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비온뒤무지개재단 총회 때,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의 활동 보고 때 아카이브의 역할을 우선 소개하며 한 얘기.
===
재단 설립 초기에 아카이브가 중요하다고 해서 부설기관으로 만드는데 동의하셨지만, 사실 아카이브가 어떤 건지 정확하게 잘 모르시죠? 아카이브나 기록물관리소란 말 자체가 다소 생소하기도 하고 정확하게 뭐하는 곳인지 감이 안 잡히기 쉽습니다. 아마도 들어보신 아카이브라면 국가기록원과 한국영상자료원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둘 다 국가에서 운영하고, 국가기록원은 정부의 행정, 사법 문서를 보관하고 있고요.
역사적으로 아카이브는 문서가 등장한 그때부터 함께 했다고 합니다. 왕정 시대에 아카이브는 왕, 혹은 통치 구역의 최고 권력자만이 소유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아카이브 혹은 기록물은 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역할을 했거든요. 이것이 근대 국민국가로 넘어가면 정부기관의 행정, 사법 문서를 정리하고 보관하는 성격으로 바뀝니다. 그리하여 정부의 권위, 정부 정책의 역사성을 구축합니다. 정부의 통치 기록을 보관한다는 점에서, 아카이브는 통치 기술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현대 아카이브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논의를 보면, 아카이브는 정부의 문서만을 관리하는 역할에 제한된다는 입장과 퀴어락과 같은 주제 아카이브는 아카이브가 아니라는 입장이 여전히 강한 듯합니다.
대충 짐작하시려나요? 누군가가 기록해주겠거니, 국가기록원에 있겠거니 할 때 퀴어의 아카이브는 그냥 버려지거나 기억과 소문으로만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언제 무슨 일이 있었다더라. 구체성이 사라진 소문인 존재가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예를 들어 한국의 LGBT/퀴어의 운동 혹은 ‘가시성’은 대체로 1990년대 초반에서 시작합니다. 1993년 12월 초동회가 설립되었고, 그 보다 2년 전인 1991년 11월에 주한외국인 레즈비언 모임 ‘사포’가 생깁니다. 사포는 영자신문에 광고를 해서 사람을 모았다고 하는데요. 그럼 사포의 광고를 직접 본 사람이 있나요? 거의 대부분이 사포의 광고를 본 적 없고 처음 모임에서 어떤 회의를 했는지 모릅니다. 그저 <버디> 같은 잡지에서 성적소수자 운동 10년을 정리한 글을 통해 짐작만 할 뿐입니다. 마찬가지로 1993년 설립된 초동회의 경우, 소식지는 한 권 남아 있지만 첫 모임에서 어떤 논의를 했는지, 구체적 회의록은 남아 있지 않습니다. 그리하여 어떤 것을 논의했고 기획했는지 현재로선 알 수 없습니다. 조금 더 과거로 가서, 1990년의 퀴어 관련 기록은? 1989년의 퀴어 관련 기록은? 공식적으로 책임지고 수집을 한 사람이 (현재로선)없기 때문에 한국의 퀴어 관련 기록은, 구술과 기억만이 아니라 구체적 기록물로 입증할 수 있는 기록은 계속해서 1990년대 초반이어야 하는 것일까요?
다른 한편, 퀴어락은 1990년대 후반 설립한 한국동성애자단체협의회의 회의록을, 한채윤 님이 기증해줘서, 모두 등록하고 컬렉션으로 만들었습니다. 만약 이 회의록이 없었다면 한동협의 역사는 그저 그런 협의체가 존재했다는 수준에서 끝날 것입니다. 마치 소문처럼요. 하지만 회의록을 통해, 단체 설립 이전부터 활동 시기의 여러 기록을 통해 한동협은 구체성을 지닙니다. 어떤 운동을 바랐고 기획했는지 알 수 있지요. 그리고 이 기록을 통해 지금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의 역사성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기록물이 보존되지 않는다면 그냥 잊힐 뿐입니다. 지금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다고 여기는 사건, 예를 들어 작년 퀴어문화축제에서 4시간의 퍼레이드를 진행했다는 일 역시, 별다른 기록이 남지 않는다면, 과거에 그런 일이 있었다, 정도로 끝나겠지요. 구체적으로 어떤 사건이 있었고,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했고 대응했으며, 어떤 장면이 있었는지는 기록에 남아 있지 않습니다. 매우 중요한 사건이 풍문이 되는 거지요. 그렇기에 구체적 기록물을 수집하고 보관하는 일은 퀴어에게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퀴어 아카이브의 기록물은 퀴어 존재에 구체성과 역사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하여 누구도 퀴어의 역사성을 부정할 수 없도록 합니다. 이것이 아카이브의 역할이고 퀴어 아카이브의 역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