청난 상찬을 받았지만 그것이 일베와 이어지거나 외국인 혐오, 특히 조선족 혐오로 이어진 것처럼 그렇게 바뀔 수도 있고 전혀 다른 방식이 될 수도 있다. 지금으로선 쉽게 알 수 없다.
그저 나는 어떤 흐름인지 조금이나마 알려고 애쓰겠지만 그냥 내 공부를 하는 게 최선임을 안다. 트랜스젠더퀴어 논의를 어떻게든 인식론으로 만드는 작업을 하겠지. 동시에 트랜스페미니즘을 조금이라도 더 잘 설명하고 정교하게 설명하기 위해 애써야 한다. 나는 그저 내 공부를 묵묵히 하면서 흐름이 어떻게 바뀌나 살피면 되겠지.
핵심은 단순하다. 논평자가 되지 않는 것. 나의 위치에서 내 공부에 최선을 다하는 것. 그리고 열심히 개입하는 것.
댓글로 알려줘서 알았는데, 논평자가 되는 가장 쉬운 방법을 알려주는 글이었다.
글: 노정태 “페미니즘을 위하여” http://goo.gl/qm6y1W
마지막 문단의 “그러므로 ‘진정한 페미니즘’을 위해 남자들이 할 수 있고, 해야 하는 일은, 전폭적인 지지와 동의의 뜻을 표하는 것뿐이다.”는 가장 위험한 말이다. 페미니즘을 무시하고 폄훼하고 폄하하는 발언이다. 제목은 ‘페미니즘을 위하여’지만 페미니즘을 고립시키는 태도다. 페미니즘을 이항대립의 양성평등으로 치환하고, 페미니즘을 인식론이자 세계관으로 보기보다는 여자들이 하는 무언가로 취급하는 태도다. 저자는 항변하겠지만 이것은 트랜스젠더퀴어를 인간의 인식론에서 추방하는 태도다. 그리고 나는 이것이 논평자가 하는 일이라고 고민한다.
(이것 역시 논평에 불과하다. 부끄럽다.)
내 위치에서 공부하는 것, 그리고 논평이 아니라 개입하려고 애쓰는 것. 어려운 일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