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기를 기억하며

어떤 사람이 죽었는데 그를 통해 어떤 시대가 마감되었다고 평가한다면 이것은 그 사람을 애도하는 언설일까, 그 사람의 상징성을 환기하는 언설일까? 다른 말로 한 사람의 삶이 특정 시대, 특정 세대의 아이콘으로 소비될 때 그 사람은 어디에 존재하고, 어떻게 살아가는 것일까? 상징성, 아이콘이 아닌 삶은 어디에 있고 또 어떻게 인식될까?

유명 연예인의 죽음을 말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내가 알던 사람의 죽음과 그의 죽음이 애도되는 방식을 떠올리고 있는 것 뿐이다. 예를 들어 ㄱ의 죽음은 어떤 사람에겐 “이 나쁜 자식아, 도대체 왜 죽었느냐”로 애도되고, 다른 사람에겐 “우리의 중요한 역할모델이었는데”로 애도된다. 둘 다 진심을 다한 애도다. 하지만 ‘이 나쁜 자식아’와 ‘우리의 역할모델’은 전혀 다른 삶이고 모습이다. ㄱ은 이 역할모델이 부담스럽고, 역할모델이란 형식으로 소비되는 자신의 모습이 싫었을 수도 있다. 그럼 역할모델의 모습이 ㄱ과 무관한 것이냐면 딱히 그렇지도 않다. 어떻게든 ㄱ을 경유하고 ㄱ의 삶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다(온전히 ㄱ의 책임이란 뜻이 아니다). ‘이 나쁜 자식아’란 애도 역시 ㄱ을 해석하는 방식이란 측면에서 둘은 그렇게 다르기만한 애도의 언설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 나쁜 자식아’에 비해 ‘역할모델’, ‘아이콘’과 같은 언설은 ㄱ의 죽음을 그리고 삶을 좀 더 건조하게 박제하거나 아무튼 뭐 그런 느낌이다. ‘우리의 역할모델’이나 ‘아이콘’엔 ㄱ의 구체적 삶은 잘 안 보인다는 느낌이랄까.

적어도 내게 있어 ‘역할모델’ 같은 언설은 수잔 스트라이커, 케이트 본스타인 같은 인물에게 쓸 법한 표현이다. 지혜 선생님, 석사 때 가르침을 준 내 선생님 등 내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는 여러 선생님은 내게 매우 중요하고 살아있는 역할모델이지만, 애도의 언설에서 ‘우리의 역할모델’이라고 말하진 않을 것 같다. 내가 ‘역할모델’을 이렇게 이해하고 있기에, 애도의 언설에 등장하는 ‘아이콘’, ‘우리의 역할모델’과 같은 말은 조금은 묘한 느낌이다. (다른 사람에겐 ‘이 나쁜 자식아’보다 ‘나의 역할모델’이 더 절절한 애도의 언설일 수 있다는 뜻이다.)

2년 전 이즈음 한무지의 죽음을 맞았다. 그 이후 가끔 그와 내가 맺었던 관계, 에피소드 등이 떠오르는데 솔직히 어떻게 정리하면 좋을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이론의 언어로 외피를 포장하지 않으면서, 구체적 정황으로 그의 삶을 애도하고 싶은데 어째서인지 잘 안 된다. 한무지에게 어떤 사건이 생겼을 때, 어느 이른 아침부터 만나 이야기를 나눴던 일, 생전 처음 트랜스젠더 모임에 나갔다가 그를 만났을 때의 인상 등을 말하고 싶지만 쉽지는 않다. 죽음을 이야기한다는 것이 이런 것이겠지. 언젠가 말할 수 있을까?

아무려나 무지의 2주기가 ‘조용히’ 지나갔다.

