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한다는 것, 산다는 것: 가사노동과 트랜스젠더퀴어 정치

급여가 들어오자 나는 곧장 “그때 그 고향에서 먹었던 그리운 맛!”인 호주산 병아리콩을 비롯한 몇 가지 식재료를 주문했다. 책이나 다른 것을 모두 미루고 식재료부터 주문했다.

그리고 주말을 이용해서 마늘고추장을 만들었다. 마늘이 면역력에 좋다고 해서, 알러지에도 도움이 될까 하는 마음으로 요즘 마늘을 자주 찾고 있다. 마늘을 좀 더 쉽고 맛나게 먹기 위해 다음 일주일 동안 먹을 반찬으로 마늘고추장볶음을 만들었다.

매주 주말이면 하루 날을 잡아서 그 다음 일주일 동안 먹을 반찬을 만든다. 반찬을 만들고 있으면 시간은 정말 금방 흐른다. 요리건 조리건 어쨌거나 서툰 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점심 식사 준비, 반찬 만들기, 설거지까지 합치면 너댓 시간도 금방 흐른다. 논문을 읽었다면 엄청 많은 분량을 읽었을 시간이지만 나로선 이 작업을 해야 한다. 먹고 살기 위해서?
많은 사람이 “다 먹고 살기 위해 하는 일이다”라고 말한다. 나 역시 종종 이런 표현을 쓴다. 하지만 내가 여러 종류의 곡물을 사서 밥을 하고, 그것을 한끼 분량을 나눠서 냉동실에 보관하는 일, 일주일 동안 먹을 반찬을 만드느라 너댓 시간을 소비하는 일은 먹고 살기 위해서가 아니다. 공부하기 위해서다. 가사노동은, 그리고 때때로 이곳에 올리는 요리/조리 사진은 내가 무얼 먹었는지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원하는 공부를 하기 위해서 내가 어떤 가사노동을 하고 있는지, 가사노동을 하지 않아도 되는 사람이라면 결코 하지 않을 그 경험을 드러내는 일이다. 그러니까 식재료를 사고, 장을 보고, 요리를 하는 일은 모두 내가 연구를 하거나 고민을 하거나 공부를 하는 과정이다. 이 모든 작업이 내 글쓰기의 일부다. 하지만 슬프게도 나는 내 글쓰기에서 혹은 나의 말하기에서 이런 노동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 한다. 나의 고민이 짧아서 이 경험을 트랜스젠더퀴어 이론에 충분에 녹여내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내 삶의 경험에서 내가 무엇을 먹었는지, 식당에서 무엇을 소비했는지가 아니라 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어떤 가사노동을 했는지는 더 많이 드러나야 하는 경험이다.
사실 내가 하는 일은 ‘어머니’나 ‘아내’가 하는 가사노동에 비하면 새발에 피다. 정말 나는 최소한으로 줄여서 일하고 있다. 그런데 이 많은 노동이, 이곳에 오는 모두가 공감하고 있듯, 은폐되고 글에서 별로 드러나지 않는다. 관찰자 혹은 논평가로서 평하는 글만 가득할 뿐이다. 종종 고민한다. 이 경험을 트랜스젠더퀴어 이론에서 어떻게 엮어 낼 수 있을까? 이성애-비트랜스여성만이 가사노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퀴어 정치학에서 가사노동을 어떻게 퀴어이론으로 엮어낼 수 있을까? 분명 누군가는 논했겠지. 내가 게을러서 찾지 않았을 뿐이다. 하지만 궁금하다. 이 경험을 어떻게 트랜스젠더퀴어 정치학으로 직조할 수 있을까?

비염의 계절

비염이 터질 때마다 쉴 수 있다면 일년에 100일은 쉬어야 한다. 그리고 비염으로 쉴 때마다 마감이나 다른 여타의 일정이 연장된다면 좋겠다. 하지만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비염이 터지건 어디가 아프건 일정은 변하지 않는다. 드러누우면 그저 나의 시간만 사라질 뿐이다.
비염이 터지면 온 얼굴과 머리가 다 아프다. 뼈의 이음새, 근육, 신경 모두가 다 아프다. 머리가 빠개지는 느낌이다. 사실 지나 4월부터 약으로 비염을 억누르고 있었다. 하지만 약을 과복용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걱정에 약을 복용하지 않았고 비염이 터졌다. 비염을 억누르면서, 알러지는 코에서 눈으로 전이했고 눈이 아프고 눈물이 많이 난다. 눈물과 콧물. 그래서 비염이 터지만 가급적 누워있으려고 하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비염이 터질 때마다 눕는다면, 쉰다면 일년의 1/3은 쉬어야 하니까.
비염이 터지거나 말거나 시간은 흘러간다. 그래서 책과 펜을 들 힘만 있으면 무조건 뭘 해야 한다. 그래야 100일의 시간을 어떻게든 활용할 수 있으니까. 더 이상 억누를 수 없는 비염의 계절이 왔다.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해선 안 되는 일

주변 사람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 하지 말아야 할 일
ㄱ. 번역 : 번역을 잘 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따로 있습니다. 번역은 영어 좀 하면 아무나 하는 일, ‘할 거 없으면’ 하는 일, 나중에 시간 나면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글쓰기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듯, 아니 어떤 점에선 글쓰기보다 더 어려운 일입니다. 그리고 확인하기를 저는 번역을 하면 타인에게 100% 폐를 끼칠 뿐만 아니라, 그냥 번역을 하면 안 되는 인간이란 점입니다. 왜 이것을 진작 깨닫지 못 하고 이제야 깨달았는지 ㅠㅠㅠ
ㄴ. 실물 없는 상태에서 계약하기 : 원고지 최대 150매 정도의 학술지 논문이나 그 보다 짧은 분량의 원고 말고, 훨씬 긴 글일 경우 초벌 원고를 완성하지 않으면 계약은 하지 않아야 합니다. 자신의 맨얼굴을 보는 시간이며 상대방을 엄청 괴롭히는 일이죠. 다시는 하지 않으려고요. 언젠가 ㅎㅊㅇ님이 그랬죠. “원고만 있으면 출판할 곳은 어떻게든 찾을 수 있다”고. 네, 일단 원고를 먼저 쓰고 그 다음에야 출판사를 찾아야 합니다. 이것이 제대로 된 순서 같아요.
+그냥 추가하고 싶은 구절
“5살에 첫 작품을 작곡한 모차르트 같은 천재를 제외하면, 대개 지식의 수준은 헌신한 노동의 시간과 질에 의해 결정된다. 사유 자체가 중노동이다. 획기적인 문제의식은 노동의 산물이다. 여기에 선한 마음이 더해진다면 인간의 기적이요, 공동체의 축복이다. 공부를 잘 하는 방법? 지적으로, 정치적으로 빼어난 글을 쓰는 방법? 책상에 여덟 시간 이상 앉아 있을 수 있는 몸이 첫째다.” -정희진 [정희진처럼 읽기] 209쪽
“작가는 엄청난 양의 독서, 습작, 조사를 해야 하는 데다 삶의 매 순간이 연습이다. 좋은 글을 빨리 쓰는 사람이 있다. 비결은 연습(치열한 삶)이다. 글 쓰는 시간은 연습을 타자로 옮기는 시간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정희진 [정희진처럼 읽기] 292쪽
그래서 내가 허접하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