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페미니즘 관련 글을 쓰기로 했다. 트랜스젠더 페미니즘을 이슈로 글을 쓰는 것 자체는 특별할 것 없는 일이다. 하지만 글을 구성하기가 어렵다. 이제까지와는 다른 어떤 다른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내가 과문한 탓이며, 내가 알고 있는 한계 내에서 말할 수밖에 없지만, 여전히 한국에서 한국어로 트랜스페미니즘을 이야기하는 학술적 글, 이론적 글은 (나와 지혜 선생님의 글, 시우가 쓴 글 정도를 제외하면) 없는 듯하다. 블로그라면 완전변태 블로그에 안팎 님이 트랜스페미니즘으로 사유하는 글을 가끔 남기고 있다. 그러고 나면, 나는 아직 못 찾았고 그래서 내가 놓치고 있는 걸 누군가가 알려줬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도 있다. 페미니즘에서 트랜스젠더를 언급하거나, 트랜스젠더가 페미니즘을 언급하는 수준 말고, 트랜스페미니즘으로 다시 사유하고자 하는 글 말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론적 성취를 어느 정도 갖춘 글을 말하는 것이긴 하다.
젠더퀴어 담론을 구성하는 일군의 인물들이 트랜스페미니즘, 혹은 젠더퀴어페미니즘을 모색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론적 급진성으로 사유의 전회를 성취했는지엔 아직 판단 유보 상태다. 당연히 이것은 보잘것 없는 나의 판단일 뿐이니 얼마든지 틀렸을 것이다. 역시나 나의 게으름으로 못 찾은 좋은 글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좋겠다.
어찌보면 이런저런 상황을 아쉬워하기엔 전혀 다른 문제가 있다. (비트랜스)페미니즘에서 트랜스젠더와 관련하여 논쟁적 논의를 별로 하지 않는다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많은 논문은 법학 논문이거나, 트랜스젠더를 대상으로 삼는 논문이다. 트랜스젠더리즘으로 사회적 구조를 재구성하려는 글은 별로 없다. 동시에 한국의 이 망할 ‘보편적 인권 개념’, 권력이라곤 완전히 무시하는 ‘인권’ 개념, ‘당사자주의’ 등은 논쟁과 복잡한 논의를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나는 정말이지 때때로 ‘천부인권’이란 개념, 운동이나 학제에서 이른바 ‘소수자’ 이슈를 인권으로만 풀어가는 방식이 매우 문제가 많다고 고민한다. 인권 자체를 의심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PC(정치적 올바름)의 새로운 판본인 인권 감수성 있는 사람이란 강박이 어떤 말도 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중요한 많은 논쟁거리가 공적 논의 자리가 아닌 뒷풀이자리나 사석에서, SNS에서 이뤄지고 있다. 어쩌자는 것인지…
언젠가 내가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단독 저서를 낸다면 그것은 트랜스페미니즘을 논하는 글이길 바라고 있다. 하지만 별다른 논쟁도, 논의도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이야기를 하려고 애쓴다는 것이 무슨 소용인가 싶을 때가 있다. 소용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논의가 가능한가란 질문이다. 침묵하거나 대체로 사석에서 짧게 논평하는 수준을 제외하면 논의의 장 자체가 없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를 생산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그러니까 내가 작업하고 있는 것은 그저 혼자만의 부질없는 외침에 불과한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니 쓰지 않겠다고? 아니, 그러거나 말거나 나는 내가 쓰고 싶은 글을 쓸 것이다.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계속 할 것이고 그냥 혼자 떠들거다. 피드백은 내가 염두에 둔 조건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냥 글을 쓰고 싶으면 쓸 뿐이다. 피드백 없다고 외롭다면 트랜스젠더 이론이나 퀴어 이론 자체를 그냥 접어야 한다. 그럼에도 고민은 된다. 사실상 논의의 장 자체가 부재하는 상황에서 논의를 전개한다는 것이, 어떤 이론적 지형, 구체적 토양, 그리고 접점을 만들 수 있을지 고민이기 때문이다. 분명 구체적 삶에서 고민하고 구체적 현장에서 나온 논의인데, 이론 놀이하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