의견이 난무하는 좋은 상황

트랜스젠더 이슈, 퀴어 이슈로 이런저런 자료를 찾다가 특정 이슈를 사람들이 어떻게 이야기하나 궁금할 땐, 블로그, 게시판 등 의견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확인한다. 그리고 그럴 때마다 깨닫는다. ‘한국어로 의견을 표현하는 사람 중 전문가가 참 많구나. 나는 닥치고 가만히 있어야겠다. 히히.’ 오해하기 쉬운데 비꼬는 거 아니다. 정말로 어떤 이슈를 그 사람 나름으로 진지하게 얘기하고 있고, 서로가 최선을 다해 의견을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의견을 자주 표현하는 사람에게, 다른 누군가는 의견이나 지식을 구하기도 한다. 의사표현의 민주주의, 전문가의 탈구성, 혹은 모두가 전문가인 상황. 이것이 마냥 긍정적 현상일 순 없겠지만, 소수의 학제 교육을 받은 사람만이 전문가가 되는 것은 아니란 점에서 흥미로운 상황이다. 아쉬운 점은 있다. 맥락을 잃은 의견이 많다. 트위터가 삶에 깊이 개입된 이후 각 발언의 맥락이 사라졌다. 전후 맥락을 설명해야 하는데 이런 게 없다. 문장 문장은 그럴 듯한데, 맥락이 없기 때문에 말이 떠돈다. 아울러 이렇게 전문가연 하는 사람이 많은데, 왜 현재 한국에서 생산되는 트랜스젠더 지식, 퀴어 지식은 이 정도에 그치고 있는 거지? 더 많은 사람이 폭넓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와 지식은 왜 조직화되지 않고 있지? 문화번역의 정치학은 왜 고려되지 않은 것일까? 휘발되는 매체가 아닌, 좀 더 조직화되고 맥락적으로 기술된 문서로 공유하는 것은 어려운 것일까라는 아쉬움이 진하다.

그럼에도 나는 여전히 이런 상황에 긍정적이다. 가능성으로 독해하자면 이런 분위기의 조성은 어떤 훌륭한 이론가, 논객, 활동가가 등장하기에 좋은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한국의 LGBT 인권운동은 1990년대 초반에 등장했다. 그래서 한국 LGBT의 역사는 주로 1990년대부터 시작한다. 몇몇 공동체에 토대를 준 역사활동가들이 1990년대 이전의 역사를 정리하고 이를 출판하고 있지만 1990년대 이전의 역사적 기록물은 찾는 것 자체가 큰 일이다. 그래서 현재까지 기술된 한국 근대의 LGBT 역사는 1950년대 이후 1990년대 이전은 어느 정도 개괄적이고, 1990년대 이후는 자세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확인한 이런저런 기록물에 따르면(이것은 결국 박사학위 논문에서 정리될 것 같다 ㅠㅠ) 1990년대 초반 인권운동이 가능했던 건 1980년대 후반의 격렬한 움직임이 있었기 때문이고, 그 전에도 꾸준히 어떤 움직임이 있었다. 그러니까 역사는 시간에 따라 진화한다는 헛소리를 하려는 것이 아니라, 1990년대의 LGBT인권운동은 뜬금없는 등장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지금과 같은 커뮤니티, 의견을 집합하는 어떤 공간/도구가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해도 응축된 어떤 에너지가 있었다. 이것이 1990년대 이후의 LGBT 인권운동의 매우 큰 힘이었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나는 지금의 상황이 기쁘다. 몇 년이 지나면 지금 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 중에, 혹은 아직은 공부를 하고 있지 않은 누군가가 한국의 논의 지형을 밑절미 삼아 끝내주는 이론을 만들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물론 1970-80년대와 2010년대가 의견을 표출하는 방식은 다르다. 그때와 지금을 동일한 가능성으로 설명하기는 힘들다. 동일한 가능성으로 둬서도 안 된다. 하지만 지금 한국에서 이렇게 다양한 의견이 표출되고, 전문가연 하거나 전문가처럼 통하는 사람이 많다면, 이것은 어쨌거나 어떤 토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뜻으로 독해할 수 있지 않을까? 아니, 미래의 어떤 가능성을 위해 지금이 괜찮다고 말할 필요도 없다. 이런 독해는 매우 위험할 수 있고, 지금 살고 있는 삶을 읽을 수 없도록 하는 위험한 것이다. 그리고 나는 바로 지금의 상황, 어떤 의견은 답답하고 속이터지며, 어떤 의견은 정말 좋다고 느끼는 이런 상황, 온갖 의견이 나오는 상황 자체가 좋다. 이런 상황이기에 나도 이렇게 한 숟가락 보탤 수 있는 거고. 이런 상황이 아니었다면 내가 어떻게 블로깅을 할 수 있을까.